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도상구균에 대만 에탄올 농도별 은행잎 추출물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microbial Effect of Ginkgo biloba Leaves Extracts according to Concentrations of Ethanol for staphylococcus aureus 원문보기

한국생물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v.21 no.4, 2006년, pp.312 - 316  

이인화 (조선대학교 환경공학부 BK21 바이오가스기반 수소생산 전문인력양성사업팀) ,  심윤 (조선대학교 환경공학부 BK21 바이오가스기반 수소생산 전문인력양성사업팀) ,  최승현 ((주)식물나라) ,  박주영 (조선대학교 환경공학부 BK21 바이오가스기반 수소생산 전문인력양성사업팀) ,  한성우 (조선대학교 환경공학부 BK21 바이오가스기반 수소생산 전문인력양성사업팀) ,  송진영 (조선대학교 환경공학부 BK21 바이오가스기반 수소생산 전문인력양성사업팀) ,  윤석진 (조선대학교 화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은행잎 추출물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먼저 에탄올 농도별로 bilobalide와 ginkgolide A, B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40% 에탄올 용매를 최적 활성농도로 결정하였다. Disc diffusion test, Optical density test을 통한 S. aureus 항균실험 결과 에탄올 추출농도가 증가할수록 항균효과가 증가하나 40% 에탄올 이상에서는 항균활성에 큰 차이가 없었다.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은행잎 에탄올 40% 추출물 16배 농축액을 처리한 균의 세포표면을 확인한 결과 심하게 손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은행잎 추출물로 처리한 균주에서는 세포벽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은행잎 추출물의 주성분인 bilobalide와 ginkgolide A, B가 세포벽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optimal condition for the Ginkgo biloba extraction in ethanol and water binary solvent system has been proposed based on concentration of bilobalide and ginkgolide known as having a antimicrobial components in the range 5% to 70% ethanol in water at $80^{\circ}C$. Concentration of bilo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은행잎 추출물의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고 은행잎 추출물의 staphylococcus에 대한 항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먼저 물에 대한 에탄올 농도별로 bilobalide와 ginkgolide를 성분을 분석하여 최적의 에탄올 농도를 제시하고 추출된 은행잎 추출물을 S. a“re“s에 처리한 후 생균 수 측정 및 세포 형태 관찰을 통해 은행잎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ang, J. S. and S. H. Back (1995), Cytotoxicity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extraction form salvia miltiorrhiza, Kor. J. Phamacogn. 34(4), 293-296 

  2. Kim, G. S., Y. W. Paek, K. M. Ko, S. J. Hwang, Y. J. Kim, S. J. Chung, and B, Hwang (1996), Detection of flavonoid compounds by cell culture of Ginkgo biloba L. Korean J. Biotechnol. Bioeng. 11(1), 1-7 

  3. Nam, S. J., K. U. Kim, D. H. Shin, and S. J, Hwang (1997), Identification of bioloigically active substances from Ginkgo biloba L, Kor J. Weed. Sci. 17(4), 421-430 

  4. Tang, C., X. Wei, and Y. Chunhua (2003), Analysis of ginkgolides and bilobalide in Ginkgo biloba L. extract injection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ion, Journal of Pha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33, 811-817 

  5. Deng, F. and S. W. Zito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as chromatographic-mass spectrometric method for simultaneous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maker compounds including bilobalide, ginkgolides and flavonoids in Ginkgo biloba L. extract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J. Chromatography A. 986, 121-127 

  6. Jaracz, S., S. Malik, and K. Nakanishi (2004), Isolation of ginkgolides A, B, C, J and bilobalide from G. biloba extracts, Phytochemistry 65, 2897-2902 

  7. Lee, W. K., Y. W. Ryu, S. Y. Byun, and H. G. Chun (1993), Effect of nutrients and culture conditions on the cell growth and the flavonol glycosides production in cell culture of Ginkgo biloba, Korean J. Biotechnol. Bioeng. 8, 55-61 

  8. Goh, L. M. L. and P. J. Barlow (2004), Flavonoid recovery and stability from Ginkgo biloba subjected to a simulated digestion process, Food Chemistry 86, 195-202 

  9. Park, Y. G., S. J. Kim, H. Y. Jung., Y. M. Kang, S. M. Kang, D. T. Prasad., S. W. Kim, and M. S. Choi (2004), Variation of Ginkgolides and Bilobalide Contents in leaves and cell cultures of Ginkgo biloba L.,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9, 35-40 

  10. Matsumoto, T. and T. Sei (1987), Antifeedant activities of Ginkgo biloba L. components against the larva of Pieris rapae crucivora, A gric. Biol. Chem. 51, 249-250 

  11. Yang, E. Y., S. M. Hong, Y. J. Ahn, and O. K. Kwon (2001), Ins ecticidal Activities of Bilobalide from Ginkgo biloba Leaves and its Derivatives, Kor. J. Pesticide Science 5(1), 24-29 

  12. Mazzanti, G., M. T. Mascellino., L. Battinelli., D. Coluccia., M. M anganaro, and L. Saso (2000), Antimicrobial investigation of semipu rified fractons of Gingo biloba leaves, J. Enthnopharmacology 71, 8 3-88 

  13. Chung, H. J. (2000),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 puntiaficus indica var. saboten, Kor. J. Soc. Food. Sci. 16(2), 164-169 

  14. Park, S. K., J. R. Park, S. W. Lee, K. I. Seo, S. K. Kang, and K. H. Shim (1995), Antimicrobial activity and heat stability of water-pr etreated extract of leaf mustard dolsan (Brassica juncea), J. Kor. Soc. Food. Nutr. 24(5), 710-715 

  15. Kang, S. K. (1995), Isol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ntimicr obial substance obtained from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Kor. J. Food. Sci. Technol. 24(5), 697-698 

  16. Ryu, Y. J. (2003), Antimicrobial characteristic of Gardenia jasminoi des extract(M. S. Thesis), Dept. of enviromental Biotechnology, Gye 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nogna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