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전 후 묵밭의 식생 천이에 따른 종다양성 및 식생 구조의 발달
Changes of Species Diversity and Development of Vegetation Structure 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 after Shifting Cultivation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v.29 no.3, 2006년, pp.227 - 235  

이규송 (강릉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원도 평창군 일대에서 화전 후 묵밭의 식생 천이에 따른 식생 구조의 발달 과정과 종다양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방치 후 경과 년 수에 따라 최상층부의 키는 초기에 빠르게 증가하고 후기에 안정화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0, 20, 50 및 80 년차 묵밭에서 최상층부 식생의 키는 각각 4, 8, 18 및 18 m이었다.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및 초본층의 4층 구조를 갖춘 완전한 형태의 숲으로 발달하기까지는 방치 후 약 35년이 경과해야 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방치 후 경과 년 수에 따라 식생치 Ivc는 로그 함수적으로 그리고 식생치 Hcl은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묵밭의 식생천이에서 종다양성은 천이 중기인 $10{\sim}20$년차에서 최고로 증가한 다음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조사지에서 종다양성은 균등도보다 종풍부도와 매우 밀접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목본은 개망초-쑥 단계인 $2{\sim}6$년차에 정착이 이루어져 시간 경과에 따라 이들의 우점도가 변화함으로써 Egler (1954)의 초기 종조성 모델을 따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of the species diversity and development of vegetation structure 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 after shifting cultivation were investigated in Pyoungchang, Gangwon-Do, Korea. The height of top layer tended to increase rapidly during the earlier successional stages and stabilize in the 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냉온대 활엽 수림을 대표하는 산림생태계에서 인간의 간섭으로부터 산림의 구조가 회복되는 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과거 화전으로 인하여 산림 훼손이 심하게 발생하였던 강원도 평창군 일대에서 화전 후 묵밭의 식생 천이에 따른 식생 구조의 발달과 식물 종 다양성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원도. 2005. 2000년 동해안 산불피해지 산림복구. p 289 

  2. 동해안 산불피해지 공동조사단. 2000. 동해안 산불 피해지역 정밀 조사보고서 I, II 

  3. 오정수. 1997. 산림생태계의 환경형성 기능 평가. 서울여자대학교 생태연구소 설립기념 심포지움 '환경문제의 생태학적 접근' 자료집. pp 82-90 

  4. 옥영호. 1984. 묵밭의 천이 초기에 있어서 토양의 성질, 종다양성 및 r-K 선택의 변화.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p 43 

  5. 이규송, 김준호. 1998. 조림이 초기 묵밭 식생천이에 미치는 영향. 강릉대학교 환경과학연구소논문 1(1): 31-39 

  6. 이규송, 박상덕. 2005. 산불지역 숲의 발달과 토양유실의 변화. 방재정보 7(4): 18-33 

  7. 이규송, 정연숙, 김석철, 신승숙, 노찬호, 박상덕. 2004. 동해안 산불 피해지에서 산불 후 경과 년 수에 따른 식생 구조의 발달. 한국생태학회지 27(2): 99-106 

  8. 이규송. 1995. 진부 (강원도 평창군) 일대 화전 후 묵밭의 식생 천이 기구. 서울대학교 이학박사학위논문. p 236 

  9. 이우철, 김종진, 전상근, 1979. 강원도의 화전적지에 있어서 제 2차 천이의 초기군락발달에 관한 연구. 자연보전연구보고서 1: 145-166 

  10. 이희선. 1981. 화전후 휴경지의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 청주사대논문집 10: 177-185 

  11. 호을영. 1975. 강원도 화전정리 사업에 수반되는 문제점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28: 50-66 

  12. 홍선기, 강호정, 김은식, 김재근, 이은주, 이재천, 이점숙, 임병선, 정연숙, 정흥락. 2005. 생태복원공학 - 서식지와 생태공간의 보전과 관리. 라이프사이언스. 서울. p 310 

  13. Ashby WC. 1987. Forests. In: Restoration ecology (Jordan III, WR, Gilpin ME, Aber JD,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89-108 

  14. Bazzaz, FA. 1968. Succession on abandoned fields in the Shanee hills southern Illinois. Ecology 49: 924-936 

  15. Clements FE. 1916. Plant succession: An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vegetation. Carnegie Inst. Fub. 242. Washington. D.C. p 512 

  16. Connell JH and Slatyer RO. 1977. Mechanisms of succession in natural communities and their role in community stability and organization. Am Nat 111: 1119-1124 

  17. Drury WH, Nisbet ICT. 1973. Succession. J. Arnold Aboretum Cambridge 54: 331-368 

  18. Egler FE. 1954. Vegetation science concepts. I. Initial floristic composition a factor in old-field vegetation development. Vegetatio 4: 412-417 

  19. Falinka K. 1991. Plant demography in vegetation success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p 210 

  20. Gleason HA. 1917. The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the plant association. Bull Torrey Bot Club 44: 463-481 

  21. Gleason HA. 1926. The individualistic concept of the plant association. Bull Torrey Bot Club 53: 7-26 

  22. Glenn-Lewin DC, Peet RK, Veblen TT. 1992. Plant succession; Theory and prediction. Chapman and Hall, London, p 352 

  23. Grime GP. 1979. Plant strategies and vegetation process. John Wiley & Sons, New York. p 222 

  24. Gross KL. 1987. Mechanism of colonization and species persistence in plant communities. In: Restoration ecology(Jordan III WR, Gilpin ME, Aber JD,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173-188 

  25. Harrison JS, Werner PA. 1982. Colonization by oak seedlings into a heterogeneous successional habitat. Can J Bot 62: 559-563 

  26. Horn HS. 1976. Succession. In: Theoretical ecology : Principles and applications (May RM, ed). Saunders, Philadelphia. pp 187-204 

  27. Inouye RS, Huntly NJ, Tilman D, Tester JR, Stillwell M, Zinnel KC. 1987. Old-field succession on a Minnesota sand plain. Ecology 68: 12-26 

  28. Kang SJ. 1982. Ecological studies on the burned fields in Korea. Tohoku Univ. Ph. D. Thesis. p 103 

  29. Lee KS, Kim JH. 1995a. Seral changes in environmental factors and recovery of soil fertility 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 after shifting cultivation. Korean J Ecol 18 (2): 243-253 

  30. Lee KS, Kim JH. 1995b. Seral changes in floristic composition 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 after shifting cultivation. Korean J Ecol 18 (2): 275-283 

  31. Margalef R. 1968. Perspectives in ecological the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p 112 

  32. Monk C. 1967. Tree species diversity in the eastern deciduous forest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north-central Florida. Am Nat 101: 173-187 

  33. Odum EP. 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 262-270 

  34. Osboronova J, Kovarova M, Leps J, Prach K. 1990. Succession in abandoned field - Studies in central Bohemia, Czechoslovakia -. Geobotany 15.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p 168 

  35. Pickett, STA, Collins SL, Armesto JJ. 1987. Models, mechanism and pathways of succession. Bot Rev 53: 335-371 

  36. Shafi M, Yarranton GA. 1973. Diversity, floristic richness, and species richness during secondary (post-fire) succession. Ecology 54: 897- 902 

  37. Tilman D. 1985. The resource-ratio hypothesis of plant succession. Am Nat 125: 827-852 

  38. Tramer EJ. 1975. The regulation of plant species diversity on early successional old-field. Ecology 56: 905-914 

  39. Yim YJ, Kim SD. 1983. Climate-diagram map of Korea. Korean J Ecology 6: 261-2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