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관여, 쾌락적 소비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미국 소비자의 비교-
Effects of Fashion Involvement and Hedonic Consumption on Impulse Buying -Comparison of Korean and American Young Consumer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0 no.9/10 = no.157, 2006년, pp.1413 - 1422  

박은주 (동아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상섬유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chnologies such as television shopping channels and the internet expand consumers' impulse purchasing opportunities. The interest in national differences of consumer behavior was growing and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national context of consumer behavior in an increasing glo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소비자들의 충동구매에 대한 패션관여와 쾌락적 소비가 미치는 영향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집단에 대한 구조모형을 분석하였고 집단간 차이를 보기 위해 측정불변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제시된 연구모형은 두 집단 모두에서 적합한 모형이었으며, 집단간의 비교를 위한 부분적 측정불변성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패션관여와 쾌락적 소비성향이 충동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두 집단에서 이러한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글로벌 패션 시장에서의 충동구매와 연관된 소비자행동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a) 한국 집단, (b) 미국 집단의 경우, 패션 관여가 높을수록 패션제품의 충동구매는 증가할 것이다.
  • H3: 미국 집단은 한국 집단보다 패션관여, 쾌락적 소비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강은미, 박은주. (2001). 소비자 내적특성이 의복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3), 586-597 

  2. 고샛별. (2005). 인터넷 쇼핑몰에서 쇼핑흥미도, 감정적 요인이 패션제품 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영숙. (2000). 사이버마켓에서의 소비자 충동구매성향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8(12), 111-129 

  4. 김선화, 이영선. (2001). 유행선도력과 쇼핑관련 특성과의 관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1), 162-172 

  5. 김인수. (1988). 소비자의 제품 몰입이 상표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남승규. (1999). 충동구매와 개인적 가치.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1(1), 1-11 

  7. 리대룡, 이상빈, 곽혁진, Rook, D. W, & Fisher, R. J. (1997). 구매충동의 조작화와 규범적 효과: 한국 미국 비교연구. 광고학연구, 8(1), 31-84 

  8. 박우미. (1999). 신체만족도에 따른 선호 의복스타일에 대한 한국과 미국 여대생의 비교. 복식, 48, 25-36 

  9. 박은주. (2005a). 패션제품의 충동구매행동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9(9/10), 1306-1315 

  10. 박은주. (2005b). 패션제품 충동구매행동에 대한 브라우징의 중재효과. 한국의류학회지, 29(9/10), 1340-1348 

  11. 박은주 (2002) 의복구매 의사결정에 관련된 소비비젼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4), 336-349 

  12. 박은주, 강은미. (2000). 의류점포 내 상황요인과 제품의 소비가치가 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4(6), 873-883 

  13. 박은주, 소귀숙. (2002). CATV 홈쇼핑에 관련된 충동구매행동: 패션제품을 중심으로. 유통연구,7(1), 21-40 

  14. 박은주, 정영옥. (2002). 의복충동구매행동에 대한 점포 내 구매상황과 감정적 요인의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6(3/4), 379-389 

  15. 박은주, Forney, J. C. (2004). 한국과 미국 소비자의 충동구매 행동과 신용카드 사용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12), 1571-1582 

  16. 박혜원, 임숙자. (1992). 유행관여에 따른 여성기성복 상표 이미지 포지쇼닝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4), 393-403 

  17. 서미정, 김혜선. (2004). CATV 홈쇼핑에서의 충동구매 자극요인과 구매 경험과의 관련성. 대한가정학회지, 42(3), 105-118 

  18. 이명희. (2003). 지각자의 유행관여가 의복색 지각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7), 851-861 

  19. 이선재. (1991). 한미 대학생 및 교포 대학생간의 의복태도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2), 173-187 

  20. 이선재, 장은영, 정영주. (2002). 할인점 의류제품의 구매의도와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 복식, 52(1), 37-53 

  21. 이수진, 황선진, 변유선. (1997). 유행관여에 따른 패션전문점의 점포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2), 346-356 

  22. 이은영. (1999). 패션마케팅 (제2판). 서울: 교문사 

  23. 이철, 장대련. (1994). 한국-아랍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관한 비교 문화적 연구: Fishbein behavioral intention model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5(1), 113-115 

  24. 임현정, 홍금희. (2004). 인터넷 의류쇼핑동기에 따른 정보 탐색과 충동구매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3), 1065-1075 

  25. 차지민. (2001). 의류상품 계획구매와 비계획구매의 유형과 관련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최선형, 이은영. (1987). 유행선도자의 특성 연구: 유행선도력, 사회적 성격, 의복동조성, 유행 정보원간의 관계. 한국의류학회지, 11(3), 15-24 

  27. 최선형, 오현주. (2001). 미국거주 경험자의 시각에서 본 한국여성의 의복행동. 대한가정학회지, 39(1), 11-27 

  28. 최성봉. (1992). 충동구매자와 비충동구매자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최영은, 박은주. (2002). 의류점포서비스가 의복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6(11), 1615-1625 

  30. 한경미, 나영주. (2004). 청소년의 라이프스타일과 개인주위-집단주의에 따른 선호감성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 6(1), 51-60 

  31. 황진숙, 신영필. (2001). 남자 소비자의 점포이미지 선호가 의류제품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복식, 51(3), 51-58 

  32. 황선진, 송기은, 이윤경. (2003). 조정변수로서 소비자의 유행관여, 상표친숙성, 부정적 정보가 의류상표확장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1), 9-17 

  33.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y Bulletin, 103(3),411-423 

  34. Bayley, G. & Nancarrow, C. (1998). Impulsive purchasing: Qualitative exploration of the phenomenon. Qualitative Market Research, 1(2), 99-114 

  35. Fairhurst, A. E., Good, L. K., & Gentry, J. W. (1989). Fashion involvement: An instrument validation procedure. Clothing & Textiles Research Journal, 7(3), 10-21 

  36. Han, Y. K., Morgan, G. A., Kotsiopulos, A., & Kang-Park, J. (1991). Impulse buying behavior of apparel purchaser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9(3), 15-21 

  37. Hauseman, A. (2000). A multi-method investigation of consumer motivations in impulse buying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7(5), 403-419 

  38. Hirshman, E. C. & Holbrook, M. B. (1982). Hedonic consumption: Emerging concepts, methods, and propositions. Journal of Marketing, 46, 92-101 

  39. Hofstede, G. (1997).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New York: McGraw-Hill Higher Education 

  40. Joreskog, K. G. & Sorbom, D. (2001). WINDOWS LISREL 8. Lincolnwood, IL.: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Inc 

  41. Kacen, J. J. & Lee, J. A. (2002). The influence of culture on consumer impulsive buying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2(2), 163-176 

  42. Leuba, C. (1995). Toward some integration of learning theories: The concept of optimum stimulation. Psychological Report, 1, 35-36 

  43. Maheswaran, D. & Shavitt, S. (2000). Issues and new directions in global consumer psychology.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9(2), 59-66 

  44. O'Cass, A. (2000). An assessment of consumers' product, purchase decision, advertising and consumption involvement in fashion clothing.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21(5), 545-576 

  45. Rook, D. W. (1987). The buying impul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 189-199 

  46. Steenkamp, J. E. M. & Baumgartner, H. (1998). Assessing measurement invariance in cross-national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5, 78-90 

  47. Weinberg, P. & Gottwald, W. (1982). Impulsive consumer buying as a result of emo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0, 43-57 

  48. Weun, S., Jones, M. A., & Beatty, S. E.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mpulse buying tendency scale. Psychological Reports, 82, 1123-1133 

  49. Workman, J. E. & Johnson, K. K. P. (1993). Fashion opinion leadership, fashion innovativeness, and need for variety. Clothing & Textiles Research Journal, 11(3), 60-64 

  50. Yoo, B. (2002). Cross-group comparisons: A cautionary note. Psychology & Marketing, 19(4), 357-368 

  51. Yoo, B. & Donthu, N. (2001). Developing and validity a multidimensional consumer-based equity scal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2, 1-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