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삼 추출물 첨가 혼합 발효유의 특성
Properties of the Mixed Fermentation Milk Added with Red Ginseng Extract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26 no.1, 2006년, pp.127 - 135  

배형철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남명수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유와 두유를 2:1로 혼합하고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고 2종류의 스타터를 사용하여 발효 특성을 시험하였다. 2종류의 스타터를 사용한 모든 처리구에서 배양 15시간 후 pH는 $3.90{\sim}3.94$ 사이로 나타나 산 생성 촉진 효과가 있었고, 산 생성은 홍삼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조금씩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생균수는 증가하여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50를 스타터로 사용한 균에서 1.0% 홍삼 추출물 첨가량은 $6.26{\times}10^8\;cfu/mL$로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배양 12시간 이후에 대조구에서는 감소하는 반면 홍삼 추출물 첨가구에서는 젖산균수는 계속해서 최대균수를 유지하고 있었다. 유기산 생성은 lactic acid인 경우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50에서 1.0% 홍삼 추출물 첨가구에서 332.22 mM로 가장 높았으며 홍삼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lactic acid의 생성량도 증가되었다. 당 분해율은 두 균주 모두 홍삼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stachylose의 분해율이 증가하였고,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50 균주의 경우 stachylose의 분해율이 최대 19%인 반면,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NU27의 경우 stachylose의 최대 분해율은 54%로서 분해율이 월등히 높았다. 점도는 홍삼추출물 첨가량이 1.0% 첨가구에서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50,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NU27 각각 780 cP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는 0.2%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고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NU27를 스타터로 사용한 발효유가 $4.14{\pm}0.64$로 기호도가 가장 좋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fermentation properties of yogurt with bovine milk and soybean milk at the mixed ratio of 2:1 and added 0.1, 0.2, 0.4 and 1.0% red ginseng extract. The effect on promoting the fermentation by additives 0.1, 0.2, 0.4 and 1.0% red ginseng extracts were 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salivarius CNU 27과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50)을 스타터로 사용하였다. 동물성 영양성분이 풍부한 우유와 식물성 영양성분 이 풍부한 두유를 이용한 ''우유와 두유를 혼합한 발효유의 발효 특성''(Bae and Nam, 2005)에서 기호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우유와 두유의 혼합비율이 2:1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그대로 따랐고 여기에 약리 효과가 우수한 홍삼 추출물을 0.1%, 0.2%. 0.
  • 2%. 0.4%, 1.0% 첨가하여 발효 특성을 구명하 였다
  • 우유와 두유를 2:1로 혼합하고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고 2종류의 스타터를 사용하여 발효 특성을 시험하였다. 2종류의 스타터를 사용한 모든 처리구에서 배양 15시간 후 pH는 3.
  • 탈지유와 두유를 각각 3:1, 2:1, 1:1, 1:2,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발효유의 관능검사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은 2:1 혼합비율을 선정하여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시험하였다. 홍삼 추출물은 담배인삼공사에서 제조판매하는 홍삼 추출물(red ginseng extract)을 구입하여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 홍삼 추출물은 고형분 64%로서 국내산 6년근 홍삼 70%와 홍미삼 30%를 원재료로 제조되었다. 홍삼 추출물을 0.1, 0.2, 0.4, 1.0% 첨가하여 각각의 스타터를 2% 접종하고, 37°C의 항온기에서 15시간 발효하면서 3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산도 pH 및 젖산균수를 측정하였으며, 발효유의 산도가 1.0%에 도달하였을 때의 시료를 채취하여 점도, 관능검사, 유기산 및 유당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단일 균주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50와 Bae 등(2002)이 한국인으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NU27을 사용하였으며, 10% 환원 탈지 유에 2% 첨가하고 2회계 대 배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 발효유 제조에 사용된 스타터는 단일 균주 2종류를 사용하였다. 단일 균주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50와 Bae 등(2002)이 한국인으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 원유는 중남대학교 부속동물사육장에서 사육하고 있는 홀스타인종으로부터 신선한 원유를 크림분리기(Armfield Technical Education Co. LTD. IK)를 이용하여 40°C에서 유지방을 분리한 후 탈지유를 92°C에서 10분간 살균하고 냉각하여 4°C 냉장 보관하면서 1주일 이내에 실험에 사용하였고, Milko Scan(Foss Electric, Denmark)을 사용하여 고형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수분이 89.88%, 단백질이 4.11%, 지방이 0.03%, 유당이 5.44%이었다. 두유는 국내산 백태 품종의 대두를 사용하였으며 두유의 제조는 Lee와 Lee(1997)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 salivarius CNU27은 한국인의 분변에서 분리하였다. 이 유산균은 대두에 함유된 raffinose와 stachyose의 비소화성 당류를 분해하는 효소인 a-galactosidase를 다량으로 분비하는 특성을 가진 그램 양성의 유산간 균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NU 27과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50)을 스타터로 사용하였다. 동물성 영양성분이 풍부한 우유와 식물성 영양성분 이 풍부한 두유를 이용한 ''우유와 두유를 혼합한 발효유의 발효 특성''(Bae and Nam, 2005)에서 기호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우유와 두유의 혼합비율이 2:1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그대로 따랐고 여기에 약리 효과가 우수한 홍삼 추출물을 0.
  • 홍삼 추출물은 담배인삼공사에서 제조판매하는 홍삼 추출물(red ginseng extract)을 구입하여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홍삼 추출물은 고형분 64%로서 국내산 6년근 홍삼 70%와 홍미삼 30%를 원재료로 제조되었다. 홍삼 추출물을 0.
  • 탈지유와 두유를 각각 3:1, 2:1, 1:1, 1:2,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발효유의 관능검사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은 2:1 혼합비율을 선정하여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시험하였다. 홍삼 추출물은 담배인삼공사에서 제조판매하는 홍삼 추출물(red ginseng extract)을 구입하여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홍삼 추출물은 고형분 64%로서 국내산 6년근 홍삼 70%와 홍미삼 30%를 원재료로 제조되었다.

이론/모형

  • 44%이었다. 두유는 국내산 백태 품종의 대두를 사용하였으며 두유의 제조는 Lee와 Lee(1997)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건조대두 100 g을 대두와 물의 중량비를 1:10으로 하여 2CTC의 물에 21시간 침지시킨 후 물을 제거하여 증류수 300 mL를 첨가하였고 5분 동안 Blender (Osterizer 16speed blender, Oster Co.
  • 발효유의 발효 특성은 적정산도 pH, 젖산균수, 점도 관능검사, 유기산 생성량 및 탄수화물의 분해율을 측정하였고 Cho 등(2003)의 방법에 따라 동일하게 시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e, H. C., Nam, M. S., and Lee, J. Y. (2002) Probiotic characterization of acid and bile-tolerant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from human faeces. Asian-Aust. J. Anim. Sci. 15, 1798-1807 

  2. Bae, H. C., Lee, Y. Y., and Nam, M. S. (2005)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growth of Lactobacillus sp., Escherichia coli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pH con­troled medium. Kor. J. Food Sci. Ani. Resour. 25, 57-64 

  3. Bae, H. C. and Nam, M. S. (2005) Fermentation pro­perties of the mixed yogurt prepared with bovine milk and soybean milk. Kor. J. Food Sci. Ani. Resour. 25, 483-­493 

  4. Cho, I. S., Bae, H. C., and Nam, M. S. (2003) Fer­mentation properties of yogurt added by Lycii fructus, Lycii folium and Lycii cortex. Kor. J. Food Sci. Ani. Resour. 23, 250-261 

  5. Goh, J. S., Chae, Y. S., Kang, C. K., Choi, M., Lee, S. K., and Park, H. (1993)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ginseng - yogurt and it's health effect - I. Effect of ginseng extracts on the acid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distribution of intestinal microflora of mouse. Korean J. Dairy Sci. 15, 216-225 

  6. Gilliland, S. E. (1990) Health and nutritional benefits from lactic acid bacteria. FEMS Microbiol. Rev. 87, 175-­188 

  7. Gupta, P. K., Chauhan, R. S., Singh, G. K., and Agrawal, D. K. (2001) Lactobacillus acidophilus as a potential pro­biotic. Advances in immunology and immunopathology. In Proceedings of a national symposium on immunomo­dulation in health and disease. Society for Immunology & Immunopathology, Pantnagar, India. pp. 66-69 

  8. Ju, H. K., Kang, J. H., and Cha, W. S. (1978) Studies on the effect of ginseng extract to Aspergillus enzyme acti­vity. Korean J. Appl. Microbiol. Beong. 6, 9-16 

  9. Kato, I. K., Endo, K., and Yokokura, T. (1994)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Lactobacillus casei on antitumor responses induced by tumor resection in mice. Int. J. Immunopharmacol 16, 29-34 

  10. Kim, C. S., Choi, K. J., Kim, S. C., Ko, S. Y., Sung, H. S., and Lee, Y. G. (1998) Controls of the hydrolysis of ginseng saponins by neutralization of organic acids in red ginseng extract preparations. J. Ginseng Res. 22, 205-210 

  11. Kim, J. W. (1984) Effect of the red ginseng extract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Res. Rep. Agri. Sci. Tech. Chungnam Natl. Univ., Korea. 11, 244-251 

  12. Kim, D. W. (1985) Studies on effects of ginseng extract on the growth of bacteria. MS. thesis, Dongguk Univ., Seoul, Korea 

  13. Kim, G. Y. (1997) Functionality and nutrition of milk. Kor. Soybean Digest. 14, 113-117 

  14. Koo, H. H. and Chung, S. H. (1994) Effects of Panax ginseng and Ganoderma lucidum extract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Kor. J. Food & Nutr. 7, 45-50 

  15. Kwak, Y. S., Lee, J. T., and Yeo, W. H. (2002) An identification of Enterobacter sp. Isolated from contami­nated ginseng and inhibition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its growth. J. Food Hygiene Safety. 17, 26-30 

  16. Lee, I. S. (1997) Chemopreventive potentials of soymlk versus cow's milk against a variety of human diseases. Kor. Soybean Digest. 14, 108-112 

  17. Lee, J. E. and Lee, S. Y. (1997) Effects of the types and concentrations of sugar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 milks during storage. Kor. J. Soc. Food Sci. 13, 70-77 

  18. Lee, Y. W. (1997) Effect of fermented milk on the blood cholesterol level of Korean. J. Food Hygiene & Safety. 12, 83-95 

  19. Lee, S. E., Seong, N. S., Bang, J. K., Kang, S. W., Lee, S. W., and Chung, T. Y. (2003) Inhibitory effect against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antioxidimt activity of Panax ginseng C. A. Meyer extra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236-245 

  20. Mistuoka, T. (1990) Bifidobacteria and their role in human health. J. Industrial Microbiology 6, 263-268 

  21. Nagao, F., Nakayama, M., Muto, T., and Okumura, K. (2000) Effects of a fermented milk drink containing Lac­tobacillus casei strain Shirota on the immune system in healthy human subjects. Biosci. Biotechnol. and Biochem. 64, 2706-2708 

  22. Nam, K. Y. (2002) Clinical applications and efficacy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J. Ginseng Res. 26, 111-131 

  23. Park, S. H., Yu, T. J., and Lee, S. K. (1982) Studies on the effect of Korean ginseng components on alcoholic fermentation by yeast. 3. Effect on the changes of saponin pattern, pH and production of organic acid. Korean J. Ginseng Sci. 6, 17-24 

  24. Rasic, J. Lj. and Kurmann, J. A. (1978) Yoghurt : scientific grounds, technology, manufacture and prepara­tions., Technial Dairy Publishing House, Denmark. pp. 428 

  25. Shin, Y. S., Sung, H. J., Kim, D. H., and Lee, K. S. (1994) Preparation of yogurt added with patato and its characteristics. Kor. J. Food Sci. Technol. 26, 266-271 

  26. So, M. H. (1988) Influences of ginseng component on cell growth and acid production by Lactobacillus casei during yogurt fermentation. Kor. J. Food & Nutr. 1. 76-85 

  27. Song, K. S., Lee, K. I., Baek, S. C., and Yu, J. H. (1992) Studies on the flavor of plain drinking yoghurt added with red ginseng extract. Korean J. Dairy Sci. 14, 59-69 

  28. Yang, J. W. and Yu, T. J. (1979) Studies on the growth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in milk added with Ginseng Extracts. Korean J. Ginseng Sci. 3, 113-1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