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confirmed the chemical structure of Curcumine and Carthamin pigments whose pigments were separated and refined from the Curcuma longa and Carthamus Tinctorious which were natural dye using FT-IR, HPLC and so on. The cotton and the silk fabrics were dyed using a main pigment and the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System)와 가변 파장 모니터를 사용하여 480 nm에서 울금 및 홍화의 주색소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주색소를 혼합용매에 1:100의 액비로 용해시킨 후, 각각의 용액 30 µl를 사용하여, Table 2에 나타난 조건으로 HPLC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천연염료인 울금과 홍화로부터 분리 정제하여 얻은 주색소의 화학구조를 UV-Visible, FT-IR 및 HPLC 등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면과 견직물에 대한 염색성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천연염재인 울금과 홍화를 분리정제하여 얻은 주색소를 가지고, 자외-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럼,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측정하여 화학구조를 분석하였으며, 면과 견에 염색함으로써 주색소의 염색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염색한 직물의 염착량을 알아보기 위해, 색차계(Color-Eye 3100)를 사용하여 분광반사율을 측정하여 Kubelka-Munk 식을 이용함으로써 염착량을 나타내는 K/S값은 구했으며, 이 때 광원은 D65, 관측시야는 10o의 조건으로 하였다.
  • 울금 및 홍화로부터 분리정제한 주색소의 흡광도 비교를 위해서 자외-가시광선 분광 분석기(HEλIOS, UNICAM)를 사용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scan type은 standard로, speed는 3800m/min로 하였으며, Data int는 4.
  • 울금 및 홍화로부터 추출한 주색소를 각각 적외선 분광장치(FT-IR 300E, JASCO)를 사용하여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이때 해상도는 4 cm-1로 하고 적외선 주사수는 30으로 하였다.
  • 울금 및 홍화를 각각 100 g씩 메탄올 1500 ml에 침지시켜 3일간 상온에서 방치시켰다. 이를 감압 여과하여 울금 1430 ml, 홍화 1350 ml의 추출물을 얻고, Evaporator를 사용하여 70℃에서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울금 5.
  • 울금 주색소의 HPLC 분석에서 분석 파장은 UV-Visible Detector로 분석 시 울금 주색소의 최대흡수파장인 504 nm로 하여 성분분석을 행하였다. Fig.
  •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System)와 가변 파장 모니터를 사용하여 480 nm에서 울금 및 홍화의 주색소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주색소를 혼합용매에 1:100의 액비로 용해시킨 후, 각각의 용액 30 µl를 사용하여, Table 2에 나타난 조건으로 HPLC를 측정하였다. 이 때 사용한 혼합용매는 울금의 경우 디클로로메탄과 메탄올의 혼합용매이고, 홍화의 경우 아세틱 안하이드라이드과 메탄올의 혼합용매이다(Park et al.
  •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울금 및 홍화의 추출물로부터 주색소를 분리한 후, 주색소의 자외-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 홍화의 주색소의 HPLC 분석에서도 분석 파장은 UV-Visible Detector로 분석 시 최대 흡수 파장인 480 nm로 고정하여 성분 분석을 행하였다. Fig.

대상 데이터

  • Acetone (Matsunoen Chemicals LTD), Methyl Alcohol (CARIO ERBA Reacenti), O-Dichloro-benzene (TEDIA), Acetic anhydride (Junsei Chemical Co., LTD), Chloroform (SHOWA) Benzen (SHOWA Chemical Co., LTD), Dichloromethane (TEDIA Co., Inc) 등의 특급 및 1급 시약을 사용하였다.
  • 천연염재인 울금과 홍화는 시중 약재상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시험포는 KS K0905에 규정된 첨부백포인 견 및 면직물을 사용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한 시료의 특성은 Table 1와 같다.
  • , Compositae)는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목으로, 줄기의 길이가 1 m 정도이고 꽃은 7~8월에 피며 붉은 빛이 도는 황색을 띄고 있다. 원산지는 아프가니스탄의 산악지대 또는 에티오피아이며 중국, 티베트 등지에서 재배되었다. 인류의 문화사상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염료식물 중 하나라고 전해지며, 이집트 문묘에서는 B.
  • 천연염재인 울금과 홍화는 시중 약재상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시험포는 KS K0905에 규정된 첨부백포인 견 및 면직물을 사용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한 시료의 특성은 Table 1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 K.R. and Kang M.J. (2000) Studies on the natural dyes(12)-dyeing properties of amur cork tree colors for sil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12(4), 13-21 

  2. Cho S.S., Song H.S. and Kim B.G. (1997) The dyeiability properties of some yellow natural dyes(Part 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1(6), 1051-1059 

  3. Chu Y.J. and Soh H.O. (1996) The study of curcuma longa L, dye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3), 429-437 

  4. Chu Y.J. and Soh H.O. (2001) The study on the mordanting and dyeing properties of polygenetic natural dyes(part 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8), 1484-1492 

  5. Han B.S., Kim K.H. and Jung Y.S. (1998)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safflower yellow pigments from carthamus tinctorius L.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41(5), 363-366 

  6. Hwang E.K., Kim M.S., Lee D.S. and Kim K.B. (1998) Color development of natural dyes with some mordants. Journal of the Korean Fiber Society, 35(8) 

  7. Kang W.S., Kim J.H., Park E.J. and Yoon K.R.(1998) Antioxidative property of turmeric(curcumae rhizoma) ethanol ec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0(2), 266-271 

  8. Kim A.S. and Chang C.C. (2001) A study on the dyeing properties of silk cotton fabrics with chestnut bur extract(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3(2), 7-17 

  9. Kim B.H. and Song W.S. (2000) The dye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ilk and cotton fabries with saururus chinensis extra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3), 215-219 

  10. Kim M.H. and Park S.B. (1987) Studies on the content of pueraria radix in the tea by HPLC. Kor. J. Food Hyglene, 2(3), 89-95 

  11. Kim M.N. and Kim H.H. (1995) Analysis of safflower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thy. Journal of Korean Industry, 2, 238-242 

  12. Kim S.Y. (2001) The natural dyeing of silk fabric with onion she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 35-41 

  13. Lee H.S., Chang J.H., Kim I.H. and Nam S.W. (1998) Dyeing of cotton with clove extra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10(3), 29-35 

  14. Lee S.H., Choi W.J., Lim Y.S. and Kim S.H. (1997)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curcuma aromatica S.. J. Food Sci. and Technol., 9, 161-165 

  15. Lim M.E., Yoo H.J and Lee H.Y. (1997) The study on natural dyeing with artemis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1(5), 911-921 

  16. Park Y.H., Nam Y.J. and Kim D.H. (2000) The study of antibiosis of the fabrics dyed by wormwood extra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1), 67-76 

  17. Rhie J.S. and Lee D.Y.(l999) Dyeing of silk with lichen extr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11(6), 43-50 

  18. Walczak B., Dreux M., Chretien J. and Doucet J.P. (1996) Journal of Chromatography, 353, 109-121 

  19. Yong K.J., Kim I.H. and Nam S.W. (1999) Antibacterial and deodorization activities of cotton fabrics dyed with amur cork tree extra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11(1), 9-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