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형 및 분지 구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의 합성 및 특성 검토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Linear and Branched Copolymers of Poly(ethylene glycol) and $Poly({\\varepsilon}-caprolactone)$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0 no.2, 2006년, pp.146 - 151  

현훈 (전북대학교 유기신물질공학과) ,  김문석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팀) ,  강길선 (전북대학교 유기신물질공학과) ,  이종문 (전북대학교 유기신물질공학과) ,  이해방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폴리(에틸렌 글리콜)(PEG)과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그룹의 폴리카프로락톤(PCL)으로 이루어진 선형 및 분지 구조의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분자 구조에 따른 다양한 특성을 비교하였다. 선형 및 분지 구조의 1-arm-PEG-PCL, 2-arm-PEG-PCL, 4-arm-PEG-PCL 및 8-arm-PEG-PCL 공중합체는 단량체 활성화제로서 Hcl $Et_2O$의 존재 하에 상온에서 카프로락톤$({\varepsilon}-CL)$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하였다. 합성된 선형 및 분지 구조의 공중합체는 $^{1}H-NMR$, GPC, DSC 및 XRD의 측정을 통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중합체의 가지 수에 따라 열적 특성 및 결정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각 공중합체의 수용액상에서의 미셀 특성은 $^{1}H-NMR$, 광산란기, 원자 현미경 및 형광 측정기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공중합체의 가지 수가 증가할수록 임계 미셀 농도 값과 미셀의 직경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원자 현미경을 통해 관찰된 미셀의 형태는 선형 및 분지 구조의 공중합체 모두 구형으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자 설계를 통해 선형 및 분지 구조의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각 공중합체의 분자 구조에 따른 다양한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수용액상에서 형성된 미셀의 거동을 검토하여 소수성 약물 전달체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near and branched copolymers consisting of poly(ethylene glycol) (PEG) and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 were prepared to compare the characterization of star-shaped copolymers with various molecular architecture. Linear and branched PEG-PCL (1-arm, 2-arm, 4-arm, and 8-arm)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조의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합성된 공중합체의 분자 구조에 따른 다양한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수용액상에서 형성된 미셀의 거동을 검토하여 약물 전달체와 같은 생체재료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형 및 분지 구조의 PEG를 개시제로 하여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계열인 CL의 개환중합을 통해 1-am-PEG-PCL, 2-arm-PEG-PCL, 4-arm-PEG-PCL 및 8-arm-PEG-PCL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분자 설계를 통해 선형 및 분지 구조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각각의 선형 및 분지 구조의 공중합체는 산 촉매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중합하였으며, 합성된 각 공중합체의 열적 특성 및 결정성을 분석한 결과 1-arm에서 &arm으로 가지 수가 증가할수록 #값이 낮아졌으며 결정성 역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S. B. Kharchenko and R. M. Kannan, Macromolecules, 36, 407 (2003) 

  2. T. Furukawa and K. Ishizu, Macromolecules, 36, 434 (2003) 

  3. J. Ueda, M. Kamigaito, and M. Sawamoto, Macromolecules, 31, 6762 (1998) 

  4. S. Angot, K. S. Murthy, D. Taton, and Y. Gnanou, Macromolecules, 31, 7218 (1998) 

  5. N. Hadjichristidis, M. Pitsikalis, S. Pispas, and H. Iatrou, Chem. Rev., 101, 3747 (2001) 

  6. J. P. Kennedy and S. Jacob, Acc. Chem. Res., 31, 835 (1998) 

  7. X. Zhang, J. H. Xia, and K. Matyjaszewski, Macromolecules, 33, 2340 (2000) 

  8. J. H. Xia, X. Zhang, and K. Matyjaszewski, Macromolecules, 32, 4482 (1999) 

  9. K. Baek, M. Kamigaito, and M. Sawamoto, Macromolecules, 34, 215 (2001) 

  10. A. W. Bosman, A. Heumann, G. Klaemer, D. Benoit, J. M. J. Frechet, and C. J. Hawker, J. Am. Chem. Soc., 123, 6461 (2001) 

  11. A. W. Bosman, R. Vestberg, A. Heumann, J. M. J. Frechet, and C. J. Hawker, J. Am. Chem. Soc., 125, 715 (2003) 

  12. R. P. Lanza, R. Langer, and W. L. Chick, Principles of Tissue Engineering, R. G. Landes/Academic Press, Austin, TX, 1997 

  13. B. D. Ratner, A. S. Hoffman, F. J. Schoen, and J. E. Lemons, Biomaterials Science : An Introduction to Material in Medicine, Academic Press, San Diego, CA, 2000 

  14. N. A. Peppas and R. Langer, Science, 263, 1715 (1994) 

  15. L. Christenson, A. G. Mikos, D. F. Gibbons, and G. L. Picciolo, Tissue Eng., 3, 71 (1997) 

  16. J. L. Hernandez-Lopez, R. E. Bauer, W. S. Chang, G. Glasser, D. Grebel-Koehler, M. Klapper, M. Kreiter, J. Leclaire, J. P. Majoral, S. Mittler, K. Mullen, K. Vasilev, T. Weil, J. Wu, T. Zhu, and W. Knoll, Mater. Sci. Eng., C23, 267 (2003) 

  17. M. J. Cloinger, Curr. Opin. Chem. Biol., 6, 742 (2002) 

  18. R. Van Heerbeek, P. C. J. Karner, P. W. N. M. Van Leeuwen, and J. N. H. Reek, Chem. Rev., 102, 3717 (2002) 

  19. M. A. Carnahan, C. Middleton, J. Kim, T. Kim, and M. W. Grinstaff, J. Am. Chem. Soc., 124, 5291 (2002) 

  20. K. M. Huh and Y. H. Bae, Polymer, 40, 6147 (1999) 

  21. H. Qian, J. Bei, and S. Wang, Polym. Degrad. Stab., 68, 423 (2000) 

  22. J. K. Kim, D. Park, M. Lee, and K. J. Ihn, Polymer, 42, 7429 (2001) 

  23. H. Tsuji and K. Ikarashi, Biomaterials, 25, 5449 (2004) 

  24. G. S. Chae, J. S. Lee, J. K. Jeong, S. H. Cho, H. B. Lee, and G. Khang, Polymer(Korea), 28, 335 (2004) 

  25. G. Khang, J. H. Lee, J. W. Lee, J. C. Cho, and H. B. Lee, Korea Polym. J., 8, 80 (2000) 

  26. K. S. Seo, S. K. Jeon, M. S. Kim, S. H. Cho, H. B. Lee, and G. Khang, Polymer(Korea), 28, 232 (2004) 

  27. J. Du and Y. Chen, Macromolecules, 37, 3588 (2004) 

  28. Y. K. Choi, Y. H. Bae, and S. W. Kim, Macromolecules, 31, 8766 (1998) 

  29. I. Bakker-Woudenberg, Int. J. Antimicrob. Agents, 19, 299 (2002) 

  30. V. P. Torchilin, Adv. Drug Deliv. Rev., 54, 235 (2002) 

  31. A. S. Hoffman, Adv. Drug Deliv. Rev., 54, 3 (2002) 

  32. E. W. Merrill and E. W. Salzman, J. Am. Soc. Artif. Intern. Organs, 6, 60 (1983) 

  33. J. H. Lee, J. Kopecek, and J. D. Andrade, J. Biomed. Mater. Res., 23, 351 (1989) 

  34. L. Zhang, C. C. Chu, and I. H. Loh, J. Biomed. Mater. Res., 27, 1425 (1993) 

  35. M. Strock, K. H. Orend, and T. Schmitzrixen, Vasc. Surg., 27, 413 (1993) 

  36. S. Y. Park, D. K. Han, and S. C. Kim, Macromolecules, 34, 8821 (2001) 

  37. S. Foster and E. Kramer, Macromolecules, 32, 2783 (1999) 

  38. L. F. Hancock, S. M. Fagan, and M. S. ZioIo, Biomaterials, 21, 725 (2000) 

  39. X. S. Feng and C. Y. Pan, Macromolecules, 35, 4888 (2002) 

  40. H. Ge, Y. Hu, X. Jiang, D. Cheng, Y. Yuan, H. Bi, and C. Yang, J. Pharm. Sci., 91, 1463 (2002) 

  41. M. H. Huang, S. Li, D. W. Hutmacher, J. T. Schantz, C. A. Vacanti, C. Braud, and M. Vert, J. Biomed. Mater. Res. Part A, 69, 417 (2004) 

  42. H. S. Kang, M. S. Shin, J. D. Kim, and J. W. Yang, Polymer Bulletin, 45, 39 (2000) 

  43. M. S. Kim, H. Hyun, Y. H. Cho, K. S. Seo, W. Y. Jang, S. K. Kim, G. Khang, and H. B. Lee, Polymer Bulletin, 55, 149 (2005) 

  44. M. S. Kim, K. S. Seo, G. Khang, and H. B. Lee, Macromol. RapId. Commun., 26, 643 (2005) 

  45. M. S. Kim, K. S. Seo, G. Khang, S. H. Cho, and H. B. Lee,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42, 5784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