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오염토양부지 정보관리체계 구축방안: 국내외 현황 및 시사점
Developing an Effici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Soil Contaminated Sites in Korea: State-of-the-art and Suggestions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1 no.6, 2006년, pp.1 - 7  

황상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김훈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이양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토양오염 관련정보를 DB화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정보관리체계구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 내외 정보관리체계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 문제점을 파악한 후 정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외국사례 및 국내 현황을 살펴본 결과, 1) 정보관리 및 정보공개에 대한 선언적 조항을 '토양환경보전법'에 추가, 2) 정화단계별 세부규정 및 지침서 개발, 3) 정보의 전자화, 4) 정보관리주체 일원화, 5) 주민참여 및 정보공개제도 개선 등을 법제도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인 두 번째 연구에서는 국내적용 가능한 정보체계 구축(안)을 설정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hole objective of two papers in series was to develop the framework of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MS) for soil-contaminated sites. In this work, we investigated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management in our country and the IMSs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Germany, Netherlan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정화관련정보 관리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을 소유한 ○○주유소의 정화사업과 국내 대표적인 정화사례인 부산 문현지구 정화사업에 대해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토양오염 관련정보를 DB화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정보관리체계구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외 정보관리체계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 문제점을 파악한 후 정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외국사례 및 국내 현황을 살펴본 결과,1) 정보관리 및 정보공개에 대한 선언적 조항을 ‘토양환경보전법’에 추가 이에 본 2편 연계논문의 연구목적은 토양오염 관련정보를 DB화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정보관리체계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연구인 본 논문은 국내외 정보관리체계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 문제점을 파악한 후 정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오염토양부지에 대한 효율적인 정보관리시스템 구축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가? 우리나라에서 오염토양부지에 대한 효율적인 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국내 토양관련 법·제도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외국 체계의 장점을 가미하는 형태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독일과 네덜란드의 관련법이 우리나라처럼 사전 예방규정과 사후 처리규정을 모두 포함하고 있고, 특히 독일의 경우 현재 BIS라는 토양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어(네덜란드는 아직 연방차원에서의 정보관리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음) 독일의 관련정보관리시스템을 우리나라 정보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선행모델로 삼을 만하다.
오염토양 발견 및 정화에 대한 정보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정화사업을 실시하면 오염 토양발견에서부터 정화 완결까지 수많은 정보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들로는 토지이용 이력(history), 지질학적 특성, 주변 토지이용, 오염이력, 오염물질 특성 및 부지내·외 분포, 오염도 개략조사/정밀조사/정화의 참여자 범위 및 역할, 정화공법의 선정·설계·시공·검증·사후관리 결과, 부지 재사용 현황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많은 정보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현행 법·제도상에는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다.
토양오염 관련정보 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 법 제도적으로 어떤 사항들을 보완할 필요가 있는가? 본 연구는 토양오염 관련정보를 DB화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정보관리체계구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 내외 정보관리체계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 문제점을 파악한 후 정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외국사례 및 국내 현황을 살펴본 결과, 1) 정보관리 및 정보공개에 대한 선언적 조항을 '토양환경보전법'에 추가, 2) 정화단계별 세부규정 및 지침서 개발, 3) 정보의 전자화, 4) 정보관리주체 일원화, 5) 주민참여 및 정보공개제도 개선 등을 법제도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인 두 번째 연구에서는 국내적용 가능한 정보체계 구축(안)을 설정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농업과학기술원, 1999, 한국의 토양환경정보시스템 

  2. 농업과학기술원, 2002, 농업토양환경정보DB화 구축 완료보고서 

  3. 박용하, 1997, 토양질 측정자료의 관리체계 구축방안 

  4. 부산광역시 남구, 2003, 문현지구 토양환경 복원사업의 성공적성과 사례 

  5. 지광훈, 1999, 지질자원정보 DB 시스템 구축 

  6. 한국수자원공사, 2003, 국가지하수정보센터 구축을 위한 선진사례 조사 

  7. 환경부, 1999, 2000, 2002, 환경정보화촉진시행계획(안) 

  8. 환경부, 1999, 효율적인 토양오염조사체계 구축방안 연구 

  9. 환경부, 2003, 토양오염실태조사 지침 

  10. 환경부, 2004, 토양측정망설치계획 

  11. European Environment Agency, 2000, Management of contaminated sites in Western Europe 

  12. German Federal Ministry for the Environment, 2002, German Federal Government Soil Protection Report, Germany 

  13. Kranenburg, J.K., 2003, The Dutch solution to soil-pollution legislation to solve 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International Symposium on Soil Pollution Prevention: Policy and Remediation Technology,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4. USEPA, 1988, Guidance for Conducting Remedial Investigations and Feasibility Studies under CERCLA 

  15. USEPA, 1990, Final Guidance on Administrative Records for selecting CERCLA Respose Actions 

  16. USEPA, 1991, Guidance for Performing Preliminary Assessments Under CERCLA 

  17. USEPA, 1992, Guidance for Performing Site Inspections Under CERCLA 

  18. USEPA, 1995, Guidance for Scoping the Remedial Design 

  19. USEPA, 2001a, Comprehensive Five-Year Review Guidance 

  20. USEPA, 2001b, Operation and Maintenance in the Superfund Program 

  21. 국가환경기술정보센터, www.konetic.or.kr 

  22. 농업토양정보시스템, asis.rda.or.kr 

  23. 지질자원정보시스템, www.kigam.re.kr 

  24. 지하수정보관리시스템, www.gims.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