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충이의 이화학적 특성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argassum thunbergi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19 no.1, 2006년, pp.8 - 13  

최선영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김순영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허종문 (경북대학교 응용생물화학부) ,  신정혜 (남해전문대학 호텔조리제빵과) ,  최한길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  성낙주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남해안에 서식하고 있는 해조류인 지충이에 대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활용가치를 알아보고자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하고 지충이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비교하고자 POV와 TBARS를 측정하였다. 지충이의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함량은 각각 $15.7{\pm}0.8%$$0.9{\pm}0.4%$였다. 9종의 무기질 중 Ca이 $2,288.0{\pm}2.2mg/100g$으로 높게 검출되었고,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1,071.3{\pm}1.8mg/100g$으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aspartic acid ($645{\pm}1.4mg/100g$) > phenylalanine($470.1{\pm}1.4mg/100g$)의 순이었다. 유리당의 함량은 galactose가 $40.2{\pm}0.5mg/100g$으로 가장 높았고 $FeCl_2$$CuSO_4$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특히 chloroform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argassum thunbergii, by measuring general composition, minerals, amino acid, free sugar, peroxide value(POV)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in Sargassum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지충이 thimbergii)는 모자반과에 속하는 해조류 중 갈조류의 일종으로 우리나라 전 연안에 걸쳐 자생하는 풍부한 수산자원으로 어린 것은 식용으로 이용되나 주로 구충제나 퇴비로 사용되어 왔고15), 아직 지충이의 생리활성과 이용에 대하여 체계적이고 학술적인 연구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충이에 대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써 활용 가치와 식품 소재로의 의의를 모색하기 위해 일반 성분, 이화학적인 성분 및 POV와 TBARS에 의한 지질 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남해안에 서식하고 있는 해조류인 지충 이에 대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활용가치를 알아보고자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하고 지충이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비교하고자 POV와 TBARS를 측정하였다. 지충이의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함량은 각각 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李仁圭, 姜悌源. 韓國藻類學會誌. 1:311. 1986 

  2. Lee, KH, You, BJ and Jung, IH. Improving the precessing and storage conditions of salted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Korean J. Food Nutr. 12:66-72. 1983 

  3. Choe, SN and Choi, KJ.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a algaes in the southern sea coast Korea. Korean J. Food Nutr. 15:58-63. 2002 

  4. Hahn, JK and Koh, JB. Effect of Undaria pinnatifida on serum and liver lipids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1:17-23. 1986 

  5. Cho, DM, Kim, DS, Lee, DS, Kim, HR and Pyeun, JH. Trace components and functional saccharides in seaweed-1. Changes in proximate composition and trace elements according to the harvest season and places. J. Korean Fish Soc. 28:49-59. 1995 

  6. Kim, DS, Lee, DS, Cho, DM, Kim, HR and Pyeun, JH. Trace components and functional saccharides in marine algae-2. Dietary fiber contents and distribution of the distribution polysaccharides. J. Korean Fish Soc. 28:270-278. 1995 

  7. 이양자. 유지영양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식품과학과 산업, pp.23, 13. 1990 

  8. Lahaye, M and Kaeffer, B. Seaweed dietary fibers : structure,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relevant to intestinal physiology. Sci. Aliments. 17: 536-584. 1997 

  9. Ruperez, P, Ahrazem, O and Leal, J. A potential antioxidant capacity of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theedible marine brown seaweed Fucus vesiculosus. J. Agric. Food Chem. 50:840-845. 2002 

  10. Lee, NH and O, KL.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effects from marine algae. Cheju Journal of Life Science 3:95-10 1. 2000 

  11. Yamamoto, I, Takahashi, M, Tamura, E, Maruyama, H and Mori, H. Antitumor activity of edible marine algae : Effect of crude fucoidan fraction prepared from edible brown seaweeds against L-1210 leukemia. Hydrobiologi. 116:145-150. 1984 

  12. Yamamoto, I, Nagumo, T, Takahashi, T, Fujihara, M, Suzuki, Y and Iizima, N. Antitumor effect of seaweeds : III. Antitumor effect of an extract from Sargassum kjellmanianum. Jap. J. Exp. Med. 51:187-189. 1981 

  13. Heo, SJ, Park, EJ, Lee, KW and Jeon, YJ. Antioxidant activities of enzymic extracts from brown seaweeds. Bioresource Technology. 96:1613-1623. 2005 

  14. Lim, SN, Cheung, PCK, Ooi, VEC and Ang, PO. Evalu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a brown seaweed Sargassum siliquastrum. J. Agric. Food Chem. 50:3862-3866. 2002 

  15. Kim, YS and Choi, HG. Epiphytic algae growing on Sargassum thunbergii in southern and we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Ecol. 27:173-177. 2004 

  16. Buege, JA and Aust, SD.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s Enzymol. 52: 302-310. 1978 

  17. Lee, IK, Shim, SC, Cho, HO and Rhee, CO. On the components of edible marine algae in Korea. J. Korean Agri. Chem. Soc. 3:213-220. 1971 

  18. Choe, SN and Choi, KJ.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a algaes in the southern sea coast of Korea. Korean J. Food Nutr. 15:58-63. 2002 

  19. 김영명, 박덕천, 김은미, 도정룡. 국내산 주요 해조류의 무기질 및 식이섬유 조성. 춘계 수산관련 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요지집. pp.153-154. 2002 

  20. Ruperez, P. Mineral content of edible marine seaweeds. Food Chemistry. 79:23-26. 2002 

  21. 天野秀臣: 水産生物化學(山口勝己 編). 恒星社厚生, 東京. pp.170-212. 1991 

  22. Fleurence, J. Seaweed proteins: biochemical, nutritional aspects and potential uses. Trends in Food Science Technology. 10:25-28. 1999 

  23. 西澤一俊. 海藻の化學と利用(日本水産學會 編). 恒星社厚生閣, 東京. pp.9-22. 1983 

  24. Minotti, G. and Aust, SD. Redox cycling of iron and lipid peroxidation. Lipids. 27:219-221.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