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탄올에 의해 유발된 간독성에 대한 모과 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Chaenomeles sinensis Koehne Extract on Ethanol-induced Liver Damage in Rat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10, 2006년, pp.1336 - 1342  

이유미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재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형덕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명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모과 에탄올 추출물이 체내 항산화계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in vivo에서 모과 에탄올 추출물이 알코올 투여로 유도된 간조직 손상의 보호효과를 검토한 결과 4주간의 체중증가율과 체중에 대한 간 무게 비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ET군이 다른 실험군에 비하여 다소 낮은 경향이었다. 식이효율은 ET군이 ND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알코올과 모과 에탄올 추출물을 단독 혹은 병합투여한 ET-CSL군과 ET-CSH군은 ND군의 식이효율과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혈청 중 ALT, ASTALP 활성은 알코올 투여한 ET군이 실험군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알코올과 모과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 투여한 ET-CSL군과 ET-CSH군은 ET군에 비하여 저하되었다. 간조직 중 과산화지질 함량은 ET-CSL군과 ET-CSH군이 ET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ND군과는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간조직의 XO, SOD, catalase 및 GSH-Px활성은 알코올을 단독 투여한 ET군이 알코올과 모과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 투여한 ET-CSL군과 ET-CSH 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모과 에탄올 추출물 투여 용량이 증가할수록 이들 효소의 활성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ET-CSL군과 ET-CSH군은 ND군과 이들 효소활성이 유사하였다. 간조직의 GSH 함량은 ET군이 ND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알코올 투여로 감소된 GSH 함량은 모과 에탄을 추출물 투여로 ND군에 근접하도록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 모과 에탄올 추출물은 알코올 투여로 증가된 유리기 해독계 효소인 SOD, catalase 및 GSH-Px 활성은 억제시키고, GSH 함량은 증가시켰으며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저하시켰다. 따라서 모과는 항산화제로서의 활용성과 알코올 투여로 손상된 간조직의 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성으로 Rg1 함량은 잎의 80% 메탄올 추출물에 $44.15{\mu}g/g$이었고, Re 함량은 잎의 80% 메탄올 추출물에 $48.78{\mu}g/g$으로 가장 많았으며, Rd 함량은 잎의 80% 메탄올 추출물에 $25.57{\mu}g/g$으로 가장 많았고, Rc 함량은 잎의 80% 메탄을 추출물에 $4.87{\mu}g/g$으로 가장 많았다. 항산화활성은 잎의 물 추출물이 83.82%이었으며, 잎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89.74%이었으며, 잎의 80% 메탄을 추출물이 88.37%의 활성을 나타내었다.의 순이었다. 7. 액비저장조 이용주체는 전체 농가의 59.0%인 240농가가 자체적으로 이용을 하고 있었으며, 23.1%인 94농가는 액비 유통업체에 위탁하여 이용하고 있었고, 5.2%인 21농가는 방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종 농가가 부담하는 ha당 액비살포 비용은 미부담 62.7%, 1만원 이상 16.2%, $4{\sim}5$천원 9.8%, $6{\sim}7$천원 9.6%, $8{\sim}9$천원 1.7%로 나타났다. 8. 경종농가의 액비사용전 액비시비처방서 발급은 54.1%인 220농가만이 의뢰한 것으로 나타났고, 41.5%인 169농가는 의뢰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액비사용에 대한 사전 교육은 62.4%인 254농가가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30.2%인 123농가는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 자체가 없어서 못 받았다는 농가도 3.9%인 16농가로 나타났다. 9. 액비사용시 문제점은 전체 농가중 절반 이상인 220농가(54.1%)가 악취로 인한 문제라고 하였으며, 22.1%인 90농가는 액비를 뿌릴 수 있는 장비가 부족하다고 하였고, 사용 불편 14.5%(59농가), 과다살포 3.4%(14농가), 비용과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Chaenomeles sinensis Koehne (CS) on alcohol-induced liver damage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35{\pm}10g$ were divided into 6 groups for 4 weeks; normal group (ND), alcohol (35%, 10 mL/kg/day) treated...

주제어

참고문헌 (39)

  1. 경제기획원 조사 통계국. 2000. 2000년 사망원인의 통계 연보 

  2. National Statistical Office. 1996.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Korea 

  3. Lee OH. 2004.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Puerariae radix ethanol extract on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rats. Korean J Nutr 37: 872-880 

  4. 이기열, 이양자. 1992. 고급영양학. 신광출판부, 서울. p 284- 285 

  5. Mezey E. 1980. Alcoholic liver disease; roles of alcohol and malnutrition. Am J Clin Nutr 33: 2709-2718 

  6. Barene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toluen butylated hydroxytoluen. JAOCS 52: 59-63 

  7. 박종희, 이정규. 2000. 상용 약용식물도감. 신일상사, 서울. Vol 133, p 8-15 

  8. Lee CB. 1982. Forest economics-mokchogangmok. Korean plant map. Hyangmunsa, Seoul. p 29 

  9. Kim YS, Lee SW, Lee KR, Kim SK, Cho SY, Lee JH. 1971. Studies on tasty constituents in various foodstuffs. Part 1. Tasty constituents of chinese quin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 163-167 

  10. Chung TY, Cho DS, Song JC. 1988. Nonvolatile/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chinese quince fruirs, Chaenomeles sinensis Koehne.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293-302 

  11. Song JC, Cho EK, Park HJ. 2002. Studies on manufacture of mixed beverage drinks using chinese quince and apple. Food Engineering Progress 6: 38-45 

  12. Lee DH, Kim JH, Kim NM, Choi JS, Lee JS. 2002.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Chinese quince wine and liquor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7: 266-270 

  13. Reeves PG, Nielson FH, Fahey GC Jr.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s: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hoc writing committee o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A rodent diet. J Nutr 123: 1939-1951 

  14. Fujji H, Ohmachi T, Sagami I, Watanabe M. 1985. Liver microsomal drug metabolism in ethanol-treated hamsters. Biochem Pharmacol 34: 3881-3884 

  15. Downey JM, Miura Y, Eddy LJ, Chambers DE, Mellert T, Hearse DJ, Yellon DM. 1987. Xanthine oxidase is not a source of free radicals in the ischemic rabbit heart. J Mol Cell Cardiol 19: 1053-1060 

  16. Crapo JD, McCord JM, Fridovich I. 1978. Preparation and assay of superoxide dismutase. In Methods Enzymol. Fleischer S, Packer L, eds. Academic press, New York. Vol 53, p 382-393 

  17. Aebi H. 1984. Catalase in vitro. Methods Enzymol 105: 121-126 

  18. Flohe L, Wolfgng A, Gunzler WA. 1984. Assay of glutathione peroxidase. In Methods in enzymatic analysis. Packer L, ed. Academic Press, New York. p 14-121 

  19. 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m. In Methods in enzymology. Dacker L, ed. Academic Press, New York. Vol 52, p 302-310 

  20. Tietze F. 1969. Enzymatic methods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nanogram amounts of total and oxidized glutathione. Anal Biochem 27: 502-522 

  21. Reitman S, Frankel S. 1957.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determination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m J Clin Pathol 28: 56-63 

  22. Lowry OH, Rosebrough NJ, Farr AL, Randal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23. Rothwell NJ, Stock MJ. 1984. Influence of alcohol and sucrose consumption on energy balance and brown fat activity in the rat. Metabolism 33: 768-771 

  24. Shaw S, Lieber CS. 1983. Nutrition and alcohol. A clinical perfective. In Nutrition Update. Weininger J, Briggs GM, eds. John Wiley & Sons, New York. Vol 1, p 79-104 

  25. Lim SS, Kim MH, Lee JH. 1997.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Circium japonicum var ussuriense on liver function, body lipid and bile acid of hyperlipidemic rat. Korean J Nutr 30: 797-802 

  26. Ahn YT, Bae JS, Kim YH, Lim KS, Huh CS. 2005. Effects of fermented milk intake on hepatic antioxidative systems in alcohol treated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631-635 

  27. Lieber CS. 1991. Hepatic, metabolic and toxic effects of ethanol. Alcohol Clin Exp Res 15: 573-592 

  28. Vina J, Estrella JM, Guerro C, Romero FJ. 1980. Effects of ethanol on glutathione concentration in isolated hepatocytes. Biochem J 188: 549-552 

  29. Cho SY, Lee MK, Park EM, Jang JY, Kim MJ. 1997. Effect of methionine levels on brain lipid peroxidation in ethanol-treated rats of selenium deficienc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09-115 

  30. Oei HH, Stroo WE, Burton KP, Schaffer SW. 1982. Xanthin oxidase in producing oxidative stress in the heart of chronically ethanol treated rats. Res Commun Chem Pathol Pharmacol 38: 453-461 

  31. Park MH, Son GM, Bae MJ. 1995. Effect of Platycodi radix and Platycodi radix saponin on liver lipid in rats fed high fat diet. Korean J Food Nutr 8: 222-229 

  32. Ko MS, Shin KM, Lee MY. 2002. Effects of Hijikia fusiforme ethanol extract on antioxidative enzymes i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of rat liv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87-91 

  33. Aykac G, Uysal M, Yalcin S, Kocak-Toker N, Sivas A, Oz H. 1985. The effect of chronic ethanol ingestion on hepatic lipid peroxide, glutathione, glutathione peroxidase and glutathione transferase in rats. Toxicol 36: 71-76 

  34. Speisky H, Kera Y, Penttila KE, Israel Y, Lindros KO. 1988. Depletion of hepatic glutathione by ethanol occurs independently of ethanol metabolism. Alcohol Clin Exp Res 12: 224-228 

  35. Lee JS, Kim ES, Kim SW. 1999. Effects of extract of Pueraria radix on peroxidation in ethanol-administer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901-906 

  36. Lee JS, Kim ES, Kim SW. 1999. Effects of extract of Pueraria radix on peroxidation in ethanol-administer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901-906 

  37. Oh SI, Kim CI, Chun HJ, Park SC. 1998. Chronic ethanol consumption affects glutathione status in rat liver. J Nutr 128: 758-763 

  38. Lieber CS. 1980. Increased loss and decreased synthesis of hepatic glutathione after acute alcohol administration. Phamacol Biochem Behav 13: 17-21 

  39. Park PS, Lee BR, Lee MY. 1994. Effects of onion juice on ethanol-induc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3: 750-7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