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려 초 공복제[公服制] 도입과 복색[服色] 운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daptation of the Official Uniform and the Uniform Color Regulation in the Early Goryeo Dynast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6 no.1 = no.100, 2006년, pp.131 - 142  

임경화 (가톨릭대학교 생활문화학과) ,  강순제 (가톨릭대학교 의류학 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has been done based on the Jeon Si Gwa(田柴科) regulation, the monumental inscription material and the former studies. The background of adapting the official uniform regulation in the early Goryeo Dynasty has been surveyed. Differentiating criterion in the official uniform color like p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전대(前代)의 공복제도와 고려 초기 공복제를 비교하여 고려 초기 공복제도의 도입 배경을 고 찰하고, 전시과 제도와 금석문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자삼(紫衫) 단삼(丹衫) 비삼(緋衫) 녹삼(綠衫) 등의 색채의 구분 기준과 고려 초기 공복제 제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재고하려 한다. 이는 고려만의 공복 색채로 규정된 단색의 사용 배경에 대한 실마리를 찾는 데에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고려 초기 공복제도의 도입 배경을 고찰하고 전시과 제도와 금석문 자료를 분석해 봄으로써 자삼(紫衫) 단삼(丹衫) 비삼緋衫) 녹삼(綠 衫) 등의 공복 색채의 구분 기준을 추론해 보고자 하였다. 고려의 공복제도는 신라에서 받아들였다는 주장과 후주에서 받아들였다는 주장이 있으나 당과 유사한 제도로 변화된 신라 통일 이후의 복제(服 制])와 당의 복제를 받아들인 후주의 복제는 같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의는 별 의미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그동안 공복제도에 관한 여러 선행연구들이 있었으나 고려 초 공복제정의 원칙이나 착용의 기준에 대해서는 아직도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복제도에 대한 또 다른 기록인 경종대의 전시과(田柴科) 제도에 주목하였다. 이를 보면 자삼층(紫衫層) .
  • 또한 전시과에 기록된 자삼 단삼 비삼 녹삼의 구분 기준인 인품에 대해서도 다양한 해석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장에서는 이들 다양한 견해들을 분석하여, 공복제의 기원, 공복색채 분류의 기준, 전시과의 인품 해석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구당서 권 45 지 제 25 與服 

  2. 송사 권 153 지 제 106 여복 5 諸臣服下 士人庶服 

  3. 강은경 (1999 ), 고려시기 향리 공복제. 한국사상과 문화, 제4집, 수덕문화사 

  4. 김당택 (1981). 최승로의 상서문에 보이는 후생과 경종 원년 전시과. 고려 광종 연구, 일조각 

  5. 김미자 (1982). 우리나라 공복에 관한 연구. 복식, 9 

  6. 박정수 (1984). 고려전기 관복제 연구- 동아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7. 신호철 (1981).고려 광종대의 공복제도. 고려 광종 연 구, 일조각 

  8. 이현숙 (1992). 신라말 魚袋制의 성립과 운용. 사학연구, 43 

  9. 정일순 (1989). 공복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정환호 (2003). 신라 골품저의 전개 과정과 진덕왕대 공복저 정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황선영 (1987) 고려 초기 공복체의 성립. 부산 사학, 제10집 

  12. 유송옥 (1998). 한국 복식사 수학사, p. 117 

  13. 고려사 72 지 26 여복 관복 공복(公服) 

  14. 고려사 93 열전 최승로전 

  15. 삼국사기 38, 잡지 7 職官(上), 四天王寺成典條 

  16. 삼국사기 38, 잡지 7 職官(上), 感恩좋成典條 

  17. 唐會要 권 31 與服上 魚袋 

  18. 고려도경 제 7권 

  19. 고려도경 제 19권 

  20. 고려사 제 18권 

  21. 呂氏 春秋 권 5 大樂 

  22. 崔南子 天文訓 紫宮者太一之居也 

  23. 사기 권 27 天官書 索隱 

  24. 고려사 권78 食貨 田制 田架科 

  25. 황선영 (1987) 고려 초기 공복제의 성립. 부산 사학, 제 10집 p. 31 

  26. 노용필 (2001). 고려 경종초 개혁정치와 그 추진세력, 진단학회. 91, p. 38 

  27. 김당택 (1981).최승로의 상서문에 보이는 광종대의 '후생'과경종원년 전시과. 고려광종연구, p. 72 

  28. 황선영 (1991).고려 시정전시과의 분석. 고고역사학지, 제7집 

  29. 신호철 (1981).고려 광종대의 공복제도. 고려 광종 연 구, 일조각 pp. 80-84 

  30. 노용필 (2001). 고려 경종초 개혁정치와 그 추진세력, 진단학회. 91, p. 33 

  31. 고려사 권78 食貨1 경종2년 3월 

  32. 노용필 (2001). 고려 경종초 개혁정치와 그 추진세력, 진단학회. 91, p. 41 

  33. 唐會要 권31 與服上內外官章服 

  34. 구당서 권106 王毛仲傳 

  35. 이현숙 (1992), 신라말 魚袋制의 성립과 운용. 사학연구, 43, p. 22 

  36. 윤성재 (2002). 고려 광종의 정치기반. 고려사학회, p. 147 

  37. 김당택 (1981). 최승로의 상서문에 보이는 광종대의 '후생'과경종원년 전시과. 고려광종연구. p. 64 

  38. 조선금석총람 상. p. 130 

  39.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p.663 

  40. 윤성재 (2002). 고려 광종의 정치기반. 고려사학회, p. 148 

  41. 윤성재 (2002). 고려 광종의 정치기반. 고려사학회, pp. 147-148 

  42. 박경자(1986). 고려시대의 향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pp. 19-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