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각보의 조형성을 응용한 현대복식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Modern Fashion Design with the Application of Plasticity of Patchwork Wrapping Cloth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0 no.4 = no.152, 2006년, pp.507 - 518  

김정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디자인학부 패션디자인)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prove that traditional patchwork wrapping cloth can be a creative motive for modem fashion, and the application of it can be a way of expressing not only the pride in our cultural heritage but also the originality of fashion design. The analysis of the plasticity of 108 patchwork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각보는 의복을 제작하고 남은 천을 활용했기 때문에 당시 의 복에 사용된 색상과 일치할 뿐만 아니라 상용보로 쓰였기 때문에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각보에 나타난 다양한 색상조화를 크게 대비조화와 유사조화로 나누어 분석함에 있어서, 당시 색상이 갖고 있던 의미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내용을 요약하여<표 2>로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의 활용이 우리문화 에 대한 자부심과 복식디자인에 독창성을 표현하는 유용한 수단임을 인식하고, 조각보의 면구성, 색상조화, 소재구성, 제작기법을 응용하여 전통성과 창조성을 표현하는 현대복식을 제작하는데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견직물로 이루어진 구성, 마직물로 이루어진 구성, 견직물과 마직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그 내용을 요약하여으로 제시하였다.
  • 이것은 우리 문화에 대한 주체성의 자각과 세계 화된 사회에서 모방의 한계성으로, 우리의 독창적인 복식문화를 창조하기 위해서는 현대복식에 전통적 요소를 반영해야 할 필연성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 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의 소재로 조선 후기 조각보 를 선택하여 조각보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 고, 복식디자인 요소로 개발하여, 여성복 4벌을 제작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국립민속박물관. (1983). 한국전통보자기. 서울: 삼화출판사 

  2. 금기숙. (1988).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한국인의 미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금기숙. (1999). 패션디자인을 위한 전통복식의 활용현황에 관한 연구. 복식, 43, 69-81 

  4. 김민자. (1990). 한국패션의 고유디자인에 대한 발전적 모색. 산업디자인 110, 21, 25 

  5. 김민자. (1990). 조각보의 조형성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성희. (1979). 조선조 후기 조각보에 대하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영숙. (1988). 한국복식사에 나타난 전통색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김찬주, 장인우. (1999). 한국 현대패션에서의 한국적 디자인 전개과정 분석과 세계 화를 위한 제안. 복식, 48, 5-24 

  9. 김현호. (1984). 조선후기 보에 나타난 색채에 관한 고찰.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데이비스, 마리안. (1990). 복식의 시각디자인. 이화연, 손미영, 노희숙 옮김(1990). 서울: 경춘사 

  11. 마릴린 혼, 루이스 구렐. (1981). 의복: 제2의 피부. 이화연, 민동원, 손미영 옮김 (1988). 서울: 까치 

  12. 윤일주. (1978). 색채학 입문. 서울: 미진사 

  13. 이경자, 홍나영. (1996). 이화사진일기-한국의 옛 보자기-.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4. 임동권. (1982). 한국민속학론. 서울: 집문당 

  15. 진숙미. (1984). 조선조 보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최세완. (1992). 현대패션에 표현된 한국복식의 전통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한글학회. (1957). 큰 사전 3권. 서울: 을유 문화사 

  18. 한상수. (1974). 이조의 자수. 서울: 수림원 

  19. 허동화. (1986). 한국의 전통 보자기.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20. 허동화. (1988). 옛 보자기. 서울: 한국자수박물관 출판부 

  21. 허동화. (1997).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규방문화. 서울: 현암사 

  22. Delong, M. R. (1987). The way we look. Ame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