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완대체요법의 국내외 연구 동향 비교
Research Trend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6 no.5, 2006년, pp.721 - 731  

오가실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김금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권소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박지원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scribe the research trend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CAM)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Method: A Systematic review of CAM related literature published from 2000 to 2005 was done. A comprehensive search by using 34 CAM modalities as search terms to 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완대체연구의 주도적 학문분야를 알아보기 위하여 책임연구자를 조사하였다. 국내 실험연구의 책임연구자는 5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인정되는 제도권의학인 서양의학과 한의학 영역의 치료나 요법을 제외한 모두를 보완대체요법으로 정의하고, NCCAM에서 분류한 다섯 영역의 보완대체요법 유형을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한 논문 검색 기준으로 선택하였다. NCCAMe 서양의학이외의 모든 영역 즉 한의학이나 중의학도 대체의학 체계로 분류하고 보완대체요법으로 규정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은 제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의료학문 분야에서 발표된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국내외 연구논문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국내외 연구동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보완대체요법의 학문적 특성을 확인하고 적합한 방법론적 접근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 보완요법에 대한 실험연구가 활발한 간호분야에서 보완대체요법을 통합의료서비스로 정착시키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할 필요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우선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국내외 연구논문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보완대체요법의 학문적 특성을 확인하고 자 국내외 연구동향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학문의 정체성과 영역을 한정지을 수 ' 있는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un, S. I. (2004).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Seoul : Gyechuk Publishing Company 

  2. Eisenberg, D. M., Davis, R. B., & Ettner, S. J. (1998). Trends in alternative medicine use in the United States, 1990-1997. JAMA, 280, 15-69 

  3. Jadud, A. R., Moor, R. A., Carroll, D., Jenkinson, C. J., Reynolds, D. J., Gavaghan, D. J., & McQuay H. J. (1996). Assess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 is blinding necessary? Controlled Clin Trials, 17, 1-12 

  4. Jang, E. H., & Park, K. S. (2003). A comparative study of nurses' and physicians' attitudes abou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J Korean Acad Adult Nurs, 15(3), 402-410 

  5. Kim, M. H.(2003).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nd its related factors in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Deagu 

  6. Klaus, L. Wayne, B. J., Dieter, M., & Stefan, W. (2001).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homeopathy, herbal medicines and acupuncture. Int J Epidemiol, 30, 526-531 

  7. Korean Medical Associa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idence level for complementary therapy-Summary (2005). Seoul, Korean Medical Association 

  8. Lee, E. I., Shin, Y. C., Lee, J. Y., Kim, S. D., Kim, H. J., & Cho, M. S. (2002).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cancer patients at 7 general hospitals in Seoul.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8(3), 225-238 

  9. Menniti-Ippolito, F., Gargiulo, L., Bologna, E., Forcella, E., & Raschetti, R. (2002). Use of unconventional medicine in Italy : A nation wide survey. Eur J Clin Pharmacol, 58, 61-64 

  10. NCCAM (National Center of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What i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Retrieved November 1, 2005, from http://nccam.nih.gov /health/w hatiscam/ 

  11. Ni, H., Simile, C., & Hardy, A. M. (2002). Utiliz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by United States adults. Med Care, 40, 353-358 

  12. Pitter, M. H., Abbot, N. C., Harkness, E. F., & Ernst, E. (2000). Location bias in controlled clinical trials of complementary/alternative therapies. J Clin Epidemiol, 53, 485-489 

  13. Raschetti, R., Menniti-Ippolito, F., Forcella, E., & Bianchi, C. (2005).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the scientific literature. J Altern Complement Med, 11(1), 209-212 

  14. Seol, K. L., Choi, S. Y., & Jong, I. L. (2002). A study on the use,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with alternative therapy for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8(2), 198-211 

  15. Son, H. M. (2002). Nurses' attitudes towar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J Korean Acad Adult Nurs, 14(1), 62-72 

  16. Tang, J. L., Zhan, S. Y., & Ernst, E. (1999).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BMJ, 319, 160-161 

  17. Vincent, C., & Furnham, A. (1996). Why do patients turn to complementary medicine? Br J Clin Psychol, 35, 49-61 

  18. Yang, N. Y., & Shin, K. R. (2003).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abou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CAT) in nursing of Korea. J Korean Acad Adult Nurs, 15(6), 226-2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