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념분석 전략에 관한 문헌고찰 연구
A Review Study on the Strategies for Concept Analysi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6 no.3, 2006년, pp.493 - 502  

이명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이소우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김금자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  김묘경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  김지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  이경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  이인옥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  이정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  홍정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Concept analysis is an essential part of theory development in nursing. Thus, many strategies or methods of concept analysis have been suggested in nursing literature. However, in Korea, only limited strategies were utilized, without much consideration on a wide range of strategies in cho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념분석 방법 고찰에 대한 본론에 앞서 우선 개념 자체에 대한 철학적 견해를 간략하게 제시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연구자가 개념 그 자체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 하는 것이 개념분석 작업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 따라서 이 연구는 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개념분석 방법 중 보편화 되어있는 10가지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규명함과 동시에, 각 방법을 적용한 예를 제시하여 향후 개념분석 연구에 적절한 접근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그러나 그 외에도 진화론적 방법, 양적 방법, 질적 방법, 삼각검증법(triangulation), 비평적 문헌평가(Morse, 2000), 비판적 분석, 그리고 페미니스트 접근 등이 개념분석 방법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곳에서는 이들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함께 장단점을 비교해 보고 이를 적용한 구체적인 사례들을 살펴보고자 한다<;Table 1, 2>.
  • 억압받는 사람들에게 힘을 부여하고 사회 변화를 통하여 이들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 기본 목적이다. 해방은 사람들이 그들의 존재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그들이 누구인지를 알고 집합적 힘을 가지게 되는 상태로 정의되며, 이것은 비판과학의 특징인 의식 향상과 실천으로 성취될 수 있다.
  • 그리고 주관적 실재는 사회적, 역사적 전통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여기에서 목표는 주관적 실재를 넘어서서 불공평성을 인정하고 이에 대한 숨겨진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즉 페미니스트 이론은 여성의 기회를 제한하는 남성중심적 편견을 밝힘으로써 여성을 해방시키려는데 있다(Yi & Yih, 2004).
  • 먼저 평가한다. 이러한 평가는 간호 현상에서 나타난 개념을 더욱 정련화시킬 필요가 있는지 알게 한다. 간호학 문헌에서 흔히 사용되는 심리적 속성을 사정하기 위한 도구는 Cronbach's alpha로, 내적 일관성 평가에 주로 사용된다.
  • 따라서 페미니즘에서는 주관성과 맥락성을 중시함과 동시에 옳고 그름을 가르는 이분법을 부정한다. 자기성찰성을 중시하고, 특히 여성의 경험을 가치폄하기보다는 가치화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 실체론적 관점에서의 개념은 "실체" 혹은 구체적인 사물에 초점을 맞춘다. 즉, 현실의 실제적인 요소와 일치하거나 직접적으로 적합한 것을 찾아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반면에 성향적 관점에서는 개념을 어떤 행동을 위한 습관 혹은 능력으로 간주한다.
  • 그리고 각 방법의 장단점을 설명함과 동시에 이를 적용한 실제 예를 보여주었다. 특히 최근에 제시되고 있는 방법들을 자세히 소개함으로써 향후 개념분석 연구에 적절한 접근방법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세 번째, 비판과학은 지식 생성을 정치활동으로 가정한다. 이데올로기 연구라 불리는 비판과학은 사회구조와 이데올로기뿐 아니라 연구과정에 내재된 불평등한 권력관계를 폭로하는 정치 활동을 포함한다.
  • 첫 번째, 비판이론은 사람은 억압적인 현실로부터 자유로워지려는 욕망을 가지고 있으며 자유를 성취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회비평 및 정치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비판적 연구에서, 비평은 사회구조 내의 권력관계와 불균형을 조사함으로써 불의와 억압의 힘을 밝히는데 사용되어야 하며 그 과정은 반대사고, 반영, 분석 및 담화를 포함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sh, A. (2004). Spirituality: the emperor's new clothes?. J Clin Nurs, 13, 11-16 

  2. Chinn, P. L., & Kramer, M. K. (1995). Theory and nursing. A systematic approach(4th ed.). St. Louis: Mosby 

  3. Cho, C. M., & Kim, B. H. (2000). Concept analysis about workers health, J Korean Acad Nurs, 30(2), 272-281 

  4. Fontana, J. S. (2004). A methodology for critical science in nursing. Advances in Nursing Science, 27(2), 93-101 

  5. Ford-Gilboe, M., & Campbell, J. (1996). The mother-headed single-parent family: A feminist critique of the nursing literature. Nurs Outlook, 44, 173-83 

  6. Foss, C., & Ellefsen, B. (2002). The value of comb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in nursing research by means of method triangulation. J Adv Nur, 40(2), 242-248 

  7. Glass N., & Davis K. (2004). Reconceptualizing vulnerability;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as a postmodern feminist analytical research method. Advances in Nursing Science, 27(2), 82-92 

  8. Harding, S. (1991). Whose science? whose knowledge? Thinking from women's lives.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9. Lee, S. W., Kim, J. H., Lee, B. S., Lee, E. H., & Jung, M. S. (1997). Understanding of the nursing theory. Seoul: SooMoon Publishing 

  10. Leeming, D., & Boyle, M. (2004). Shame as a social phenomenon: A critical analysis of the concept of dispositional shame.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77, 375-396 

  11. Lefler, L. L. (2004). Perceived risk of heart attack: A function of gender? Nursing Forum, 39(2), 18-26 

  12. Meleis, A. I. (1985). Theoretical nursing: Development and progress (2nd Ed.). California : J. B. Lippincott 

  13. Morse, J. M. (2000) Exploring pragmatic utility: concept analysis by critically appraising the literature. In B. L. Rodgers & K. A. Knafl (2nd Ed),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pp. 333-352). Philadelphia: W. B. Saunders Co 

  14. Morse, J. M., Mitcham, C., Hupcey, J. E., & Tason, M. C. (1996b). Criteria for concept evaluation. J Adv Nurs, 24, 385-390 

  15. Morse, J. M., Hupcey J. E, Mitcham, C., & Lenz, E. (1996). Concept analysis in nursing research: A critical appraisal. Scholarly Inquiry for Nursing Practice 10, 257-281 

  16. Morse, J. M., Hupcey, J. E., & Lenz, E. R. (1997). Choosing a strategy for concept analysis in nursing research: Moving beyond Wilson. In Gift, A. G.(l997). Clarifying concepts in nursing research (pp. 73-96).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7. Murphy, N., & Canales, M. (2001). A critical analysis of compliance. Nursing Inquiry, 8(3), 173- 181 

  18. Rodgers, B. L. (1989). Concepts,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of nursing knowledge: The evolutionary cycle. J Adv Nurs, 14, 330-335 

  19. Rodgers, B. L., & Knafl, K. A. (2000).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oncept development. In B. L. Rodgers & K. A. Knafl (2nd Ed),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pp. 7-37).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pany 

  20. Schwartz-Barcott, D., & Kim, H. S. (1986). Hybrid model for concept development. In P. L. Chinn (Ed.), Nursing research methodology: Issues and implementations. Rockville, MD: Aspen 

  21. Shih, F. J. (1998). Triangulation in nursing research: Issues of conceptual clarity and purpose. J Adv Nurs, 28(3), 631-641 

  22. Spiers, J. (2000). New perspectives on vulnerability using emic and etic approaches. J Adv Nurs, 31(3), 715-721 

  23. Streubert, H. J., & Carpenter, D. R. (1999). Qualitative research in nursing: Advancing the humanistic imperative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24. Tripp-Reimer, T. (1984). Reconceptualizing the construct of health: Integrating emic and etic perspectives. Res Nurs Health, 7, 101-109 

  25. Walker, L. O., & Avant, K. C. (1995). Strater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3rd Ed.). Norwalk, CT: Appleton & Lange 

  26. Warner, R. (1999). The emic and etics of quality of life assessment.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34(3), 117-121 

  27. Wuest, J. (1994). A feminist approach to concept analysis. West J Nurs Res, 16(5), 577-586 

  28. Yi, M., & Yih, B. S. (2004). Feminism and qualitative nursing research. J Korean Acad Nurs, 34(3), 565-5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