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대상 체중조절 프로그램이 체구성 및 혈액지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eight Control Program on Obesity Degree and Blood Lipid Levels among Middle-aged Obese Wome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19 no.1, 2006년, pp.70 - 78  

남정혜 (경민대학 웰빙건강학부 다이어트정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35{\sim}55$세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운동과 식사요법을 중심으로 12주간 체중 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대상자들의 비만도 및 혈액 지질 개선 효과, 식습관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2주간의 체중 조절 프로그램 실시로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 비만도 모두 유의성은 없었지만 감소되었다. 체중은 $67.4{\pm}10.8kg$에서 $65.1{\pm}9.2kg$으로, 체지방량은 $27.6{\pm}6.9kg$에서 $26.7{\pm}7.5kg$으로 프로그램 실시전과 비교하여 0.9 kg 정도 감소되었다. 체지방률(%)도 $40.6{\pm}5.2%$에서 $39.6{\pm}5.1%$로 감소되었으며 제지방량(FFM)도 $39.9{\pm}5.6kg$에서 $37.0{\pm}8.5kg$으로 감소를 보였다. 2. 대상자들의 비만도 (Obesity degree, %)와 체질량지수 (BMI)는 프로그램 실시 전 각각 $128.4{\pm}19.1%,\;27.8{\pm}3.9$에서 프로그램 실시 후 $123.4{\pm}15.7%,\;26.8{\pm}3.0$로 감소하였다. 복부 비만도(WHR)도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각각 $0.98{\pm}0.16$에서 $0.94{\pm}0.04$로 변화되었다. 3. 체중조절 프로그램 실시 전후 혈압, 공복시 포도당,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농도 모두 뚜렷한 변화는 없었지만 수축기 혈압이 $119.19{\pm}17.03mmHg$에서 $114.55{\pm}17.86mmHg$으로 감소되었고, 총 콜레스테롤$179.35{\pm}34.46mg/dL$에서 $173.45{\pm}38.88mg/dL$로, 중성지방은 $174.71{\pm}91.33mg/dL$에서 $167.44{\pm}47.31mg/dL$로 유의성은 없었지만 모두 감소한 반면, 동맥경화 억제요인인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43.06{\pm}14.05mg/dL$에서 $50.38{\pm}16.47mg/dL$로 증가되었다. 4. 대상자들의 식습관 분석 결과 영양교육 실시 전 18.7점에서 실시 후 20.8점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가장 점수가 낮았던 ${\ulcorner}$만복감${\lrcorner}$${\ulcorner}$식품의 배합${\lrcorner}$ 항목에서 개선되었고, 그외 ${\ulcorner}$음식의 간을 싱겁게${\lrcorner}$${\ulcorner}$채소섭취${\lrcorner}$ 항목도 영양교육 실시로 인해 크게 개선되었다. 5. 식사 일기 기록을 통한 영양소 섭취 분석 결과 1일 총 열량 섭취량은 $30{\sim}49$세 경우 프로그램 실시 전 $1,774.7{\pm}486.1kcal$에서 실시후 $1,189.1{\pm}310.5kcal$로 낮아졌으며, 50세 이상에서도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각각 $1,549.4{\pm}327.1kcal,\;1,371.4{\pm}221.0kcal$로 감소하였다. 1일 단백질 섭취량을 비롯하여 지방, 칼슘, 철분, 비타민 C의 섭취량도 열량 섭취량 감소에 따라서 섭취 권장량 이하로 감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2-week weight control program including nutrition education, diet therapy and regular exercise on body weight, obesity degree, BMI and blood lipid levels among middle aged obese women. The 31 middle aged obese women participated in the weight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기도 동두천시에 거주하고 있는 비만 중년 여성 31명을 대상으로 영양 교육과 운동을 중심으로 총 12주간의 체중 조절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중 년 여성들의 비만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비만으로 인한 만성 퇴행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 자 실시하였다.
  • 체중 조절 프로그램은 식이 조절과 운동을 중심으로 한 생활 습관 개선을 목표로 이루어졌다. 체중 조절 프로그램은 주 3회, 1회 2시간씩 운동과 영양 교육, 개 인별 식 이 상담 과정으로 실시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 과 실시 후의 체중 및 체성분 검사, 혈액 검사를 하여 비만도와 혈중 지질의 개선 여부와 식습관 변화 여부 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a, JY. Energy expenditure in Korean middle-aged obese women. MS. Thesis, Ewha Womens Univ. 2000 

  2. Blackman, MB. Obesity, Principles of ambulatory medicine, 4th ed. pp.1102-1109. 1994 

  3. NIH technology assessment conference panel. Method of voluntary weight loss and control.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19:764-770. 1993 

  4. Van Hallie, TB. Health implications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Ann. Intern. Med. 103:983-988. 1985 

  5. Park, HS, Cho, HJ, Kim, YS and Kim, CJ. The diseases associated with obesity in Korea adults. J Korean Acad. Fam. Med. 13(4):344-353. 1992 

  6. Lee, KY and Park, TJ. The influence of obesity in health in adults at over forty years. J. Korean Acad. Fam. Med. 18(3):284-293. 1997 

  7. Lee, HO, Park, HS and Seung, CJ. A study on blood pressure and blood constituents of middle-aged men obesity. Korean J. Food & Nutr. 9(4):366-371. 1996 

  8. Hubert, HB, Feinleib, M, McNamara, PM and Castelli, WP. Obesity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 26-year follow up of participants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67:968-977. 1983 

  9. Alford, BB. Nutrition during the life cycle. Pretice Hall Inc, 1982 

  10. Nuutinen, O and Knip, M. Long-term weight control in obese children : Persistence of treatment outcome and metabolic changes. Int. J. Obes. 16:279-287. 1992 

  11. Park, HS, Jung, YS, Shin, ES, Kim, MW and Kim, CJ. Effect on body weight control through behavior, diet, exercise therapy in obese patients. J. Korean Acad. Fam. Med. 14(4):250-257. 1993 

  12. Kang, NE, Jeong, EJ and Song, YS. Differences in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between nutrition major college women and non-major college women. Korean J. Nutr. 5(2):116-122. 1992 

  13. Lee, JH. Treatment of obes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1):21-24.1992 

  14. Park, JK, Ahn, HS and Lee DH. Effects of step by step diet control program in obese childre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0(2): 165-173, 2001 

  15. Korean Dietary Allowance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1 

  16. Kim, MG, Kim, SS, Kim, CY, Cha, KC and Jeong, IG. Comparison of body composition in obese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using segmental bioelectrical impedance and skinfold-thickness measurements. J. Sport and Leisure Studies. 9:451-462. 1998 

  17. Kim, SH. Resting metabolic rate and body fat changes following weight loss by continuous aerobic exercise. J. Korean Society of Aerobic Exercise. 2(1):41-47. 1998 

  18. Wood, PD, Stetanick, ML et al. The effects on plasma lipoproteins of a prudent eight-reducing diet, with or without exercise, in overweight men and women. New Engl. J. Med. 325:461-466. 1991 

  19. Yoo, YC. Abdominal obesity. K.H.U. 18(3,4):164-169. 2002 

  20. Larsson, B, Svardsudd, K, Welin, L, Wilhelmsen L, Bjorntorp, P and Tibblin, G. Abdominal adipose tissue distribution, obesity,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ath : 13 year follow up of participants in the study of men born in 1913. Br. Med. J. 288: 1401-1404. 1984 

  21. Kissebab, AH, Vydelingum, N, Murray, R, Evans, DJ, Hartz, AJ, Kalkhoff, RK and Adams, PW. Relation of body fat distribution to metabolic complications of obesity. J. Clin. Endo. Meta. 54:254-260. 1982 

  22. Kim JY. 비만 지표의 차이가 비만평가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8(2):338-346. 1998 

  23. Forbes, GB. The companionship of lean and fat: Some lessons from body composition studies. NY Academy Press, pp.319-329. 1991 

  24. Eisenmann, P. Physical activity and body composition, In Seefedlt V (ed) : Physical activity and well being. Reaton, VA, AAHPERD. pp.163-388. 1986 

  25. Kim, YB, Jang, EC, Leu, PS and Lee, SC. Changes of body composition and blood profiles by 12-week aerobic exercise in obese children. Korean Academy Society of Exercise Nutrition. 1:59-66. 1977 

  26. Park HT, Park SK, Lee YI and Kim IK. The effect of 24 wks jogging training on aerobic power and BMD in post menopausal women.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Medine. 15(1):36-44. 1997 

  27. Deurenberg, P, Westrate, JA and Hautvast, GAJ. Change in fat free mass during weight loss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d by densitometry. Am. J. Clin. Nutr. 49:33-36. 1989 

  28. Ross, AN, Westendorp, RGJ, Frolich, M and Meinders, AE. Tetrapolar body impedance is influenced by body posture and plasma sodium concentration. Eur. J. Clin. Nutr. 46:53-60. 1986 

  29. Lee, YS. Effect of the 12wk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nd fitness far elderly. The Research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 Sports Science. 14(1):177-186. 1995 

  30. Borkan, GA, Sparrow, D and Wisniewski, C. Body weight and coronary heart disease risk : Patterns of risk factor change associated with long term weight change. Am. J. Epidemiol. 124:410-419. 1986 

  31. Ahn, CS. A study on correlation among physical fitness, diet intakes and serum lipid in middle aged women. Korean J. Food & Nutr. 6(4):255-267. 1993 

  32. Nikkila, EA, Taskinen, MR, Rehumen, S and Harkonen, M. Lipoprotein lipase activity in adipose tissue and skeletal muscle of runners: relation to serum lioproteins. Metabolism. 27:1661-1671. 1978 

  33. Wi, SU and Park, MR. An investigation of obesity, anemia and food-life-attitude for the middle aged persons in Kimchun. Korean J. Food & Nutr. 6(1): 25-30. 1993 

  34. Lee, YS. Study on the eating behavior,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condition of obese adult attending a weight control exercise. Korean J. Food & Nutr. 13 (2):125-133, 2000 

  35. Kim, SK. The study on nutrition status and value evaluation of food with concern for weight control in housewives. The Journal of Soonchunhyang Univ. 15 (1):183-194.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