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 고정원과 SWA on masse sliding retraction 시 전치부 치축 조절 요인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Factors influencing the axes of anterior teeth during SWA on masse sliding retraction with orthodontic mini-implant anchorage: a finite element study 원문보기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v.36 no.5, 2006년, pp.339 - 348  

정혜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서울아산병원 교정과) ,  문윤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서울아산병원 교정과) ,  조영수 (한양대학교 BK21 기계사업단) ,  임승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서울아산병원 교정과) ,  성상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서울아산병원 교정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 고정원을 이용한 교정 치료가 보편화되며, SWA와 이를 이용한 on masse sliding retraction 은 임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치료법이 되었다. 그러나 고정원을 성공적으로 보존하려는 노력에 비해, 발치 공간 폐쇄시 전치부 치축 조절에 관여하는 요인에 대한 보고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1소구치를 제거한 상악 치아와 치주 인대 그리고 치조골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 기준모델을 제작하였고, 제1대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 주호선 10 mm 상방에 식립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고정원으로 사용할 경우, 측절치-견치 사이의 견인 훅의 높이를 변화시키며 후상방 견인력을 가하거나, 주호선에 보상 만곡을 부여하는 것이 전치부 치축 조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시뮬레이션 하였다. 또한 전치부 치축이 설측 경사된 모델을 같은 실험 조건으로 시뮬레이션 하여 발치 공간 페쇄 시 설측 경사된 전치부 치축을 유지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요인을 검토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2 mm 높이의 견인 훅에 대하여 후상방으로 견인력을 가할 경우 발생하는 함입력으로 인하여 전치부 설측 경사가 더 감소되지는 않았다. 견인 훅의 높이가 5 mm인 경우 후상방 견인력을 가하면, 측절치의 치관 순측 및 치근 설측 이동이 일어나고, 견치의 비조절성 후방 경사 이동이 심화되었다. 4 mm의 보상 만곡은 측절치의 치관 순측 및 치근 설측 이동을 일으키고, 견치의 비조절성 후방 경사 이동을 감소시켰다. 또한 전치부가 설측 경사된 모델을 기준모델과 같은 실험 조건으로 시뮬레이션 한 경우 치근면의 응력 분포와 25000배 확대된 그래프 상에서의 치아 이동 양상은 매우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미니 임플랜트-SWA sliding 생역학을 구사 시 견인 훅의 위치와 와이어 상의 보상 만곡의 유무에 의해 전치부의 치축 조절이 달라지며 실제 임상에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 수용자들의 적극적 인식도 심화되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을 것이다. 신문이 일제의 지배방식에 순응해 독자들에게 내선일체와 전쟁협력을 강요했다는 역사적 평가를 듣게 만들었다.사되었으며 그 다음은 근 현대가 18편으로 26.47%, 중세 7편 10.3%, 선사시대 5편 7.35%, 상고시대가 1편으로 1.47%로 나타나 고대 중세, 근 현대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기인계 농약의 특징인 불안정성에 의해 광분해 및 미생물 분해를 통해 이미 분해가 진행 중이어서 본래의 유기인 화합물이 검출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유기인계 농약이 완전히 분해되어 생성된 유기인계 농약 기원의 영양염류가 저수지 내로 많은 양이 유입된다면, 부영양화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농업용 저수지에서 유기인계 농약의 농도 분포는 물론이고 중간 생성물과 그 독성, 광분해 및 미생물 분해의 메커니즘, 그리고 최종 산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삭감율은 BOD의 경우 Scenario 1-1(처리용량 1,500 $m^3$ $day^{-1}$인공습지), scenario 1-2 (처리용량 1,000 $m^3$ $day^{-1}$인 인공습지), scenario 2(면적 4.2ha인 저류지)가 각각 연평균 6.9%, 4.8%, 7.1%의 감소를 보였다. TN은 4.7%, 3.4%, 13.4%의 삭감율을 나타내었으며, TP는 5.6%, 3.9%, 7.3%의 삭감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적용하지 못하였으나, 인공습지와 저류지의 적절한 연계시스템을 적용한다면 저감시설 설치 부지면적과 비용의 감소뿐만 아니라 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With development of the skeletal anchorage system, orthodontic mini-implant (OMI) assisted on masse sliding retraction has become part of general orthodontic treatment. But compared to the emphasis on successful anchorage preparation, the control of anterior teeth axis has not been emph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상악 치열궁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 기준모델(Base model)을 제작하여, 미 니 임 플랜트 고정 원과 SWA 활주 역 학을 이용한 en masse retraction(미니 임플랜트-SWA sli血g)을 기존의 SWA 활주 역학을 이용한 en masse retraction (SWA sliding)'과 비교하고, 주호선에 주가한 즉절치-견치 사이의 견인 훅을 높이거나, 보상 만곡을 부여하는 것이 전치부 치축 조절에 어떤 효과를'발휘하는지를 평가해보고자 시행하였다. 또한 임상에서 발치 공간 폐쇄 시 전 치부 치죽 조절에 더 주의해야 할 경우는 전치부 치 죽이 설측 경사된 경우이다.
  • 본 연구에서는 orthodontic mini-implant 고정원과 SWA 활주 역 학을 이용한 en masse retraction 시 전 치부 치축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제1소구치를 제거한 상악 치아와 치주인대 그리고 치조골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 기준모델과 설측모델을 제작하고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가설 설정

  • 3) 주호선에 부여한 보상 만곡의 양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미니 임플랜트의 식립 위치는 시상면 상으로는 제 2소구치와 제1대구치의 접촉점 상방이며, 식립 높이는 구강 전정의 높이나 부착 치은의 폭 등 해부학적인 한계를 고려하여 주호선에서 10 mm 상방으로 가정하였다. 유한요소모델 상에 미니 임플랜트를 별도로 모델링하지 않고 견인 훅과 미니 임.
  • 유한요소 모델링은 니신사의 치아 모형(Nissin Dental Products, Kyoto, Japan)에 배열된 전치부 치축을 정상으로 가정하여 기준모델을 제작하였다. 치아 모형에 식립된 상악 6전치를 고무 탄성재로 인상 채득하여 고정한 후 3-D scan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ennett JC, Mclaughlin RP. Controlled space closure with a preadjusted appliance system. J Clin Orthod 1990;24:251-60 

  2. Vasquez M, Calao E, Becerra F, Ossa J, Enriquez C, Fresneda E. Initial stress differences between sliding and sectional mechanics with an endosseous implant as anchorage: a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Angle Orthod 2001;71:247-56 

  3. Rhee JN, Chun YS, Row J, A Comparison between friction and frictionless mechanics with a new typodont simulation system.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1;119:292-9 

  4. Proffit WR, Fields HW. Mechanical principles in orthodontic force control. In Contemporary Orthodontics. 3rd ed. St Louis: Mosby; 2000. p. 326-61 

  5. Cope JB. Temporary anchorage devices in orthodontics: a paradigm shift. Semin Orthod 2005;11:3-9 

  6. Park HS, Kwon TG. Sliding mechanics with microscrew implant anchorage. Angle Orthod 2004;74:703-10 

  7. Celenza F, Hochman MN. Absolute anchorage in orthodontics: direct and indirect implant-assisted modalities. J Clin Orthod 2000;34:397-402 

  8. Kim CN, Sung JH, Kyung HM.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initial tooth displacement according to force application point during maxillary six anterior teeth retraction using skeletal anchorage. Korean J Orthod 2003;33:339-50 

  9. Lee YI, Cha KS, Ju JW, Lee JW. Stress analysis of Multiloop Edgewise Arch Wire with various degree of tip back bend : a study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Korean J Orthod 2000;30:127-42 

  10. Cheon OJ, Kim TW, Suhr CH.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asis of the phenomenon produced during retraction of four maxillary incisors. Korean J Orthod 1995;25:525-41 

  11. Park CK, Yang W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location of center of resistance during intrusion of upper anterior teeth. Korean J Orthod 1997;27:259-72 

  12. Tanne K, Sakuda M, Burstone CJ, Three-diment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or stress in the periodontal tissue by orthodontic force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7;92:499-505 

  13. Sung SJ, Baik HS, Moon YS, Yu HS, Cho YS. A comparative evaluation of different compensating curves in the lingual and labial techniques using 3D FEM.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3;123:441-50 

  14. Choi JK. Finite element method for engineer. Seoul: Cheongmoongak publishing; 2004 

  15. Park HJ. Finite element analysis using ANSYS. Seoul: Kwangmoonkag publishing; 2001 

  16. Coolidge E. The thickness of the human periodontal membrane. J Am Dent Assoc 1937;24: 1260-7 

  17. Park HS. Orthodontic treatment using Micro-implant. Seoul: Narae publishing; 2001. p. 5-22, p. 36-46 

  18. Ren Y, Maltha JC, Kuijpers-Jagtman. AM. Optimum force magn.itude for orthodontic tooth movement: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gle Orthod 2003;73:86-92 

  19. Pilon JJ, Kuijper-Jagtman AM, Maltha JC. Magnitude of orthodontic fores and rate of bodily tooth movement. An experimental stud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6;110:16-23 

  20. Lee HK, Chung KR. The vertical location of the center of resistance for maxillary six anterior teeth during retraction using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Korean J Orthod 2001;31:425-38 

  21. Melsen B, Fotis V, Burstone CJ. Vertical force considerations in differential space closure. J Clin Orthod 1990;24:678-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