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상성장 탄소섬유/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체 제조 및 전기적$\\cdot$유변학적 거동
Electrical and Rheological Behaviors of VGCF/Polyphenylene Sulfide Composite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0 no.1, 2006년, pp.85 - 89  

노한나 (고려대학교 재료공학과) ,  윤호규 (고려대학교 재료공학과) ,  김준경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분자 하이브리드 센터) ,  이현정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분자 하이브리드 센터) ,  박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분자 하이브리드 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축압출기를 이용한 용융혼련으로 제조한 기상성장 탄소섬유(Vapor Grown Carbon Fiber, VGCF) 충전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복합체외 VGCF 함량에 따른 전기적, 유변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복합체의 파단면 모폴로지 관찰결과, 본 방법은 PPS 매트릭스 내에 VGCF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5\;wt\%$, VGCF 혼입까지는 미충전 PPS와 거의 유사한 전기적 성질과 유변학적 거동을 보였으며 $10\;wt\%$로 VGCF의 혼입양을 증가시켰을 때 현저한 도전성 발현 및 점도 상승, 탄성률의 주파수 무의존성 등 유변학절 성질의 변동이 관찰되었다. 고충전 PPS계에서의 탄성률의 주파수 무의존성은 복합체 내에서의 VGCF의 네트워크 형성으로 인한 건으로 추정되며, 이는 전기적 성질뿐만 아니라 유변학적 성질의 측정결과로부터 복합체 내의 도전성 네트워크의 형성을 확인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vapor grown carbon fiber (VGCF) contents on electr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VGCF filled polyphenylene sulfide (PPS) composites prepared through melt mixing using a twin screw exruder was studied. This method was proved to be quite effective to produce good dispersion of VGCF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 wt% 와 5 wt% VGCF/PPS 나노복합체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장비의 측정범위를 벗어나는 매우 낮은 전도도 값을 나타내므로 문헌상의 미충전 PPS 값으로 대체하여 표시하였다.15 VGCF 10 wt%가 첨가된 복합체의 경우에는 약 2X10-3 값을 나타내다가 VGCF의 양이 증가할수록 전도도 값이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 VGCF 사이의 강한 응집력과 엉킴 현상으로 인해 고분자와의 복합체 제조에는 특별한 분산기술을 요구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축압출기의 강한 전단 응력을 이용하여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VGCF의 모폴로지 및 분산 정도는 field emission-scanning electron microscopy(FE- SEM, Hitachi S4200)과 high resolution-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HR-TEM, JEOL, JEM-4010)를 통해 복합체의 파단면을 관찰하였다.
  • VGCF/PPS 나노복합체의 유변학적 특성은 25 mm의 평행평판 회전점도계(Rheometric사,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 ARES)를 사용하여 질소분위기에서 320 ℃에서 측정하였다 진동테스트는 0.1~100 rad/s의 주파수에서 10% 전단 변형률 범위 내에서 실시하였다.
  • 건조한 혼합물을 이축압출기(Bautek, Korea, Φ=11 mm, L/D=40, co-rotation)를 이용하여 320 ℃, 250 rpm 조건하에서 용융 혼련하여 10~15분 동안 VGCF/PPS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 VGCF/PPS 복합재료의 제조. 고속 혼합기를 이용하여 분말상의 PPS에 다양한 함량의 VGCF(1, 5, 10, 15, 20 wt%)를 섞은 건식 혼합물을 만들고 이를 진공오븐에서 80 ℃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였다.
  • 공급전압은 CAl000(Yokogawa Electric Works Ltd, Jgan)을 이용하였으며, 전압계로는 6512 Programmable Electrometer(Keithley, USA)을 사용하였다. 대기조건에서 1~5 mA의 범위의 전류에 따른 전압을 측정하였으며, 전기 전도도는 전류와 전압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 특성. 복합체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편은 압출기를 통해 제조 후 건조된 복합체를 hot press(Tetrahedron, San Diego, Califonia)를 이용하여 320 ℃에서 5분간 압력(2.5 atm)을 가해 복합체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직류 전기 전도도는 접촉저항의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는 4탐침법(four probe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복합체의 표면분석. 본 연구에서 사용된 VGCF의 표면 모폴로지를 FE-SEM과 HR-TEM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Figure 1). Figure 1(b)에서 볼 수 있듯이 VGCF는 나노미터 단위의 벽들을 다중으로 가진 구조이며 이로 인해 높은 전도도를 가지게 된다.
  • 본 연구에서는 강한 전단 응력의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전도성이 우수한 VGCF를 별도의 전처리 없이 PPS 수지 내에 분산시켜 PPS/ VGCF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나노복합체의 제조에 사용한 VGCF 의 분산성을 SEM과 HR-TEM으로 관찰한 결과, 모든 조성에서 VGCF 의 대부분이 분리되어 매우 잘 분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PPS를 매트릭스로 하고 상업적으로 공급되는 VGCF를 충전제로 하여 초소형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복합체를 제조하고 VGCF 함량에 따른 복합재료 내에서의 VGCF의 분산성과 유변학적 성질 및 전기 전도성을 측정하였다.11

대상 데이터

  • 재료. 사용한 충전제는 일본 쇼와덴코사의 직경 150 nm, 종횡비가 약 10〜500의 분포를 가지고 2800 ℃에서 흑연화 과정을 통해 높은 결정화도를 가지는 VGCF로서 더 이상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 유변학적 특성. 유변학적 거동을 위한 시편은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직경 20 mm, 두께 5 mm의 금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론/모형

  • 5 atm)을 가해 복합체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직류 전기 전도도는 접촉저항의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는 4탐침법(four probe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공급전압은 CAl000(Yokogawa Electric Works Ltd, Jgan)을 이용하였으며, 전압계로는 6512 Programmable Electrometer(Keithley, USA)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R. H. Baughman, A. A. Zakhidov, and W. A. de Heer, Science, 297, 787 (2002) 

  2. H. Shinohara, Recent Advances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anocarbon Materials, CMC, Tokyo, 2003 

  3. P. J. F. Harris, Int. Mat. Rev., 49, 31 (2004); E. T. Thostenson, C. Li, and T. Chou, Compos. Sci. Technol., 65, 491 (2005) 

  4. E. V. Barrera, J.Mineral, Metals and Mat. Soc., 52, 38 (2000) 

  5. P. Potschke, T. D. Fornes, and D. R. Paul, Polymer, 43, 3247 (2002) 

  6. S. A. Gordeyev, F. J. Macedo, J. A. Ferreira, F. W. J. V. Hattum, a nd C. A. Bernardo, Physica B, 279, 33 (2000) 

  7. T. Takahashi, K. Yonetake, K. Koyama, and T. Kikuchi, Macromol Rapid commun., 24, 763 (2003) 

  8. R. J. Kuriger, M. K. Alam, D. P. Anderson, and R. L. Jacobsen, Composites: Part A, 33, 53 (2002) 

  9. J. Sandler, P. Werner, M. S. P. Shaffer, V. Demchuk, V. Altstadt, and A. H. Windle, Composites: Part A, 33, 1033 (2002) 

  10. L.Jin, C. Bower, and O. Zhou, Appl. Phys. Lett., 73, 1197 (1998) 

  11. M. S. P. Shaffer and A. H. Windle, Adv. Meter., 11, 937 (1999) 

  12. D. Qian, E. C. Dickey, R. Andrews, and T. Rantell, Appl. Phys. Lett., 76, 2868 (2000) 

  13. M. Tosaki, H. Sakai, A. Sasaki, Y. Takahashi, M. Matsubara, and M. Endo, Kobunshi Ronbunshu, 62, 585 (2005) 

  14. R. Andrews, D. Jacques, M. Minot, and T. Rantell, Macromol. Mater. Eng., 287, 395 (2002) 

  15. O. S. Carneiro, J. A. Covas, C. A. Bernardo, G. Caldeira, F. W. J. Van Hattum, J. M. Ting, R. L. Alig, and M. L. Lake, Compos. Sci. Technol., 58, 401 (1998) 

  16. F. Mighri, M. A. Huneault, and M. F. Champagne, Polym. Eng. Sci., 44, 1755 (2004) 

  17. Polymer Physics, The polymer society of Japan, p 15-17 (1998) 

  18. Polymer Data Handbook,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 719 (1999) 

  19. K. Lozano, J. Bonilla-Rios, and E. V. Barrera, J. Appl. Polym. Sci., 80, 1162 (2001) 

  20. M. K. Seo and S. J. Park, Chem. Phys. Lett., 395, 44 (2004) 

  21. M. Abdel-Goad and P. Potschke, J. Non-Newtonian Fluid Mech, 128, 2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