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통적 방법으로 간장 및 어육장을 제조하고 담근 용기는 투명유리 용기를 사용하여 숙성온도(4$^{\circ}C$, 20$^{\circ}C$)와 숙성 기간(360일)에 따라 색도 및 갈색색소의 패턴을 측정하여 간장과 어육장의 색소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pH는 숙성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났고 간장 5.52${\sim}$6.26, 어육장 5.11${\sim}$6.13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20$^{\circ}C$에서 어육장은 숙성기간에 따른 pH의 현저한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42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시료 종류와 숙성 온도에 상관없이 숙성 기간 180일까지 흡광도가 증가하였으며 가장 높은 흡광도는 간장 4$^{\circ}C$(240일), 어육장 20$^{\circ}C$(360일), 간장 20$^{\circ}C$와 어육장 4$^{\circ}C$의 경우 숙성 180일에 나타났다. 흡광도 400/500 nm에 대한 흡광 비율은 간장 4$^{\circ}C$(1.37${\sim}$5.29), 간장 20$^{\circ}C$(1.37${\sim}$5.02), 어육장 4$^{\circ}C$(1.37${\sim}$5.02), 어육장 20$^{\circ}C$(1.37${\sim}$4.32)의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숙성 기간 증가에 따라 간장의 경우 비율이 일정하지 않았으나 어육장 20$^{\circ}C$는 300일까지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계 측정 결과 L값은 간장의 경우 숙성 기간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4$^{\circ}C$(240일), 20$^{\circ}C$(180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이후 숙성기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어육장의 경우 4$^{\circ}C$(60일), 20$^{\circ}C$(360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숙성 기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a값은 어육장 20$^{\circ}C$를 제외한 간장에서 숙성기간 120일까지 녹색도가 커졌으며, 특히 간장 20$^{\circ}C$, 어육장 4$^{\circ}C$는 120일 이후 녹색도가 작아지는 경향으로 모든 시료에서 음의 값이 나타나 적색보다는 녹색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b값은 간장 20$^{\circ}C$과 어육장 4$^{\circ}C$는 180일까지 증가하였으나 숙성 기간에 따른 b값은 뚜렷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UV-VIS Spectra를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가 숙성기간에 상관없이 220${\sim}$320 nm 부근에서 최대흡수파장을 나타내었다. 간장 4$^{\circ}C$(240일), 20$^{\circ}C$(180일), 어육장 4$^{\circ}C$와 20$^{\circ}C$는 360일에서 가장 높은 최대흡수파장을 나타내었으며 220${\sim}$320 nm에서 완만한 peak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model melanoidin의 특성은 간장 4$^{\circ}C$(240일), 20$^{\circ}C$(120${\sim}$300일), 어육장 4$^{\circ}C$(360일), 20$^{\circ}C$(240일)에서 나타나 어육장이 간장보다 melanoidin 형성 기간이 길며, 어육장 20$^{\circ}C$에 경우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melanoidin 색소 특유의 패턴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Maillard 반응 정도를 나타내는 유도체(2.4-DNPH)와 3DG 함량을 측정한 결과 유도체(2.4-DNPH) 함량범위는 간장 4$^{\circ}C$(0${\sim}$14.36 mg), 20$^{\circ}C$(0${\sim}$11.76 mg), 어육장 4$^{\circ}C$(0${\sim}$12.48mg), 20$^{\circ}C$(0${\sim}$8.56 mg)으로 나타났으며 3DG 함량범위는 간장 4$^{\circ}C$(0${\sim}$5.65 mg%), 20$^{\circ}C$(0${\sim}$5.34 mg%), 어육장 4$^{\circ}C$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rowning of soy sauce is caused by the reaction of amino-carbonyl between amino-compounds and reducing sugar. Only a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formation of melanoidins in UHYUKJANG.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brown pigment of UHYUKJANG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육장의 갈색색소형성이 간장처럼 갈색색소가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전 통적으로 만들어진 메주를 이용하여 간장 및 어육 장을 제 조하고 숙성 온도(4℃, 20℃)와 숙성 기간 (360일)별 색도 및 갈색색소의 패턴을 측정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병수, 배화수, 석경하, 조대현, 최국렬. 2003. SPSS를 이용한 통계학. 교우사. 서울 

  2. 김영아, 김현숙, 정명준. 1996. 재래식 조선간장과 시판양조간장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12(3): 273-279 

  3. 문공부 문화재관리국. 1984. 한국민속종합보고서 제 15편 향토음식편 

  4. 박충균, 남주현, 송형익, 박학용. 1989. 낱알형 개량메주의 품질수명에 관하여. 한국식품과학회지 21(6): 876-883 

  5. 서정숙, 이택수. 1992. 메주의 형상에 따른 재래식 간장의 유리아미노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7(4): 323-328 

  6. 신현경. 1997. 기능성 식품의 개발 및 연구 동향. 식품과학과 산업 30(1):2-13 

  7. 윤덕인. 1999. 어장 중 액젓(어간장)에 관한 연구. 관대논문집 27(2): 265-288 

  8. 이민수 譯. 1988. 규합총서. 기린원. 서울. p 50 

  9. 채홍자, 이효지. 1990. 문헌에 기록된 장류의 분석적 고찰. 한국생활과학연구 제9호: 29-70 

  10. Chen J, Ho CT. 1998. Volatile Compounds Generatedin Serine- Mono saccharides Model System. J. Agric. Food Chem. 46(4): 1518- 1522 

  11. Chung CY, Toyomizu M. 1968. Studies on discoloration of fish products. V. Mechanism of rusting in amino acid reducing sugar-lipid system. Bull. Japan. Soc. Fish 34(9): 857-862 

  12. Fujimaki M, Chuyen NV, Matumoto T, Kurada T. 1970. Browning reaction of 5'-ribonucletides with D-glucose. Nippon Nogeigakaku Kaishi 44(6): 275-282 

  13. Hashiba H. 1971. The effect of salts on the non-enzymic browning. Nippon Chou-mi kagaku Gakukaishi 18(3): 66-70 

  14. Hashiba H. 1981a. Oxidative Browning of Soy Sauce(Part3). Effect of Organic Acids. Peptides and Pentose. Nippon Shoyu Kenkyusho Zasshi 7(1): 19-23 

  15. Hashiba H. 1981b. Oxidative Browning of Soy Sauce(Part4). Oxidative Browning of Amadori Compounds. Nippon Shoyu Kenkyusho Zasshi 7(3): 116-120 

  16. Homma S, Tomura T, Fujimaki M. 1982. Fractionation of nondialyzable melanoidin into components by electrofocusing electrophoresis. Agricultural and Biological Chemistry 46(7): 1791-1796 

  17. Jeon MS, Sohn KH, Chae SH, Park HK, Jeon HJ. 2002.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s Prepared Under Different Processing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1): 32-38 

  18. Kato H, Chuyen NV, Shinoda T, Sekiya F, Hayase F. 1990. Metabolism of 3-deoxyglucosone, an intermediated compound in the Maillard reaction, administered orally or intravenously to rats. Biochemica et Biophysica Acta 1035(1): 71-76 

  19. Kato H, Sakurai Y. 1963. Studies on browning mechanisms of soy-bean products. Roles of 3-deoxyglucosone and furfurals the darkening of pasteurized soy-sauces. Nippon Nogeigakaku Kaishi 35(7): 423-425 

  20. Kato H, Yamada Y, Izaka K, Saurai Y. 1961. Studies on browning mechanisms of soy-bean products. (Part I):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3-deoxyglucosone occuring in soy-sauces and miso. Nippon Nogeigakaku Kaishi 35(3): 412-415 

  21. Kwon H. 1992.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soybean sauce in amino acid kanjang. Master's thesis.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pp 1-21 

  22. Lee YS, Seiichi H, Ko A. 1987. Characterization of melanoidin in soy sauce and fish sauce by electrofocusing and high performance gel permation chromatography.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4(5): 313-319 

  23. Lee YS. 1999. Comparative study on soy sauce and fish sauce melanoidins. Doctorate thesis. Ochanomizu University. pp 126-140 

  24. Moon GS, Choi HS. 1990. S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fermented soybean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4): 461-465 

  25. Nursten HE. 1986. Maillard browning reactions in dried foods. In Concentration and Drying of Foods. Elsevier. London. pp 53-68 

  26. Renn PT, Sathe SK. 1997. Effects of pH, Temperature, and Reactant Molar Ratio on L- Leucine and D- Glucose Maillard Browning Reaction in an Aqueous System, J. Agric. Food Chem 45(10): 3782-3787 

  27. Shu CK. 1998. Pyrazine formation from amino acids and reducing sugars : a pathway other than strecker degradation. J. Agric. Food chem 46(4): 1515-1517 

  28. Terasawa N, Murata M, Homma S. 1991. Separation of model melanoidin into components with copper chelating Sepharose 6B column chromatography and comparison of chelating activity. Agricultural and Biological Chemistry 55(6): 1507-1514 

  29. Wijewickreme AN, Kitts DD. 1998. Oxidative reaction of model maillard reaction product s and $\alpha$ - tocopherol in a flour - lipid mixture. Journal of Food Science 63(3): 466-4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