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약재 복용으로 인한 금속 섭취량 추정 및 위해성 평가 연구

Metal Exposure Through Consumption of Herbal Medicine, and Estimation of Health Risk Among Korean Population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2 no.2 = no.89, 2006년, pp.186 - 191  

박해모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  최경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정진용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이선동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tal contamination of medicinal herbs is of growing concern because of their potential adverse health effects. In this study, metal exposures were estimated and their potential health risks were preliminarily evaluated using available data including metal contamination levels and consumption esti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현재까지 수집된 한약재 금속 오염자료를 정리하여, 한약 복용으로 인한 금속섭취와 그로 인한 위해성을 추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즉 다소비 한약재를 중심으로 기존의 분석 자료에 의거하여 금속 검출량 대표치를 산출하였고, 한약 복용으로 인한 한국인의 금속 섭취량과 그로 인하여 초래되는 위해성을 추정하였으며, 향후 연구가 보강 · 수행되어야할 지점도 살펴보았다.
  • 이 연구에서는 한약 섭취를 통해 노출되는 금속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 금속의 섭취량을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과 비교하여 평가했다(JECFA, 2000, http://jecfa.ilsi. org/search.cfm). 잠정주간섭취허용량은 FAO/WHO 합동 식품첨가물 및 오염물질 전문가회의(JECFA : Joint Expert Committee Food Additives)에서 1972년 이후 식품에 대해 권고하는 잠정적인 안전 섭취용량이다.
  • 추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다소비 한약재를 중심으로 기존의 분석 자료에 의거하여 금속 검출량 대표치를 산출하였고, 한약 복용으로 인한 한국인의 금속 섭취량과 그로 인하여 초래되는 위해성을 추정하였으며, 향후 연구가 보강 · 수행되어야할 지점도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납, 수은, 비소, 카드뮴과 같은 금속은 FAO(국제식량농업기구)/WHO(세계보건기구) 합동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 (Joint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에서 감시대상이 되는 금속으로서 인간에게 독성이 있어 잠정주간섭취허용량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 PTWI)을 정하여 권고하고 있다.18) 코발트와 크롬에 대한 잠정주간섭취허용량 값은 보고된 바 없다. 코발트는 비타민 B12에 함유되어 있으며, 적혈구의 헤모글로빈 형성에 관여하며, 골수의 조혈기능에 필수적인 무기질이다.
  • 분석값의 빈도가 적어서(n<5) 95백분위수의 추정이 불가능하거나 추정된 95백분위수가 최고농도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분석된 최고농도값을 95백분위 값으로 대신 사용하였다. 분석값이 불검출(Non-detect)로 되어있으나 검출한계 (LOD; Limit of detection)가 명시되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분석 보고값 중 가장 작은 값을 검출한계로 가정하여 대표치 추정에 활용하였다. 일반적으로 불검출값의 경우 검출한계의 1/2을 통계치 측정등에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 금속오염도 자료의 분포를 고려한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한약재의 금속 평균오염도와 95백분위 오염도를 계산하였다. 한국인의 한약재 섭취량에 대한 신뢰성 있는 자료가 부족하여 한약재 판매량 자료에 근거하여 1인당 평균 한약재 섭취량을 산정하였고, 이 평균섭취량의 5배를 한약 다소비 인구의 대표 섭취량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박기학 : 교통량 과밀 도로주변의 토양과 가로수, 대기중 Pb, Cu, Zn 중금속 농도와 그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보건학회지, 18(2), 19-25, 1992 

  2. 홍사오, 박승희 : 토양 및 채소중의 중금속오염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보건학회지, 10(1), 33-45, 1984 

  3. 조후리, 이선동 : 십전대보탕을 투여한 흰쥐의 혈액중 금속농도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3(2), 151-170, 1999 

  4. 국립환경연구원 :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이해. 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85-01, 2005 

  5. 강상훈, 이상순, 조승연, 정용삼 : 인체 환경 연구를 위한 한약재, 작업장 공기 및 모발의 원소분석.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8(3), 64-71, 2002 

  6. 식약청 :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5-62호 생약등의 중금속 허용 기준 및 시험방법 개정 

  7. 이선동, 김명동, 박경식 : 한약재의 안전성 확보 및 관리방안.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1), 209-230, 1998 

  8. 이선동, 박해모, 이장천, 국윤범 : 한약재에 포함된 금속의 전탕 전과 후의 농도변화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4(2), 59-65, 2003 

  9. 이정렬, 이선동 : 오적산을 투여한 흰쥐의 혈액중 금속농도 비교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3(1), 67-82, 2002 

  10. 김선희 : 한국인의 체내 중금속 오염도 조사 연구. The Annual Report of KNTP, 1, 497-519, 2002 

  11. U.S. EPA. 1998b. Draft document. Guidance for Submission of Probabilistic Human Health. Exposure Assessments to the Office of Pesticide Programs. November 4 

  12. Lee, S. D., Park, Y.-C., Kim, J. B. and Park, H. M. : Urine and hair metal concentration in subjects with long term intake of herbal medicine. Journal of Toxicology and Public Health. In Press, 2006 

  13. 농림부 : 2004 특용작물생산실적. 2005 

  14. 한양대학교 : 한국인의 한약재 복용실태 조사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2005 

  15. 정래석, 신동우, 심연, 이진하, 김세은, 주인선, 강숙경, 김근희, 김혜정, 허옥순, 방옥균 : 유통한약재의 유해중금속 함유량 모니터링. 식품안전청연구보고서, 6, 694-704, 2002 

  16. 정래석, 신동우, 이진하, 김세은, 주인선, 강숙경, 허옥순, 신현수 : 유통한약재의 유해중금속 함유량 모니터링. 식품안전청연구보고서, 7, 529-537, 2003 

  17. 조정희, 김도훈, 성낙선, 오미현, 강인호, 심영훈, 김은경, 조창희, 지선경, 이춘길, 석명주, 김현주, 송용섭, 오준석, 원도희, 명승운, 김남재 : 한약재 유해물질 모니터링 사업(I) -유통 한약재의 중금속 및 표백제에 관한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연구보고서, 4, 567-582, 2000 

  18.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 Safety Evaluation of Certai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WHO Food Additives Series 44. International Programme on Chemical Safety and WHO, GENEVA:273-391, 2000 

  19.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한국인의 대표식단 중 오염물질 섭취량 및 위해도 평가. 정책-식품-2004-44, 식품의약품안전청, 2004 

  20. 김미혜, 장문익, 정소영, 소유섭, 홍무기 : 우리나라 곡류, 두류 및 서류 중 중금속 함량 및 안전성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9(3), 364-368,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