$\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초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안정성 조사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8 no.4 = no.188, 2006년, pp.584 - 588  

김수정 ((주)대평) ,  권대혁 (성균관대학교 유전공학과) ,  이종화 (안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방재료인 감초에서 식품의 보존력을 가지는 항산화성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추출용매, 에탄올 농도, 온도, 시간 등의 여러 조건에서 추출실험을 수행하였다. 조제된 감초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상용중인 항산화제와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열과 pH 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여 천연 식품보존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감초를 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칠 아세테이트, 헥산 등의 용매로 추출하였을 때 항산화 활성은 극성이 높은 유기용매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에탄올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에탄올 농도별로 추출하였을 때는 무수에탄올일 때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95% 농도와는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아 추출 용매는 95% 에탄올로 선택하였다. 95% 에탄올로 감초를 추출할 때 은도와 시간은 항산화 활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감초를 95%에탄올로 상온에서 12시간 추출하며 감압건조한 감초 에탄올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 비교하여 free radical 소거능은 약하지만 유지산패 억제능력은 훨씬 더 좋았다. 감초 에탄올 추출물의 열과 pH처리에 따른 항산화 활성은 큰 현화를 보이지 않아 열과 pH에는 비교적 안정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감초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도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열과 pH에 대해서도 안정하여 천연보존료로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ptimize the conditions for the extraction of antioxidative materials from licorice root, Glycyrrhiz glabra. Chipped licorice roots were extracted with several solv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tested to determine the optimal extraction solvent. Among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열분해에 약하다는 사실은 a-tocopherol, BHA, BHT등의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감초의 에탄올 추출물의 열과 pH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 그러나, 항산화 활성에 대해서는 여러 한약재와 단순 비교한 보고가 있지만, 아직 체계적으로 연구된 예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출용매의 종류나 추출조건별로 감초추출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검사하고 열과 pH의 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함으로써 천연 식품 보존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방재료인 감초에서 식품의 보존력을 가지는 항산화성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추출용매, 에탄올 농도, 온도, 시간 등의 여러 조건에서 추출실험을 수행하였다. 조제된 감초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상용중인 항산화제와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열과 pH 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여 천연 식품 보존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시간 등의 여러 조건에서 추출실험을 수행하였다. 조제된 감초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상용중인 항산화제와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열과 pH 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여 천연 식품 보존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감초를 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칠 아세테이트, 헥산 등의 용매로 추출하였을 때 항산화 활성은 극성이 높은 유기용매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에탄올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Nakami M. Antioxidant antimutagens in food. Crit. Rev. Food Sci. Nutr. 19: 273-300 (1990) 

  2. Choe SY, Yang KH.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 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83-288 (1982) 

  3. Winata A, Lorenz K. Antioxidant potential of 5-N-pentadecylresorcinol. J. Food Process. Preserv. 20: 417-429 (1996) 

  4. Hettiarachchy NS, Glenn KC, Gnanasambandam R, Johnson MG. Natural antioxidant extract from fenugreek for ground beef patties. J. Food Sci. 61: 516-519 (1996) 

  5. Ford SM, Hook JB, Bond JT. The effects of butylated hydroxyanisol and butylated hydroxy toluene on renal function in the rat. I. Effects on fluid and electrolyte excretion. Food Cosmet. Toxicol. 18: 15-20 (1980) 

  6. Frankel EN. Antioxidant in lipid foods and their impact on food quality. Food Chem. 57: 51-55 (1996) 

  7. Jang HW, Lee HJ, Lee KG.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olatile extracts from plants commonly used in Korea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23-729 (2005) 

  8. Kim HY, Lee YJ, Hong KH, Kwon YK, Lee JY, Kim SH.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natural preservatives from natural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667-1678 (1999) 

  9. Nam SH, Kang MY. Screening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Korean J. Agric. Chem. Biotechnol. 43: 141-147 (2000) 

  10. Cho SY, Han YB, Shin KH.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s. Korean J. Food Sci. Nutr. 30: 133-137 (2001) 

  11.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004) 

  12. Lee CH, Chung KY, Lim SC, Choi DY, Kim CJ, Choi BK. Studie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apsaicin and oleoresin from red pepper in ground bacon belly meat.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496-400 (1994) 

  13. Ra KS, Suh JS, Chung SH, Son JY.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from onion s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95-600 (1997) 

  14. Ahn CK, Lee YC, Yeom CA. Antioxidant and mixture effects of curry spices extracts obtained by solvent extra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491-499 (2000) 

  15. Oh JY, Choi U, Kim YS, Shin DH.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bark of Rhus javanica Lin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26-732 (2003) 

  16. Lim DK, Choi U, Shin DH, Jeong YS. Antioxidative effect of propolis extract on palm oil and lard.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22-626 (1994) 

  17. Lim DK. Choi U. Shin DH. Antioxidative activity of some extract from Caesalpinia sappan L.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77-82 (1996) 

  18. Rhi JW, Shin HS. Antioxidant effect of aqueous extract obtained from green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759-763 (1993) 

  19. Jung GT, Ju IO, Choi JS, Hong JS.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28-935 (2000) 

  20.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2006) 

  21. Kumagai A, Nanaboshi M, Asanuma Y, Yagur T, Nishino K. Effect of glycyrrhizin on thymolytic and immuno-suppressive action of cortisone. Endocrinol. Jpn. 14: 39-42 (1967) 

  22. Kiso Y, Tohin M, Ino H, Hattori M, Samoto T, Namba T. Mechanism of antihepatoxin activity of glycyrrhizin I. Effect on free radical generation and lipid peroxidation. Planta Med. 50: 298-302 (1984) 

  23. Pompei R, Flore O, Marcialis MA, Pani A, Loddo B. Glycyrrhizic acid inhibits virus growth and activates virus particles. Nature 281 : 689-690 (1979) 

  24. Ahn EU, Shin DH, Baek NI, Oh JA.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Glycyrrhiza uralensis FISCH.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80-687 (1998) 

  25.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999-1200 (1958) 

  26. Turner EW, Paytner WD. Montie EJ, Besert MW, Struck GM, Olson Fe. Use of the 2-thiobarbituric acid reagent to measure rancidity in frozen pork. J. Agric. Food Chem. 8: 326-330 (1954) 

  27. Lee JW, Do JH.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ion fraction from the Korean red tall Ginse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497-500 (2001) 

  28. Kim SL, Bang MH, Song JC, Hur HS, Baek NI.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the root of Zingiber officinale R. Korean J. Agric. Chem. Biotechnol. 44: 202-205 (2001) 

  29. Kim SJ, Shin JY, Park YM, Chung KM, Lee JH, Kweon DH.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241-248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