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더덕에서 약용식물을 이용한 당근뿌리혹선충 증식 억제 효과
Some Medicinal Plants Suppressed Reproduction of Meloidogyne hapla on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45 no.3 = no.144, 2006년, pp.347 - 355  

임주락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황창연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류정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최영근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약용식물 25종 중 지모, 창포, 쇠무릎, 짚신나물, 패랭이, 큰뱀무, 약모밀, 원추천인국, 아주까리, 현삼, 흑참깨, 기린초, 오이풀 등 13종의 식물체 추출액 5배와 10배의 희석농도에서 살선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덕을 Pot에 파종하여 13종의 식물 추출액 5배액의 살선충 효과를 평가한 결과 짚신나물을 제외한 12종의 식물체 추출액에서 살선충 효과가 있었고, 지모, 쇠무릎, 창포, 패랭이, 원추천인국, 아주까리 등 6종의 추출액은 80% 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선발된 약용식물을 재배했었던 포장에 더덕을 파종하고 당근뿌리혹선충의 감염정도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짚신나물을 제외한 지모 등 12종의 식물 포장에서 뿌리혹 및 토양 내 유충밀도가 적게 발생하였으며, 8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선발된 약용식물을 퇴비처럼 처리한 포장에 더덕을 파종하였을 때는, 뿌리혹수 및 난낭수, 토양 내 유충밀도가 무처리에 비해서 흑참깨 처리를 제외하고는 적게 발생하였으나, 방제효과는 선발된 약용식물을 재배했던 포장에 비해 크게 떨어졌으며, 쇠무릎과 창포 처리의 방제가만 70% 이상으로 다른 식물에 비해 좋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ssible nematicidal effects of plant extracts of 25 species uninfected by M. hapla were observed at the 5 times dilutions in all treatments and at the 10 times dilutions in Anemarrhena asphodeloides, Acorus calamus, Achyranthes japonica, Agrimonia pilosa, Dianthus chinensis, Geum aleppicum, Houttu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전국적으로 가장 흔히 자생하면서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쓰이는 더덕을 대상으로 더덕에 가장 큰 피해를 주고 있는 당근 뿌리혹선충에 대한 증식을 억제할 가능성이 높은 여러가지 약용식물의 살 선충 효과를 검토하고 살선충 효과가 큰 식물을 대상으로 포트실험과 포장실험을 수행하여 더덕에서 발생하는 당근 뿌리혹선충에 대한 방제 방법 및 방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향후 살선충 활성 물질 개발과 식물기생선충 방제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jayi, V.A., C.N. Akem and S.O. Aedsiyan. 1993. Comparison of nematicidal potential of Vernonia amygdalina leaf extract and carbofuran on the growth and yield of root-knot nematode infested soyabean. Afro Asian J. of Nematol. 3: 119-127 

  2. Belair, G. and D.L. Benoit. 1996. Host suitability of 32 common weeds to Meloidogyne hapla in organic soils of southwestern Quebec. J. of Nematol. 28: 643-647 

  3. Belcher, J.V. and R.S. Hussey. 1977. Influence of Tagetes patula and Arachis hypogaea on Meloidogyne incognita. Plant Dis. Reptr. 61: 525-528 

  4. Choi, K.S. and K.S. Boo. 1989. Effect of extracts from some selected wild plant species on larval development and adult oviposition in Heliothis assulta. Kor. Appl. Entomol. 28: 113-119 

  5. Kim, D.G. 2001. Occurrence of root-knot nematodes on fruit vegetables under greenhouse conditions in Kor. Res. Plant Dis. 7: 69-79 

  6. Kim, H.H., H.Y. Choo, C.G. Park, J.J. Lee and D.Y. Jeong. 1998a. Antagonistic plant survey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root-knot nematode in greenhouse. Kor. J. Appl. Entomol. 37: 91-95 

  7. Kim, H.H., H.Y. Choo, C.G. Park, S.M. Lee and J.B. Kim. 1998b. Biological control of the nothern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hapla with plant extract. Kor. J. Appl. Entomol. 37: 199-206 

  8. Kweon, J.H., Y.J. Ahn, H.W. Kwon, K.S. Jang and K.Y. Cho. 1994. Larvicidal and antifeeding activities of oriental medicinal plant extracts against Plutella xylostella (Lepidoptera; Yponomeutoidae) and Spodoptera litura (Lepidoptera; Noctudiae). Kor. J. Appl. Entomol. 33: 225-229 

  9. Lenne, J.M. 1981. Controlling Meloidogyne javanica on Desmodium ovalifolium with grasses. Plant Dis. 65: 870-871 

  10. Lim, S.H., Z.Z. Yong, M.S. Kim, Y.S. Lee, J.S. Son, D.S. Park, J.H. Hur, H.Y. Kim, H.J. Choi, K.H. Kim and S.M. Kim. 2004. Nematicidal activity of Korean native plants against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Kor. J. Pesticide Sci. 8: 353-357 

  11. Mani, A, Ahmed, S.N., Kameswar Rao, P. and V. Dakshina Murti. 1986.: Int. Nematol. Network Newsl. 3: 14 

  12. Mankau, R. 1980. Biological control on nematode pests by natural enemies. Annual Review of Phytopathol. 18: 415-440 

  13. Ramraj, P., K. Alagumalai, and C.S.S. Hepziba. 1991. Effect of leaf extract of Origanum vulgare (Fam. Lamiaceae) on the hatching of eggs of Meloidogyne incognita. Indian J. of Nematol. 21: 156-157 

  14. Rangaswamy, S.D. and P.P. Reddy. 1993. Effect of leaf extracts of trap crops on the growth of tomato and development of Meloidogyne incognita. Current Nematol. 4: 7-10 

  15. Sartaj, A.T., M.A. Siddiqui, and A,M. Mashkoor. 1986. Int. Nematol. Network Newsl. 3: 16 

  16. Song, C., I.T. Hwang, K.S. Jang and K.Y. Cho. 1999. Effect of soil organic matter content on activity change, vertical migration, and persistence of two nematicides, Carhofuran and Ethoprophos, to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Kor. J. Appl. Entomol. 38: 47-52 

  17. Taylor, A. L. 1967. Introduction to research on plant nematology. No. PLICP/5.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at the United Nation, Rome 00100, Italy 

  18. Vats, R. and S.N. Nandal. 1993. Effect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leaves extracts of neem and Eucalyptus used as bare-root-dip treatment of tomato seedlings against Meloidogyne javanica. Current Nematol. 4: 15-18 

  19. Wani. A.H. and A.P. Ansari. 1993. Effect of root exudates of some plants belonging to family Compositae on the mortality of some phytonematodes. Current Nematol. 4: 81-84 

  20. Yang, K.J., E.S. Doh and K.H. Kim. 1996. Screening and utilization of antagonistic plants to control nothern root-knot nematode in ginseng fields. Kor. J. Ginseng Sci. 20: 331-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