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산만 해역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동

Spatio-temporal Variation of Mesozooplankton in Asan Bay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1 no.1, 2006년, pp.1 - 10  

이창래 (충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박철 (충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양성렬 (광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신용식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해 중부 연안에 위치한 아산만의 과거 동물플랑크톤 연구는 주로 3개월 간격의 계절별 자료에 근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의 월별 채집을 바탕으로 동물플랑크톤의 월 변동을 파악하고, 수온과 염분, 식물플랑크톤의 출현량을 환경 요인으로 취급하여 이들의 변화 특성 및 이와 동물플랑크톤 분포와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수온은 시간적으로 전형적인 온대수역의 변화양상을 보여주며, 공간적으로는 만의 안쪽에서 연간 변화의 폭이 다소 크게 나타났다. 염분의 계절변화는 장마에 의한 계절변화가 크며 이 시기 인공담수호의 간헐적인 담수유출이 플랑크톤 생태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클로로필 양은 과거에 비해 상당한 증가를 보였는데 만의 안과 밖에서 봄철 대증식의 시작과 기간에서 차이가 있었다. 만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가면서 춘계 대증식이 2월에서 4월로 늦춰졌고, 만 안쪽과 중앙에서는 대증식 기간이 3개월 정도 유지된 반면, 만 바깥쪽에서는 약 1개월 정도로 그 기간이 짧아졌다. 식물플랑크톤의 클로로필 양과 동물플랑크톤의 양, 특히 최 우점종 Acartia hongi의 양 간에는 약하지만 의미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과거 계절별 자료에 근거한 시간변동과 비교하여 월별 채집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ious studies on zooplankton in Asan Bay were mostly based on samples collected seasonally with three months intervals. Present study was aimed to know the temporal variation of meso-zooplankton distribution using the data collected monthly. Relationships between zooplankton abundances and enviro...

주제어

참고문헌 (44)

  1. 김동엽,허형택,1983. 가로림만 요각류의 계절변화에 대하여,해양연구,5; 29-35 

  2. 명철수, 유재명,김웅서, 1994. 아산만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분포. 한국해양학회, 29: 366-375 

  3. 문창호, 박철, 이승용. 1993. 아산만의 영양염 및 입자성 유기물, 한국수산학회지, 26: 173-181 

  4. 박철,1989.연안역 동물플랑크톤 시료의 변이: 반복채집 및 시간별 채집의 필요성. 한국해양학회지, 24: 165-171 

  5. 박철, 1995. 연안생태계 조사방법의 검토. 충남과학연구지. 22:154-168 

  6. 박철, 이평강, 1995. 아산만 요각류 Calanus sinicusss 의 알생산. 한국수산학회지, 28:105-113 

  7. 박철, 이평강, 양성렬, 2002. 계절 염분 변화에 따른 섬진강 하구역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7: 51-59 

  8. 박철, 최근형, 문창호, 1991. 아산만 동물플랑크톤 분포와 수직이동, 한국수산학회지, 24:472-482 

  9. 서해립, 서호영, 차성식, 1991. 만경 동진강 하구계의 동물플랑크톤 분포와 염분. 한국해양학회지, 26: 181-192 

  10. 서호영, 서해립, 1993. 광양만의 부유성 요각류 출현량의 계절변동.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0:118-129 

  11. 수로국, 1992. 수로기술연보. 111pp 

  12. 윤석현, 최중기, 2003. 경기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한국해양학회지 바다, 8:243-250 

  13. 이삼석, 1972. 진해만 및 그 인접해역의 부유성 요각류의 분포. 수진원연구보고, 9: 7-27 

  14. 이승용, 1994. 아산만에서 영양염과 입자성 유기물질의 계절변화. 부경대학교 석사학회논문, 57 pp 

  15. 최양호, 1996. 아산만의 해수순화 수치모델링.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1 pp 

  16. Chen, Q. C., 1964. A study of the breeding periods, variation in sex ratio and in size of Calanus sinicus Brodsky,. Oceanol. Limnol. Sinica, 6: 272-295 

  17. Chen, Q. and S. Zhang, 1965. The planktonic copepods of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I. Calanoida. Studia Marina Sinica, 7: 20-131 (in Chinese with English abstract) 

  18. Choi, K. Hand C. Park. 1993. Seasonal fluctu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Asan Bay, Korea. J. Kor. Fish. Soc., 26; 424- 437 

  19. Cushing, D. H., 1975. Marine Ecology and Fishe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8 pp 

  20. Frost, B. W, 1980. Grazing. In;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Phytoplankton, edited by I. Morris, Blackwell, Oxford, pp. 465-491 

  21. Han M. S., S. H. Kim and Y. O. Kim, 1991. Influence of discontinuous layer on 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in Masan Bay, Korea. J. Kor. Fish. Soc., 24: 459-47l 

  22. Hjort, J., 1926. Fluctuations in the year classes of important food fishes. J. Cons. Int. Explor. Mer., 1: 5-38 

  23. Huang, C., S. Uye, and T. Onbe, 1993. Geographic distribution, seasonal life cycle, biomass and production of a planktonic copepod Calanus sinicus in the Inland Sea of Japan and its neighboring Pacific Ocean. J. Plankton Res., 15: 1229-1246 

  24. Huang, J. and Z. Zheng, 1986. The effects of salinity on the distribution of some copepods in the Jiulongjiang estuary. Acta Oceanol. Sinica., 8: 83-91 (in Chinese with English abstract) 

  25. Hulsemann, K., 1994. Calanus sinicus Brodsky and C. jashnovi, nom. nov. (Copepoda: Calanoida) of the North-west Pacific Ocean: a comparison, with notes on the integumental pore pattern in Calanus s. str. Invertebr. Taxon., 8: 1461-1482 

  26. Kim, D. Y., 1985. Taxonomical Study on Calanoid Copepod (Crustacea: Copepoda) in Korean Waters. Ph. D. Thesis, Hanyang Univ., 187 pp 

  27. Kim, S. T., J. H. Kim, S. J. Pae and H. J. Jeong, 2003. Salinity effects on the survival of the metazo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saemankeum areas. J. Oceanol. Soc. Korea, 38: 211-215 

  28. Kimmer, W. J. and A. D. Mckinnon, 1987. Growth, mortality and secondary production of the copepod Acartia tranteri in Westernport Bay, Australia. Limnol. Oceanogr.,32: 14-28 

  29. Lee, C. R. and C. Park, 2002. Long-term variation of zooplankton composition and abundance in Asan Bay, Korea: is it influence of dyke construction? The Yellow Sea, 8: 9-18 

  30. Lin, Y. and S. Li, 1984. A preliminary study on the life cycle of Calanus sinicus Brodsky in Xiamen Harbour. J. Xiamen Univ. (Natural Sci), 23: 111-117 (in Chinese with English abstract) 

  31. Lin, Y. and S. Li, 1986. Laboratory survey on egg production of marine planktonic copepod Calanus sinicus in Xiamen Harbour. J. Xiamen Univ. (Natural Sci), 25: 107-112 (in Chinese with English abstract) 

  32. Park C., 1997. Seasonal distribution, eggs production and feeding by the Marine copepod Calanus sinicus in Asan Bay, Korea. J. Oceanol. Soc. Korea, 32: 85-92 

  33. Park, C., P. G Lee and C. R. Lee, 1998. Seasonal variation in abundance, species occurrence and species diversity of zooplankton in Asan Bay, the Yellow Sea over the last eight years. The Yellow Sea, 4: 40-48 

  34. Park S. C. and D. G. Yoo, 1997. Bedform distribution and sand transfort trend on a subtidal sand ridge in a macrotidal bay, west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34: 181-190 

  35. Parsons, T. R., Y. Maita and C. M. Lalli,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Oxford, 173 pp 

  36. Shim, J. H. and G. H. Yun, 1990. Seasonal variation and production of zooplankton in Chonsu Bay, Korea. J. Oceano!. Soc. Korea, 25: 229-239 

  37. Uye, S., 1988.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and growth of Calanus sinicus (Copepoda: Calanoida) in the laboratory. Hydrobiologia, 167/168: 285-293 

  38. Uye, S., 1991.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plankton copepod Paracalanus sp. in the laboratory. Bull. Plankton Soc. Japan, spec. vol., 627-638 

  39. Uye, S., C. Huang and T. Onbe, 1990. Ontogenetic diel vertical migration of the planktonic copepod Calanus sinicus in the Inland Sea of Japan. Mar. Biol., 104: 389-396 

  40. Uye, S., N. Shibuno, 1992. Reproductive biology of the planktonic copepod Palacalanus sp. in the Inland Sea of Japan. J. Plankton Res., 14: 343-358 

  41. Wang, R. and T. Zuo, 2004. The Yellow Sea Warm Current and the Yellow Sea Cold Bottom Water, their impact on th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the southern Yellow Sea. J. Oceanol. Soc. Korea, 39: 1-13 

  42. Wang, R., T. Zuo and K. Wang, 2003. The Yellow Sea Cold Bottom Water - an oversummering site for Calanus sinicus (Copepoda, Crustacea). J. Plankton Res., 25: 169-183 

  43. Yamada K., J. Ishizaka, S. Yoo., H. Kim and S. Chiba, 2004.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sea surfac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the Japan/East Sea (JES). Prog. Oceanogr., 61: 193-211 

  44. Youn, S. H., 2004.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and Production of Copopod Acartia hongi in Kyeonggi Bay, Korea. Ph.D. Thesis, Inha Univ., 306 p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