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중합기의 광원에 따른 브라켓 전단결합강도 비교

Comparison of the shear bond strength of brackets in regards to the light curing source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v.36 no.3 = no.116, 2006년, pp.198 - 206  

차정열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이기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박선형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김태원 (개인치과의원) ,  유형석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논 플라즈마 아크 광중합기나 LED 광중합기가 치과영역에 소개된 이후로 기존의 텅스텐 할로겐 광중합기를 사용할 때에 비해 교정장치의 부착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게 되었다. 제논 플라즈마 아크 광중합기에 대한 중합시간과 전단강도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가 있어왔던 반면, LED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교정용장치의 부착을 위한 중합시간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LED 광중합기의 중합시간에 따른 결합강도를 플라즈마 아크 광중합기와 비교하여 적절한 브라켓의 부착강도를 얻기 위해 요구되는 중합시간을 알아보는데 있다. 120개의 발치된 사람의 소구치에 컴포짓 레진으로 브라켓을 부착시킨 후 4초, 6초, 8초 동안 플라즈마 아크 광원과 LED 광원으로 각각 중합시켰다. 그 후 결합강도를 만능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로 계측한 결과, 플라즈마 아크 광중합기에서는 4초 이상에서, LED 광중합기에서는 8초 이상의 중합시간에서 기존의 할로겐 광원을 40초간 노출시켰을 때와 비슷한 전단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플라즈마 아크 광중합기와 LED 광중합기의 중합시간이 접착제 잔류지수 (adhesive remnant index) 수치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xenon plasma arc curing light and the LED curing light as orthodontic curing lights, the polymerizing time of orthodontic composites has clearly decreased. In contrast to various research cases regarding the polymerization time and bond strength of the xenon plasma arc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푸른빛을 생성시키기 위한 filter가 필요 없으며, 충격과 진동에 저항성이 있고, 적은 전력으로도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LED 중합기는 레진 중합에 가장 효율적인 파장인 420-480 nm의 영 역대를 이용해 중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Fujibayashi 등* LED와 기존의 할로겐 광원을 이용한 레진의 중합도를 비교한 실험에서 LED를 이용한 경우 더 높은 단량체에서 중량체로의 전환율을 관찰한 바 있다.
  • 본 연구는 LED 광중합기와 플라즈마 아크 광 중합기의 중합시간에 따른 브라켓의 전단강도를 측정하여 적절한 브라켓의 부착강도에 요구되는 중합 시간을 평가하고자 시행되었다. 120개의 발치된 사람의 소구치에 컴포짓 레진으로 브라켓을 부착시킨 후 4 초, 6초, 8초 동안 플라즈마 아크 광원과 LED 광원으로 각각 중합시켰다.
  • 그러나 아직 LED 광중합 기를 교정영역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바 교정용 장치의 부착에 요구되는 적절한 중합시간에 대해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LED 광 중합기의 중합시간에 따른 결합강도를 플라즈마 아크 광원을 이용한 중합결합강도와 비교하는 것이며 임상에 적합한 브라켓의 부착강도에 요구되는 중합 시간을 알아보는데 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브라켓의 전방과 후방부위에 광원을 조사시킨 이전의 연구와 달리 브라켓의 직상방에서 조사하였다. 조사시간이 짧고 강한 만큼 직상방에서의 중합으로도 충분한 결합강도를 얻을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실험을 계획하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번 예비 실험에서 근원심으로 광원을 조사시켜서 전단결합 강도를 비교한 결과 LED 광중합기에서는 근원 심으로 2초씩 4초 동안 조사시킨 경우 20%정도의 전단 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6초, 8초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Newman SM, Murray GA, Yates JL. Visible lights and visible light-activated composite resins. J Prosthet Dent 1983;50:31-5 

  2. Oesterle LJ, Newman SM, Shellhart WC. Comparative bond strength of brackets cured using a pulsed xenon curing light with 2 different light-guide size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2;122:242-50 

  3. Oesterle LJ, Newman SM, Shellhart WC. Rapid curing of bonding composite with a xenon plasma arc light.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1;119:610-6 

  4. Pettemerides AP, Sherriff M, Ireland AJ. An in vivo study to compare a plasma arc light and a conventional quartz halogen curing light in orthodontic bonding. Eur J Orthod 2004;26:573-7 

  5. Mills RW. Blue light emitting diodes - another method of light curing- Br Dent J 1995;178:169 

  6. Fujibayashi K, Ishimaru K, Takahashi N, Kohno A. Newly developed curing unit using blue light-emitting diodes. Dent Jap 1998;34:49-53 

  7. Hannig M, Bott B. In-vitro pulp chamber temperature rise during composite resin polymerization with various light-curing sources. Dent Mater 1999;15:275-81 

  8. Bishara SE, Trulove TS. Comparisons of different debonding techniques for ceramic brackets: an in vitro study. Part I. Background and method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0;98:145-53 

  9. Bagis YH, Rueggeberg FA. The effect of post-cure heating on residual, unreacted monomer in a commercial resin composite. Dent Mater 2000;16:244-7 

  10. Imazato S. Torii M, Tsuchitani Y, McCabe JF, Russell RR. Incorporation of bacterial inhibitor into resin composite. J Dent Res 1994;73:1437-43 

  11. Demke RS. Residual monomer/additive release and variability in cytotoxicity of light-curing glass-ionomcr cements and compomers. J Dent Res 1999;78:724 

  12. Reynolds I. A review of direct orthodontic bonding. Br J Orthod 1975;2:171-8 

  13. Retief DH. Failure at the dental adhesive-etched enamel interface. J Oral Rehabil 1974;1:265-84 

  14. Diedrich P. Enamel alterations from bracket bonding and debonding: a study with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m J Orthod 1981;79:500-22 

  15. Pettemerides AP, Ireland AJ, Sherriff M. An ex vivo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a plasma arc lamp when using a visible light-cured composite and a resin-modified glass poly(alkenoate) cement in orthodontic bonding. J Orthod 2001;28:237-44 

  16. Sfondrini MF, Cacciafesta V, Pistorio A, Sfondrini G. Effects of conventional and high-intensity light-curing on enamel 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and resin-modified glass-ionomer.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1;119:30-5 

  17. Evans LJ, Peters C, Flickinger C, Taloumis L, Dunn W. A comparison of shear bond strengths of orthodontic brackets using various light sources, light guides, and cure time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2;121:510-5 

  18. Munksgaard EC, Peutzfeldt A, Asmussen E. Elution of TEGDMA and BisGMA from a resin and a resin composite cured with halogen or plasma light. Eur J Oral Sci 2000;108:341-5 

  19. Wang WN, Meng CL. A study of bond strength between light- and self-cured orthodontic resi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2;101:350-4 

  20. Bishara SE, Olsen ME, Damon P, Jakobsen JR. Evaluation of a new light-cured orthodontic bonding adhesiv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8;114:80-7 

  21. Bishara SE, Ajlouni R, Oonsombat C. Evaluation of a new curing ligh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Angle Orthod 2003;73:431-5 

  22. Micali B, Basting RT. Effectiveness of composite resin polymerization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s) or halogen-based light-curing units. Pesqui Odontol Bras 2004;18:266-70 

  23. Rahiotis C, Kakaboura A, Loukidis M, Vougiouklakis G. Curing efficiency of various types of light-curing units. Eur J Oral Sci 2004;112:89-94 

  24. Vandewalle KS, Roberts HW, Tiba A, Charlton DG. Thermal emission and curing efficiency of LED and halogen curing lights. Oper Dent 2005;30:257-64 

  25. Swanson T, Dunn WJ, Childers DE, Taloumis LJ,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bonded with light-emitting diode curing units at various polymerization time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4;125:337-41 

  26. Zach L, Cohen G. Pulp response to externally applied hea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65;19:515-30 

  27. Pohto M, Scheinin A. Vital microscopy of the pulp in the rat incisor. VII. Reactions to silicate cements. Suom Hammaslaak Toim 1967;63:178-86 

  28. Cobb DS, Dederich DN, Gardner TV. In vitro temperature change at the dentin/pulpal interface by using conventional visible light versus argon laser. Lasers Surg Med 2000:26:386-97 

  29. Klocke A, Korbmacher HM, Huck LG, Kahl-Nieke B. Plasma arc curing lights for orthodontic bonding.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2:122:643-8 

  30. Klocke A, Korbmacher HM, Huck LG, Ghosh J, Kahl-Nieke B. Plasma arc curing of ceramic brackets: an evaluation of shear bond strength and debonding characteristic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3:124:309-15 

  31. Hasegawa T, Itoh K, Yukitani W, Wakumoto S, Hisamitsu H. Depth of cure and marginal adaptation to dentin of xenon lamp polymerized resin composites. Oper Dent 2001:26:585-90 

  32. Artun J, Bergland S. Clinical trials with crystal growth conditioning as an alternative to acid-etch enamel pretreatment. Am J Orthod 1984:85:333-40 

  33. O'Brien KD, Watts DC, Read MJ. Residual debris and bond strength: is there a relationship?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8:94:222-30 

  34. Oliver RG. The effect of different methods of bracket removal on the amount of residual adhesiv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8:93:196-200 

  35. Sinha PK, Nanda RS, Duncanson MG, Hosier MJ. Bond strengths and remnant adhesive resin on debonding for orthodontic bonding technique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5;108:302-7 

  36. Winchester L. Methods of debonding ceramic brackets. Br J Orthod 1992:19:23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