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한약재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Herb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19 no.4, 2006년, pp.491 - 496  

조재용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임상철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최일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8종의 한약재 MeOH 추출물과 EtOH 추출물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하고초, 소목, 오배자 및 향유는 5mg/ml 수준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지실, 금은화 및 황금 등은 10mg/ml, 오미자, 초두구 및 희렴 등은 30mg/ml 이상에서 항균성을 보였다. 최소저해농도는 MeOH추출물에서는 $1{\sim}34mg/ml$, EtOH추출물에서는 $1{\sim}46mg/ml$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분획 층 중 EtOAc층에서 성장억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균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소목, 오배자 및 황금추출물의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증식배지에 각각의 추출물을 0, 100, 300 및 500ppm의 농도로 첨가하여 균주의 증식을 조사한 결과 배양후 24시간에 소목 추출물 무첨가구의 $OD_{620}$값이 0.4인 반면 100ppm 이상의 추출물 첨가 시 $0.02{\sim}0.03$정도로 균증식이 현저히 억제되었고, 오배자 추출물 무첨가구의 $OD_{620}$값이 0.4인 반면 300ppm 이상의 추출물 첨가 시 $0.02{\sim}0.03$정도로 균증식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황금 추출물 무첨가구의 $OD_{620}$값이 0.4인 반면 300ppm 이상의 추출물 첨가 시 $0.02{\sim}0.07$ 정도로 균증식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제대염, 부종성 피부염 및 관절염 등의 다양한 가축질병을 일으키는 Staphylococcus aureusi의 감염을 예방하거나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한약재 추출물 사료첨가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microbial activity of 18 different traditional medicinal herbs extract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was determined by a paper disc method. The Prunella vulgaris, Caesalpinia sappan and Rhus javanica extracts in 5 mg/ml, Poncirus trifoliata, Lonicera japonica and Se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질병 억제제로서의 항균제 개발을 위해 한약재의 항균 활성을 검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euchat, I. R. and D. A. Galden.1989. Antimicrobials occuring naturally in foods. Food Technol. 43: 134-139 

  2. Choi, M. Y., E. J. Choi, T. J. Rhim, B. C. Cha and H. J. Park. 1997. Antimicrobial activitys of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Seib etZucc) extract.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293-297.(in Korean) 

  3. Kang, S. K., N. K. Sung, Y. D. Kim, S. C. Shin, J. S. Seo, K. S. Choi and S. K. Park. 1994. Screening of anitimicrobial activity of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extract.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3: 1008-1013.(in Korean) 

  4. Lee, B. W. and D. H. Shin. 1991. Screening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 Kor. J. Food Sci. Technol. 23: 200-204.(in Korean) 

  5. Lee, H. Y., C. K. Kim, T. K. Sung, T. K. Mun and C. J. Lim. 1992. Antibactrial activity of Ulmus pumila L. extract.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0: 1-5.(in Korean) 

  6. Mitscher, L. A., Y. H. Park and D. Clark. 1980. Antimicrobial agents from hifher plants, antimicrobial isoflavonoids and related substances from Glycyrrhiza glabra L. var Typica. J. Nat. Prod. 43: 259-269 

  7. Piddok, L. J. V. 1990. Technique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sensitivity in bacteria. J. Appl. Bacteriol. 68: 307-318 

  8. Shin, D. H., M. S. Kim and J. S. Han. 1997.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their fractionates against food-born bacteria. Kor. J. Food Sci. Technol. 29: 808-816.(in Korean) 

  9. 권오근, 손진창, 김상철, 정신교, 박승우. 1998. 목단피추출물의항균 및 항산화 작용. 한국식품유통학회지. 5: 281-285 

  10. 박수남, 홍장후. 1995. 생약성분의항균작용에관한연구. 서울산업대학교 논문집 제 42집. 291-299 

  11. 박욱연, 장동석, 조학래. 1992. 한약재 추출물의 항균효과 검색.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1: 91-96 

  12. 박욱연, 장동석, 조학래. 1992. 자초(Lithospermumerythrorhizon) 추출물의 항균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1: 97-100 

  13. 서기임, 민경아, 1996. 당귀의휘발성분의항균효과에관한연구.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 논문집. 191-199 

  14. 이주연, 민용규, 김희연. 2001. 오미자로부터항균활성물질의분리 및 항균효과. 한국식품 과학회지.33: 389-394 

  15. 이만종, 김관필, 김성호, 정낙현, 임무현.1997. 오배자와 포도 껍질 추출물의 항균활성에 관한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10: 174-179 

  16. 이성규. 2003. 가축질병균주에대한 소목의항균활성.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31: 242-249 

  17. 이신호, 최우정, 조옥기, 손수정. 1997. 소목(Caesalpina sappan L.) 추출물의 항균성과 김치숙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9:167-171 

  18. 정기태, 주인옥, 최정식, 홍재식. 2000. 오미자 종자의 항산화성,항균성, 아질산염소거능. 한 국식품과학회지. 32: 928-935 

  19. 정시련. 상용한약의 항균성. 대한약사회지. 1993. 4: 78-81 

  20. 정강현, 이상호, 이영춘, 김지태. 2001.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의항균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 127-132 

  21. 조성환, 김영록. 2001. 황금추출물의 항균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5): 964-968 

  22. 최석철, 정진순. 1998. 봉선화 추출물의 항균성에 관한 연구. 한국섬유공학회지. 34: 393-399 

  23. 최일, 장형수, 윤영민, 엄주철. 2002. Staphylococcus aureus와 Salmollela gallinarum에 대한 한약재의 항균활성.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30: 177-183 

  24. 한지숙, 이지영, 백남인, 신동화. 2001.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의 식중독 미생물 증식억제 물질의분리 및 항균작용. 한국식품과학회지. 33: 611-6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