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이 사염화탄소에 의한 마우스의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rva Extract of Allomyrina dichotoma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10, 2006년, pp.1349 - 1355  

최용화 (상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이기열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양경미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정윤미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서정숙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이 마우스의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간 손상 지표효소 활성, 지질과산화물 함량 및 대사 효소 활성, 빌리루빈 함량 및 간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혈청 내 AST 활성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서 사염화탄소 단독투여군에서는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임으로써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손상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이나 silymarin공급에 의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 ALT 활성은 사염화탄소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메탄올 추출물을 고농도로 급여한 경우와 silymarin공급에 의해 활성의 증가가 저하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사염화탄소 단독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2배 정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장수풍뎅이 추출물과 silymarin을 공급시킨 군에서도 대조군에 비해서 지질과산화물 함량이 증가되었으나 사염화탄소만을 투여한 군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GST 활성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서 사염화탄소 단독투여군은 GST 활성도가 높았으며 장수풍뎅이 추출물이나 silymarin을 투여시킨 군에서는 사염화탄소만을 투여한 군에 비해서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을 고농도로 투여한 실험군에서 지질과산화물의 생성은 크게 감소되었다. 정상 대조군과 사염화탄소 단독투여군을 비교했을 때 사염화탄소 투여군에서 총빌리루빈, 간접빌리루빈, 직접빌리루빈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거나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과 silymarin을 투여한실험군에서는 사염화탄소만을 투여한 군에 비해 감소되었다. 병리조직학적 소견들이 각 실험군마다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사염화탄소는 중심정맥을 중심으로 간정맥을 잇는 다각형태의 고유간소엽 주변대 간세포의 종창현상과 동양혈관 내피세포의 손상소견을 보였다. 사염화탄소로부터 유도된 간 손상은 silymarin군과 고농도의 추출물 투여 군데서 그 효능은 미약하지만 간 손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사염화탄소를 투여시킨 군들에서 간 손상이 유발되었으며, 사염화탄소 투여 시 체중 g당 $100{\mu}g$의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을 공급했을 때 사염화탄소 투여 시에 나타나는 생체 내의 변화를 어느 정도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곤충추출물의 투여량의 세분화 등 보다 진전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간독성의 예방을 위한 천연물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Allomyrina dichotoma larva (MEAL) on carbon tetrachloride $(CCl_4)-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ICR mice were divided into 5 groups [Vehicle control, $CCl_4\;(10{\mu}g/g)$ alone, $CCl_4$ 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간 손상을 완화시킬수 있는 생리활성물질의 탐색과 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장수풍뎅 이 유충 메 탄올추출물(methanol extract of A. dichotoma larva, MEAL)이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사염화탄소로 간 손상을 유발한 마우스에 있어서 간 기능 관련 효소활성도, 과산화지질 함량 및 관련 효소 활성과 간 조직의 형태학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이 마우스의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간 손상 지표효소 활성, 지질과산화물 함량 및 대사 효소 활성, 빌리루빈 함량 및 간 조직 의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혈청 내 AST 활성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서 사염화 탄소 단독투여군에서는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임으로써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손상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OK. 2001.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of Diospyrus kaki Folium against hepatotoxicity in carbon tetrachloride intoxic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7-101 

  2. 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5.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3. Junqueira VBC, Simiz K, Videla LA, Barros SB. 1996. Dose dependent study of the effects of acute lindamce administration on rat liver superoxide anion production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lipid peroxidation. Toxicology 41: 193-204 

  4. Butler TC. 1990. Reduction of carbon tetrachloride in vivo and reduction of carbon tetrachloride and chloroform in vitro by tissues and constituents. J Pharmacol Exp Ther 134: 311-319 

  5. Halliwell B. 1994.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 curiosity cause, or consequence? Lancet 344: 721-724 

  6. Kang I, Kim H, Chung C, Kim S, Oh D. 2000. Effects of Protaetia orientalis (Gory et Perchlon) larva on the lipid metabolism in ethanol administer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479-484 

  7. Yamada M, Nakamura K, Saido-Sakanaka H, Asaoda A, Yamakawa M, Sameshima T, Motobu M, Hirota Y. 2004. Effect of modified oligopeptides from the beetle Allomyrina dichotoma on Escherichia coli infection in mice. J Vet Med Sci 66: 137-142 

  8. Jeune KH, Jung MY, Chol SJ, Lee JW, Park WH, Cho SH, Lee SH, Chung SR. 2001. Immunomodulating effect of the lectin from Allomyrina dichotoma. Kor J Pharmacogn 32: 31-38 

  9. Lee S, Park Y, Cho S. 1993. Protective effect of Oenanthe javanica extract on the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J Korean Soc Food Nutr 22: 392-397 

  10. Lee KJ, Jeong HG. 2002. Protective effect of Platycodi radix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Food Chem Toxicol 40: 517-525 

  11. Reitman S, Frankel S. 1957.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m J Clin Pathol 28: 56-63 

  12. Karmen A. 1955. A note on the spectrophotometric assay of glutamic oxaloacetic transferase in human blood serum. J Clin Invest 34: 131-133 

  13. Ohkawwa H, Ohishi N, Yagi K.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351-360 

  14. Habig WH, Pabst MJ, Jabby WB. 1974. Glutathionine S-transferase. The first enzymatic step mercapturic acid information. J Biol Chem 249: 9-16 

  15. Lowry OH, Resebrough NJ, Farr AL, Randal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2 

  16. Park HY, Han MJ, Choi EC, Kim DH. 1999. Bifidobacterium breve K-110, K-111 and B. infantis K-525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096-1100 

  17. De Groot H, Noll T. 1986. The crucial role of low steady state oxygen partial pressures in haloalkane free-radical mediated lipid peroxidation. Biochem Pharmacol 35: 15-19 

  18. Recknagel RO, Glende EA Jr, Dolak JA, Waller RL. 1989. Mechanisms of carbon tetrachloride toxicity. Pharmacol Ther 43: 139-154 

  19. Hsiao G, Shen MY, Lin KH, Lan MH, Wu LY, Chu DS, Lin CH, Su CH, Cheu JR. 2003. Antioxidative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ntrodia camphorata extract. J Agric Food Chem 51: 3302-3308 

  20. Kim N, Lee J, Kim S, Park M, Kim S. 2005.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Kochiae fructus extract in the alleviation of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Nutr Sci 8: 212-218 

  21. Lieber CS. 1991. Hepatic, metabolic and toxic effects of ethanol. Alcohol: Clin Exp Res 15: 573-592 

  22. Dwivedi S, Sharma R, Sharma A, Zimniak P, Ceci JD, Awasthi YC, Boor PJ. 2006. The course of $CCl_{4}$ induced hepatotoxicity is altered in mGSTA4-4 null(-/-) mice. Toxicology 218: 58-66 

  23. Sheu JR, Le CR, Hsaio G, Hung WC, Lee YM, Chen YC, Yen MH. 1999. Comparison of the relative activities of $\alpha$ -tocopherol and PMC platelet aggregation and oxidative activity. Life Sci 334: 18-26 

  24. Kim TH, Yang KS, Park SA. 1999. Effects of Youngkaechulgamtang on hepatotoxicity. Kor J Pharmacogn 30: 12-17 

  25. Kalinichenko VV, Bhattacharyya D, Zhou Y, Gusarova GA, Kim W, Shin B, Costa RH. 2003. Foxf1 +/- mice exhibit defective stellate cell activation and abnormal liver regeneration following $CCl_{4}$ injury. Hepatology 37: 107-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