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동남부 백악기 경상분지의 형성과 변형에 관한 질의
An Inquiry into the Formation and Deformation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Kyongsang) Basin, Southeastern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9 no.2, 2006년, pp.129 - 149  

유인창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최선규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위수민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 동남부에 위치하는 백악기 경상분지의 지구조적 진화에 대한 이해를 위해 기존에 발표되었던 층서퇴적학, 고생물학, 고지자기학지구물리학 자료들이 재검토되었다. 이들 자료와 분지 내 화성활동 및 광화작용에 대한 지질연대 자료와의 통합을 통해 경상분지에 대한 새로운 층서틀 및 경상분지 형성과 변형에 관한 구조적 모델이 제안 되었다. 새로운 층서틀은 경상분지 내 퇴적층이 전열개, 동시열개, 변형 I, 변형 II, 변형 III단계로 대표되는 5개의 층서단위로 세분될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 경상분지는 쥬라기 말 남-북 방향의 신장응력에 의한 전열개 단계와 전기 백악기의 동서 방향의 신장응력에 의한 동시열개 단계를 거쳐 분지가 형성되었다. 후기 백악기에 들어오면서 남-북 및 북서-남동, 동-서 방향의 3단계 순차적인 압축응력에 의해 분지가 변형되었다. 이러한 경상분지의 발달사는 백악기 동안에 북에서 북서 방향으로 전이되어진 이자나기판의 이동 방향의 변환에 의해 지배된 것으로 나타난다 .전기백악기에 이자나기판은 북쪽을 향하여 유라시아판 밑으로 섭입을 시작하였으며, 한반도 남부에 좌수향의 주향이동성 단층계를 형성시켰다. 이 주향이동성 단층계의 좌수향 이동에 의해 한반도 동남부에 동서 방향의 신장응력이 발생되어 경상분지와 같은 인리형 분지들이 발달되었다. 그러나 후기 백악기 동안에 일어난 이자나기판의 북서 방향으로의 섭입은 분지 내 광범위한 화산활동과 함께 순차적인 변형을 주도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경상분지에 대한 새로운 층서틀 및 분지발달 모델은 한반도 백악기 경상분지에 대한 새로운 지사의 정립과 함께 분지 내 부존되어 있는 유용자원의 탐사와 개발에 있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인접 지역에 위치하는 백악기 퇴적분지들과의 시간 및 공간적 대비를 통해 동아시아 백악기 지체규조운동 발달사 연구를 위한 새로운 지질학적 사고의 틀을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iously published stratigraphic, sedimentologic, paleontologic, paleomagnetic and geophysical data are reviewed to make an understanding on the tectonic evolution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Kyongsang) basin, southeast Korea. A stratigraphic framework and a tectonic model on the formation and d...

주제어

참고문헌 (53)

  1. 강지훈, 김남훈, 박계헌, 송용선, 옥수석 (2004) 영양-울진 지역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의 변형작용사. 암석학회지. 13권. p. 179-190 

  2. 김근수, 김정진, 박맹언 (1997) 경상분지에 분포하는 화강 암질 암체에 대한 Rb-Sr 연대. 1997년 한국암석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p. 20 

  3. 김원균, 민경덕, 원중선, 김정우 (2000a) 포텐셜 필드의 스펙트럼 대비법을 이용한 의성소분지의 지구조 연구. 자원환경지질, 33권, p. 217-228 

  4. 김원균, 민경덕, 김정우, 원중선, 박찬홍, 구성본 (2000b) 항공자력의 analytical 이상을 이용한 의성소분지의 지 구조 연구. 자원환경지질, 33권, p. 229-237 

  5. 김인수, 강희철, 이현구 (1993) 경상분지 남서부 진교-사천 지역 전기 백악기 퇴적암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광상지질, 26권, p. 519-539 

  6. 김찬수, 박계헌, 백인성 (2005) 백악기 신라역암 내화산 암력의 Ar-Ar 연대 및 하양층군의 퇴적시기에 대한 고찰. 암석학회지, 14권, p. 38-44 

  7. 도성재 (1993) 백운산향사대에 분포하는 동고층에 대한 고 지자기 연구. 광산지질, 26권, p. 383-393 

  8. 도성재 (1995) 삼척지역에 분포하는 평안누층군에 대한 고 지자기 연구. 자원환경지질, 28권, p. 559-569 

  9. 도성재, 김광호 (1994) 의성지역에 분포히는 백악기 지층 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자원환경지질, 27권, p. 263-279 

  10. 도성재, 석동우, 김범철 (1999) 영양소분지에 분포하는 경상누층군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자원환경지질, 32권, p. 189-201 

  11. 도성재, 황창수, 김광호 (1994) 밀양소분지에 분포하는 경상누층군 퇴적함류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지질학회지, 30권, p. 211-228 

  12. 민경덕, 김정우 (1987) 중력탐사에 의한 마산-부잔간의 지 하구조 연구. 광산지질, 20권, p. 203-209 

  13. 민경덕, 정종대 (1985) 중력탐사에 의한 경상층군 내 왜관 -포항간의 지히구조 연구. 광산지질, 18권, p. 321-329 

  14. 박희인 (1994) 경상분지 내 광상의 생성시기와 광상구. 한국과학재단 연구보고서 KOSEF 91-06-00-03, p. 29-75 

  15. 서승조 (1985) 경상분지 중앙부 하부 백악계의 지질과 고생물(윤조화석).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7p 

  16. 석동우, 도성재 (1996) 의성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지층에 대한 특성잔류자화 방향의 재고찰. 지질학회지, 32 권, p. 47-64 

  17. 손문, 정혜윤, 김인수 (2002) 한반도 남동부 연일구조선 남부 일원의 지질과 지질구조. 지질학회지, 38권, p. 175-197 

  18. 신성천, 진명식 (1995a) 1:100만 한국 심성암 동위원소연 대지도. 한국자원연구소 

  19. 신성천, 진명식 (1995b) 1:100만 한국 화산암 동위원소연 대지도. 한국자원연구소 

  20. 양승영 (1976) 경상누층군 회석에 관하여. 지질학회지, 12 권, p. 23-30 

  21. 원종관, 이문원, 노진환, 이해경 (1994) 통리분지에서의 백악기 화산활동. 지질학회지, 30권, p. 542-562 

  22. 이병주, 황재하 (1997) 경상분지 북동부에서의 기음단층과 양산단층의 관계. 지질학회지, 33권, p. 1-8 

  23. 이상렬, 최선규, 소칠섭, 유인창, 위수민, 허철호 (2003) 한국 경상분지 백악기 비철금속 광화작용과 그 성인적 의의: 함안-군북-고성(캉원) 및 의성 광상구를 중심으 로. 자원환경지질, 36권, p. 257-26B 

  24. 이하영 (1965) 묘곡층(후대동계-선경상계)의 층서와 소위 대보조산운동의 시기에 관하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5p 

  25. 장기홍, 이유대, 이영길, 서승조, 오규영, 이창훈 (1984) 경상속 유천층군 기저의 부정합. 지질학회지, 20권, p. 41-50 

  26. 장기홍, 이윤종, 스즈키 카즈히로, 박순옥 (1998) 백악기 구산동응회암 저어콘 결정들의 형태, CHIME 연령 및 지사적 의의. 지질학회지, 34권, p. 333-342 

  27. 전정수, 민경덕 (1996) 경상분지 남부 지역 (밀양소분지)의 심부 지질구조 규명을 위한 중력 및 자력탐사. 1996년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p. 43-44 

  28. 좌용주, 이용일, 유지 오리하시 (2004) 구산동 응회암과 진동화강암에서 산출되는 저콘에 대한 U-Pb 연대와 진동층 퇴적시기에 대한 고찰.2004년 대한지질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p. 73 

  29. 좌용주, 최원희 (2002) 팔공산화깅땀체의 냉각사와 접촉변성대 .2002년 한국암석학회-한국광물학회 공동 학술발표회 초록집, p. 112-114 

  30. 황재하 (1994) 백악기 초 이후 한반도 남동부에 작용한 고응력 복원. 지질학회지, 30권, p. 27-34 

  31. 황종선, 민경덕, 최철, 유상훈 (2003) 팔공산 화강암체와 그 인근 지역에서의 중력탐사 연구. 자원환경지질, 36 권, p. 305-312 

  32. Chang, K.H. (1975) Cretaceous stratigraphy of southeast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 11, p. 1-23 

  33. Chang K.H., Filatova, N. and Park, S.O. (1999) Upper Mesozoic stratigraphic synthesis of Korean Peninsul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 32, p. 353-363 

  34. Cheong, C.H. and Lee, H.Y. (1966) The Myogog Formation and its tectonic significanc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 2. p. 21-38 

  35. Choi, D.K. (1985) Spores and pollen from the Gyeongsang Supergroup, southeastern Korea and their chronologie and paleontologic implications.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v. 1, p. 33-50 

  36. Choi, D.K. (1989) Paleopalynology of the Geoncheonri Formation (Lower Cretaceous), Geoncheon-Ahwa area, Korea.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v. 5, p. 1-27 

  37. Choi, H.I. (1986) Sedimentation and evolution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southeaster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v. 143, p. 29-40 

  38. Choi P.Y., Lee S.R., Choi, H.I., Hwang, J.H., Kwon, S.K., Ko, I.S. and An G.O. (2002) Movement history of the Andong Fault System: Geometric and tectonic approaches. Geosciences Journal, v. 6, p. 91-102 

  39. Choi, S.J. (1987) Fossil Charophytes from the Nagdong Formation in Seonsangun, Gyeongsangbukdo, Korea.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v. 5, p. 28-38 

  40. Chough, S.K., Kwon, S.T., Ree, J.H. and Choi, D.K. (200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review and new view. Earth Science Reviews, v. 52, p. 175-235 

  41. Chun, S.S. and Chough, S.K. (1992) Tectonic history of Cretaceous sedimentary basins in the southwestern Korean Peninsula and Yellow Sea. In Chough, S.K. (ed.) Sedimentary basin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adjacent seas. Korean Sedimentology Research Group Special Publication, p.60-76 

  42. Han, R.H., Ree, J.H., Kwon, S.T. and Cho, D.R. (2005) SHRIMP U-Pb Zircon ages of pyroclastic rocks from the Daedong Group in hte Taebacksan Basin and their implication for the Jurassic tectonics in Korea. Gondwana Research, v.8 ( in press ) 

  43. Jin, M.S., Lee, S.M., Lee, J.S. and Kim, S,J. (1982) Lithochemistry of the Cretaceous granitoids with relation to the metallic ore deposits in souther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 18, p. 119-13l 

  44. Jo, H.R. (2003) Depositional environments, architecture, and controls of Early Cretaceous non-marine successions in the northwestern part of Kyongsang Basin, Korea. Sedimentary Geology, v. 161, p. 269294 

  45. Kim, J.N., Ree, J.H., Kwon, S.T., Park, Y., Choi, S.J. and Cheong, C.S. (2000) The Kyunggi shear zone of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late orogenic imprint of the North and South China collision. Journal of Geology, v. 108, p. 469-478 

  46. Kobayashi T. and Suzuki, K. (1936) Non-marine shells of the Nagdong-Waskino Series. Japanese Journal of Geology and Geography, v. 13, p. 243-257 

  47. Koh, S.M., Ryoo, C.R. and Song, M.S. (2002) Mineralization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controls of hydrothermal deposits in the Gyeongsang Basin, South Korea. In Jin, M.S., Lee, S.R., Choi, H.I., Park, K.H, Koh, S.M. and Cho, D.R. (eds.) Mesozoic sedimentation, igneous activity and mineralization in South Korea. The 1st and 2nd Symposium on the Geolog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p. 89-110 

  48. Koto, B. (1903) An orographic sketch of Korea. Journal of College of Sciences, Imperial University of Tokyo, v. 19, p. 1-61 

  49. Koto, B. (1909) Journey through Korea. Journal of College of Sciences, Imperial University of Tokyo, v. 26, p. 1-207 

  50. Tateiwa, I. (1929) Geological atlas of Choson, Gyeongju, Yeongchon, Daegu, and Waegwan sheets. Geological Survey of Chosen 

  51. Yabe, H. (1905) Mesozoic plants from Korea. Journal of College of Sciences, Imperial University of Tokyo, v. 20, p. 1-59 

  52. Yang, S.Y. (1984) Paleontological study on the Molluscan fauna from the Myogog Formation, Korea (part 2).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 20, p. 1527 

  53. Yi, M.S. and Chun, H.Y. (1993) Palynomorphs from the Myogog Formation, Korea, and their stratigraphic significanc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 29, p. 246-25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