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아 검은쌀 올리고펩타이드의 각질형성세포에서 Hyaluronan Synthase 발현과 피부 탄력 개선 효과
Sprouted Black Rice Oligopeptide Induces Expression of Hyaluronan Synthase in HaCaT Keratinocytes and Improves Skin Elasticity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2 no.1 = no.55, 2006년, pp.7 - 15  

심관섭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소) ,  이동환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소) ,  김진화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소) ,  이범천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소) ,  안성관 (건국대학교 생물화학공학부) ,  최태부 (건국대학교 생물화학공학부) ,  표형배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발아 검은 쌀로부터 분리한 올리고펩타이드($Oligosproutin^{(R)}$)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올리고펩타이드가 각질형성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DNA microarray를 수행하였다. 각질형성세포에 올리고펩타이드를 처리하여 유전자의 발현이 2배 이상 증가하는 유전자는 745개이고, 2배 이상 감소하는 유전자는 1011개로 나타났다. 이 중 hyaluronan synthase 2 (HAS2)의 유전자 발현이 2배 이상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올리고펩타이드를 처리한 각질형성세포에서 세포활성 증가, HAS2 유전자 발현 증가,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올리고펩타이드를 함유한 O/W 에멀젼을 이용한 임상실험에서 피부의 탄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아 검은 쌀로부터 분리한 올리고펩타이드는 피부 탄력 개선을 주는 항노화 화장품 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ffect of oligopeptide ($Oligosproutin^{(R)}$) from sprouted black rice was evaluated for possible improvement in skin elasticity. We examined the changes in gene expression on oligopeptide-treated HaCaT cells using DNA microarray analysis. As a result, oligopeptide t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발아 검은 쌀로부터 분리한 올리고펩타이드(Oligosproutin®)를 이용 DNA microarray를 수행하여 각질형성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세포활성, HAS 유전자 발현, 세포내 항산화 효과와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관찰하였다. 발아 검은 쌀에서 분리한 Oligosproutin®의 DNA microarray 결과 다양한 유전자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중 HAS2 유전자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 S. Kum, B. K. Chio, H. Y. Lee, J. D. Park, and H. J. Park,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Food Preserv., 11, 182(2004) 

  2. R. Fleischmajer, J. S. Perlish, and R. I. Bashey, Human dermal glycosarninoglycans and aging, Biochem Biophys. Acta., 279, 265 (1972) 

  3. M. O. Longas, C. S. Russell, and X. Y. He, Evidence for structural changes in dermatan sulfate and hyaluronic acid with aging, Carbohydr. Res., 159, 127 (1987) 

  4. I. Gheretich, T. Lotti, G. Campanile, C. Grappone, and G. Dini, Hyaluronic acid in cutaneous intrinsic aging, Int. J.Dermatol., 33, 119 (1994) 

  5. P. Heldin, T. C. Laurent, and C. H. Heldin, Effect of growth factors on hyaluronan synthesis in cultured human fibroblasts, Biochem J., 258, 919 (1989) 

  6. P. Heldin, T. Asplund, D. Ytterbeg, S. Thelin, and T. C. Laurent, Characterization of the molecular mechanism involved in the activation of hyaluronan synthetase by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in human mesothelial cells, Biochem J., 283, 165 (1992) 

  7. M. Suzuki, T. Asplund, H. Yamashita, C. H. Heldin, and P. Heldin, Stimulation of hyaluronan biosynthesis by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BB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involves activation of protein kinase C, Biochem J., 307, 817 (1995) 

  8. E. Tirone, C. D. Alessandris, V. C. Hascall, G. Siracusa, and A. Salustri, Hyaluronan synthesis by mouse cumulus cells is regulated by interactions between follicle-stimulation hormone (or epidermal growth factor) and a soluble growth factor) and a soluble factor (or transforming factor- $\beta$ 1), J. Biol. Chem., 272, 4787(1997) 

  9. R. Tammi, J. A. Ripellino, R. U. Margolis, H.I. Maibach, and M. Tammi, Hyaluronate accumulation in human epidermis treated with retinoic acid in skin organ culture, J Invest Dermatiol., 92, 326 (1989) 

  10. H. Akiyama, M. Saito, G. Qiu, T. Toida, and T. Imanari, Analytical studies on hyaluronic acid synthesis by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cultured in a serum-free medium, Biol. Pharm Bull., 17, 361 (1994) 

  11. H. Sobel and R. A. Cohen, Effect of estradiol on hyaluronic acid in the skin of aging mice, Steroids, 16, 1 (1970) 

  12. J. P. Bentley, R. M. Brenner, A. D. Linstedt, N. B. West, K. S. Carlisle, B. C. Rokosova, and N. MacDonald, Increased hyaluronate and collagen biosynthesis and fibroblast estrogen receptors in macaque sex skin, J Invest. Dermatol., 87, 668 (1986) 

  13. K. Miyazaki, T. Hanarnizu, R. Iizuka, and K. Chiba, Genistein and daidzein stimulate hyaluronic acid production in transformed human keratinocyte culture and hairless mouse skin, Skin Phurracol, Appl. Skin Physiol., 15, 175 (2002) 

  14. P. H. Weigel, V. C. Hascall, and M. Tammi, Hyaluronan synthease, J Biol. Chern, 272, 13997 (1997) 

  15. J. P. Pienimaki, K. Rilla, C. Fulop, R. K. Sironen, S. Karvinen, S. Pasonen, M. J. Lammi, R. Tammi, and V. C. Hascall, Epidermal growth factor activates hyaluronan synthase 2 in epidermal keratinocytes and increases pericellular and intracellular hyaluronan, J Biol. Chem.,276, 20428 (2001) 

  16.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55 (1983) 

  17. S. Y. Sea, E. Y. Kim, H. Kim, and B. J. Gwang, Neuroprotective effect of high glucose agains NMDA, free radical and oxygen-glucose deprivation through enhanced mitochondrial potentials, J. Neurosci, 19, 8849 (1999) 

  18. I. D. Trayner, A. P. Rayner, G. E. Freeamn, and E. Farzaneh, Quantitative multiwell myeloid differentiation assay using 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 $H_2$ DCFDA) or dihydrorhodamine 123 ( $H_2$ R123), J. Immunol. Methods, 186, 275 (1995) 

  19. . Y. Tampo, S. Kotarnraju, C. R. Chitambar, S. V. Kalivendi, A. Keszler, J. Joseph, and B. Kalyanaraman, Oxidative stress-induced iron signaling is responsible for peroxide-dependent oxidation of dichlorodihydrofluorescein in endothelial cells, Circ. Res., 92, 56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