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매생이 열수추출물의 항암 및 면역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적정 추출 및 정제조건, 당 조성, 암세포독성, sarcoma-180 성장저지 효과, 백혈구수 변화, 보체계 활성, 장관 면역 활성, 경구독성 등을 검토하였다. 매생이 보체계 활성물질$100^{\circ}C$의 물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4배량의 주정으로 24시간 침전시킨 다음 투석 및 한외여과하여 분자량 300kDa 이상의 고분자 물질을 분리정제 하였으며 당 조성은 xylose 19.01%, fucose 15.29%, mannose 4.23%, galactose 7.92%로 나타났다. In vitro에서 매생이 보체계 활성물질의 인체 암세포에 대한 독성은 고농도($10-30{\mu}g/ml$)에서만 경미하게 나타났으며, in vivo시험에서는 매생이 추출물의 투여로 마우스 고형암의 성장이 대조군에 비하여 40.13-59.42%가 저해되었다. 그러나 수명 연장율은 실험군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정제한 매생이 추출물을 마우스의 복강에 투여한 결과, 혈중 백혈구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20mg/kg 투여군 39%, 50mg/kg 투여군 70%, 100mg/kg 투여군 83%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면역과 관련이 있는 간장, 비장, 흉선의 중량이 증가하였다. 매생이 추출물을 마우스에 경구투여하고 분변으로 배출되는 IgA 항체의 양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이 $2,092{\pm}123.0{\mu}g/mg$인 데에 비하여 매생이 추출물 투여군은 $2,454{\pm}113.8-2,670{\pm}133.1{\mu}g/mg$로 높게 나타났다. 매생이로부터 추출한 면역증강물질은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을 측정한 결과, 체중 1kg당 2,000mg 투여 시 까지도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인체에도 무해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immunostimulating and anticancer activities from hot water extract of Capsosiphon fulvescens, tumor cell toxicity, sarcoma-180 growth inhibition activity, complement system-activity, intestinal immune system and oral toxicity were performed. The extract of Capsosiphon fulvescen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시료의 면역 활성을 측정하기위한 방법으로 보체계 활성을 Mayer의 방법10)으로 측정하였다. 즉, 시료(50μl)에 혈청(50μl)과 gelatin veronal buffer GVB++) 50μl를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GVB++750μl를 가한 후양의 감작적혈구를 250" 가해 37P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PBS(2.5mZ)를 가하여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의 흡광도(412 nm)를 측정하였으며, 보체계 활성은 대조군의 총보체용혈(total complement hemolysis, TCH50)에 대한 저해율(inhibition total complement hemolysis, ITCH50)로서 나타내었다
  • 매생이는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전통적으로 식용에 이용되어 온 해조류로써 독성으로 인한 인체 안전성에는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나 매생이로부터 보체계 활성물질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특정 성분이 농축되어 독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마우스를 대상으로 매생이 추출물에 대하여 경구독성을 측정하였다(Table 9). 그 결과 모든 시험군이 14일 동안 사망하거나 일반상태의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체중증가량도 0.
  • 개발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총 102종의 해양생물로부터 in vitro에서 보체계 활성물질을 탐색하였으며 그 중 활성이 높고 자원량이 비교적 풍부하여 산업화가 용이할 것으로 판단되는 매생이(Capsosiphon Jhlvescens)를 대상으로 면역 활성물질의 적정추출조건 및 정제조건을 검토하고 5종의 인체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였으며 정제한 면역 활성물질의 당조성 분석, in vivo에서의 장관면역 활성 확인, 마우스 육종세포 성장저해 효과, 급성독성시험 등을 실시하였다.
  • 장관면역 활성 측정. 마우스(Balb/c) 32마리를 대조군(PBS 투여), 매생이 추출물 투여군(20, 50, 100mg/kg체중)으로 구분하여 각각 7일간 구강에 투여한 다음 소장의 IgA 항체 생산 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변 중의 IgA 항체량을 측정하였다. 신선한 분변 2-4알을 tube에 채취하여 중량을 측정하고 0.
  • 급성독성 시험. 마우스를 대상으로 매생이 추출물을 100, 500, 1,000, 2,000 mg/kg 농도로 경구투여하고 14일 동안 사망여부, 체중변화 및 일반상태(털, 경련, 설사, 눈물, 보행 등)를 관찰하였다.
  • In vitro에서 고형암 성장 저지실험. 마우스의 왼쪽 서혜부에 종양세포(Sarcoma-180)를 이식한 후 24시간 후부터 20일간 연속적으로 매생이 추출물을 복강에 투여하고 32일째 되는 날에 고형암의 무게를 측정한 후 다음 식에 따라 종양성장 저지율을 측정하였다.
  • 장관면역 활성. 매생이 추출물의 기능성 식품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장관면역 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마우스에 매생이 추출물을 투여한 다음 소장의 IgA 항체 생산 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기 분변 중의 IgA 항체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마우스 분변 중 IgA 항체량은 대조군이 2,092±123.
  • 추출.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는 전남 완도에서 11월에 채취하여 실험실까지 저온상태로 운반한 다음 담수로 깨끗이 씻은 후 열풍건조기(60℃)에서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0.84 mm 표준체를 통과한 분말에 20배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적정 추출온도와 시간을 조사하였으며 추출수율은 추출분획을 건조한 중량을 추출에 사용된 시료의 중량게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 당 조성 분석. 매생이로부터 추출한 보체계 활성물질의 당 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매생이(SP-0)에 증류수 20배를 가하여 1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였다(SP-1). 이 추출물을 1/20 부피로 진공농축하여 4배량의 알코올을 가한 다음 41에서 24시간 동안 정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증류수에 녹인 다음 24시간 투석한 것을 진공 동결 건조하여(SP-2) 각각 당분석용 시료로 제공하였다.
  • 매생이를 탈이온수로 깨끗하게 세척, 탈염한 후에 열풍건조기로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물 20배를 가한 후 추출시간 및 온도에 따른 수율 및 보체계 활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먼저 추출온도를 10(FC로 하여 추출시간에 따른 보체계 활성 및 수율의 변화를 Fig. 1에 나타내었다. 매생이의 보체계 활성물질 수율은 추출 4시간까지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나, 보체계 활성은 추출 3시간까지 증가하다가 그 후 감소하였다.
  • 면역 활성물질의 추출. 면역 활성물질의 일종인 보체계 활성물질이 대부분 열수에서 용이하게 추출되고, 현재 유통되는 보체계 활성화 다당류(oomplement system activating polysaccharide) 관련 상품도 건강보조식품임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식품공전에 적합한 열수추출 방법을 선정,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즉 매생이를 탈이온수로 깨끗하게 세척, 탈염한 후에 열풍건조기로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물 20배를 가한 후 추출시간 및 온도에 따른 수율 및 보체계 활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 활성물질의 정제. 면역 활성물질의 활성을 높이기 위하여 현행 식품공전에서 식품의 추출용매로 사용이 가능한 주정을 이용한 침전분리와 한외여과장치에 의한 분획을 실시하였다. 즉, 매생이 열수추출물을 1/20 부피로 진공농축하여 4배량의 주정을 가한 다음 4P에서 24시간 동안 정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증류수에 녹인 다음 24시간 투석한 것을 한외여과 하여 분자량별로 분획하였다.
  • 매생이로부터 추출한 보체계 활성물질의 당 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매생이(SP-0)에 증류수 20배를 가하여 1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였다(SP-1). 이 추출물을 1/20 부피로 진공농축하여 4배량의 알코올을 가한 다음 41에서 24시간 동안 정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증류수에 녹인 다음 24시간 투석한 것을 진공 동결 건조하여(SP-2) 각각 당분석용 시료로 제공하였다. 당 조성분석은 동결건조 시료 0.
  • 2 mg을 Chaplin의 방법11)에 따라 전처리하여 가스크로마토그레피로 분석하였다(Table 1). 정량은 내부 표준물질 (myo-inositol)과 표준시약(D-xylose, D-fucose, D- mannose, D-glucose, D-galactose)을 시료와 동일하게 TMS 화하여 농도별 상대적인 면적비를 구하여 환산하였다.
  • 백혈구수 및 면역관련 장기 무게의 측정. 정제한 매생이 추출물을 실험동물(Female ICR mouse)의 복강에 농도별(체중 1kg당 0, 20, 50, 100 mg)로 10일간 연속적으로 투여하고, 시료투여 최종일로부터 1일, 2일, 4일, 7일째 되는 날에 채혈하여 hemacytometer로 백혈구수를 측정하였으며, 8일째 되는 날 실험동물을 경추탈골법으로 치사시킨 다음 체중을 측정한 후 간, 비장 및 흉선을 적출하여 각각의 무게를 체중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었다.
  • 수명연장 실험. 종양세포(Sarcoma-180)를 마우스의 복강에 이식한 후 24시간 후부터 10일간 시료를 복강에 투여하여 35일까지의 생존여부를 관찰하고 평균수명일수를 계산하여 다음 식으로부터 수명연장율을 구하였다.
  • 면역 활성물질의 일종인 보체계 활성물질이 대부분 열수에서 용이하게 추출되고, 현재 유통되는 보체계 활성화 다당류(oomplement system activating polysaccharide) 관련 상품도 건강보조식품임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식품공전에 적합한 열수추출 방법을 선정,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매생이를 탈이온수로 깨끗하게 세척, 탈염한 후에 열풍건조기로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물 20배를 가한 후 추출시간 및 온도에 따른 수율 및 보체계 활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먼저 추출온도를 10(FC로 하여 추출시간에 따른 보체계 활성 및 수율의 변화를 Fig.
  • 면역 활성물질의 활성을 높이기 위하여 현행 식품공전에서 식품의 추출용매로 사용이 가능한 주정을 이용한 침전분리와 한외여과장치에 의한 분획을 실시하였다. 즉, 매생이 열수추출물을 1/20 부피로 진공농축하여 4배량의 주정을 가한 다음 4P에서 24시간 동안 정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증류수에 녹인 다음 24시간 투석한 것을 한외여과 하여 분자량별로 분획하였다. 분자량별 보체계 활성 및 수율을 Table 2에 나타내었다.

대상 데이터

  • 시약. EDTA-gelatin veronal buffered saline(EDTA-GVB++, pH 7.4), GVB++(pH 7.4) 및 IgM hemolysin sensitized sheep erythrocytes(EA, 1 × 109 cell)는 일본 Biotest Co로부터 구입하였고, NHS(normal human serum)는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는 건강한 성인남성(25세)의 자발적 동의를 얻어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즉, 정상인의 정맥혈로부터 얻은 혈액을 25℃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25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1ml씩 분주하여 -7℃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동물실험 결과 통계분석. 실험결과는 평균치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각 실험군간 유의성은 Student's t-test로 검증하여 p value가 0.05 이하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이론/모형

  • 이 추출물을 1/20 부피로 진공농축하여 4배량의 알코올을 가한 다음 41에서 24시간 동안 정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증류수에 녹인 다음 24시간 투석한 것을 진공 동결 건조하여(SP-2) 각각 당분석용 시료로 제공하였다. 조성분석은 동결건조 시료 0.2 mg을 Chaplin의 방법11)에 따라 전처리하여 가스크로마토그레피로 분석하였다(Table 1). 정량은 내부 표준물질 (myo-inositol)과 표준시약(D-xylose, D-fucose, D- mannose, D-glucose, D-galactose)을 시료와 동일하게 TMS 화하여 농도별 상대적인 면적비를 구하여 환산하였다.
  • In vitro에서 암세포에 대한 독성시험. 매생이 추출물의 세포독성은 5종의 인체 암세포(폐암, 난소암, 색소세포암, 중추신경계암, 결장암)를 대상으로 하여 MTT시험법 (Methylthiazoletetmzolium assay)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면역 활성의 측정. 시료의 면역 활성을 측정하기위한 방법으로 보체계 활성을 Mayer의 방법10)으로 측정하였다. 즉, 시료(50μl)에 혈청(50μl)과 gelatin veronal buffer GVB++) 50μl를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GVB++750μl를 가한 후양의 감작적혈구를 250" 가해 37P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PBS(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ow, S. K. A. and Reid, K. B. M. (1988) Complement. In complement, pp. 1-21. IRL Press, Oxford 

  2. Yamada, H., Kiyohara, H., Cyong, J. C., Kojima, Y., Kumazawa, Y. and Otsuka, Y. (1984) Studies on polysaccharides from Anglelica acutiloba. Planta medica 50, 163-167 

  3. Yamada, H. and Kiyohara, H. (1989) Structure of the neutral carbohydrate side chains in anti-complementary acidic polysaccharides from the root of Angelica acutiloba Kitagawa. Carbohydr. Res. 187, 255-265 

  4. Kiyohara H. and Yamada, H. (1989) Structure of an anticomplementary arabinogalactan from the root of Angelica acutiloba Kitagawa. Carbohydr. Res. 193, 173-192 

  5. Yamada, H., Nagai, T., Cyong, J. C. and Otsuka, Y. (1991) Mode of complement activation by acidic heteroglycans from the leaves of Artemisia princeps PAMP. Chem. Pharm. Bull. 39, 2077-2081 

  6. Yamada, H., Kiyohara, H., Cyong, J. C. and Otsuka, Y. (1987) Characterization of anti-complementary acidic heteroglycans from the seed of Coix lachryma jobi var. ma-yuen. Phytochemistry 26, 3269-3275 

  7. Gao, Q. P., Kiyohara, H., Cyong J. C. and Yamada, H. (1988) Characterization of anti- complementary acidic heteroglycans from the leaves of Panax ginseng C.A. MEYER. Carbohydr. Res. 181, 175-187 

  8. Gao, Q. P., Kiyohara, H. and Yamada, H. (1990) Further structural studies of anti-complementary acidic heteroglycans from the leaves of Panax ginseng C.A. Meyer. Carbohydr. Res. 196, 111-125 

  9. Kweon, M. H., Kim, H .I. Sung, H. J. and Yang, H. C. (1994) Core structure of the anti-complementary acidic polysaccharide (PA-IIa-1) from water extract of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Food Biotech. 3, 137-143 

  10. Mayer, M. M., Miller, J. A. and Shin, H. S. (1970) A specific method for purification of the second component of guinea pig complement and a chemical evaluation of the one-hit theory. J. Immunol. 105, 327-341 

  11. Chaplin, M. F. (1982)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analysis of carbohydrate components in glycoproteins using gas-liquid chromatography. Anal. Biochem. 123, 336-341 

  12. Yamata, H., Ra, K. S., Kiyohara, H., Cyong, J. C., Yang, H. C. and Otsuka, Y. (1988) Characterization of ant-complementary neutral polysaccharides from the roots of Bupleurm falcatum. Phytochemistry 27, 3163-3171 

  13. Ra, K. S. (1990) Purification and chemical properties of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s from the Roots of Bupleurum falcatum L. and the fruits of Capsicum annuum L., Ph.D.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4. Shin, K. S., Cho, H. Y., Sung, H. C. and Yang, H. C. (1992) Action mode of the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 purified from Arecae Pericarpium. J. Korean Agric. Chem. Soc. 35, 462-470 

  15. Kweon, M. H., Sung, H. C. and Yang, H. C. (1994) Acidic heteroglycans with anti-complementary activity from the water extract of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Food Biotech. 3, 83-91 

  16. Yamada, H. and Kiyohara, H. (1989) Bioactive polysaccharides from Chinese herbal medicines. Abstract of Chinese Medicines 3, 104-111 

  17. Gao, Q. P., Kiyohara, H., Cyong, J. C. and Yamada, H. (1989) Chemical properties and anti-complementa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fractions from roots and leaves of Panax ginseng C. A. Meyer. Planta Med. 55, 9-13 

  18. Zhao, I. F., Kiyohar, H., Matsumoto, T. and Yamada, H. (1993) Anti-complementary acidic polysaccharides from roots of Lithosperum euchromum. Phytochemistry 34, 719-724 

  19. Yoichi, F., Yoichi, K., Koko, M., Jun-ichi, K. and Tomotari, M. (1999) Effect of bifidobacteria feeding on fecal flora and production of immunoglobulins in lactating mouse. Int. J. Food Microbiol. 46, 193-197 

  20. Arthur, C. and Guyton, M. D. (1986) In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pp. 51-59, W. B. Saunder Company, New York 

  21. Cho, K. J., Lee, Y. S. and Ryu, B. H. (1990) Antitumor effect and immunologt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Bull. Korean Fish. Soc. 23, 345-3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