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적간호의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Spiritual Care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6 no.5, 2006년, pp.803 - 812  

강성례 (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ttributes of the concept of spiritual care. Method: Walker & Avant's concept analysis framework was employed to review the clinical guidelines, nursing text books, and nursing research articles which were related to spiritual care and published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광범위한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개념분석을 하였다고는 하지만 제한된 자료에 대한 분석이므로 영적 간호가 수행되는 임상 현장의 사회문화적 요소 및 실무를 충분히 반영하고 대변할 수는 없다. 다만 1985년-2005년 약 20년 동안 보고된 영적 간호의 종설 및 연구논문을 통해서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영적 간호의 주요 속성을 통합하면서도 동시에 중복되거나 불필요한 속성은 제거하여 영적 간호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영적 간호가 전인 간호의 중요한 요소라는 사실에 동의하고 있지만 그 구체성과 객관적 수행지표의 부족으로 임상 현장에서 실제로 활발하게 수행되지 못하고 있는 현상에 착안하여 수행되었다. 따라서 광범위한 문헌 고찰에 근거하여 Walker와 Avant(1995) 가 제시한 개념분석의 틀을 따라 영적 간호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개념을 통일화하고, 구체적 행위로 나타나는 간호 중재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1995) 의 개념분석 틀을 적용하여 영적 간호에 대한 개념분석을 시도한 연구이다. 따라서 현장에 대한 관찰을 필요로 하지 않고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특정개념의 쓰임새, 정의, 목적, 근거, 과정, 평가 등이 기존의 문헌에 어떻게 제시되었나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영적 간호가 전인 간호의 중요한 요소라는 사실에 동의하고 있지만 그 구체성과 객관적 수행지표의 부족으로 임상 현장에서 실제로 활발하게 수행되지 못하고 있는 현상에 착안하여 수행되었다. 따라서 광범위한 문헌 고찰에 근거하여 Walker와 Avant(1995) 가 제시한 개념분석의 틀을 따라 영적 간호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개념을 통일화하고, 구체적 행위로 나타나는 간호 중재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통합적이고도 명확한 개념 정의를 통하여 수행도가 향상된 영적 간호의 이론적 틀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alker와 Avant(1995)의 개념분석 틀에 근거하여 영적 간호에 대한 체계적인 개념분석을 통해서 개념을 통일화하고, 영적 간호에 대한 명확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간호제공자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 영적 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간호사가 갖추고 있는 조건과 간호 상황 등의 2가지 요소가 포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cademic Search Elite. Research information DB. Retrieved from http://www.epnet.com 

  2. Belcher, A. E., Dettmore, D., & Holzemer, S. P. (1989) Spiritual and sense of well-being in persons with AIDS. Holist Nurs Pract, 3(4), 16-25 

  3. Brill, N. (1978). Working with people : The helping process. New York: J. B. Lippincott Company 

  4. Canda, E. (1988). Conceptualizing spirituality for social work: Insights from diverse perspectives. Social Though, 14(1), 30-46 

  5. Carpenito, L. J. (1997). Nursing diagnosis : application to clinical practice (7th ed.). Philadelphia : Lippincott Company 

  6. Choi, B. G. (1999). The way for the deep spirituality. Seoul Yeyoung Communication 

  7. Christian Academy. (1985). Christian cyclopedia. II. Seoul : Christian Academy 

  8. Derezotes, D. S., & Evans, E. K. (1995).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in practice : In-depth interviews of social work practitioners. Social Though, 18(1), 9-56 

  9. Don, G. (2004). Spiritual intervention : How, when, and why nurses use them. Holist Nurs Pract, 18(1), 36-41 

  10. Dossey, B. (1998). Holistic modalities and healing moments. AJN, 98(6), 44-47 

  11. Ellison, C. W. (1983). Spiritual well-being :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J Psychol & Theol, 11, 330-340 

  12. Fowler, J. W. (1981). Stage of faith : The psychology of human development and the quest for meaning. San Francisco : Harper & Row 

  13. Highfield, M. E. (2000). Providing spiritual care to patients with cancer. Clin J Oncol Nurs, 4(3), 115-120 

  14. Jeong, J. S. (1995). Spiritual care. Seoul : Hyunmoonsa 

  15. Kang, S. R. (2001).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the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J Korean Nurs Adm, 7(2), 237-251 

  16. Kim, J. J., & Lee, M. O. (1997). Nursing theory of Nightingale. Seoul : Hyunmoonsa 

  17. Kim, M. S. (1990). Spiritual care in dying and nursing -hospice care. Nursing science research institution, Ewha Woman's University 

  18. Lee, M. R. (1998). Introduction of spiritual nursing, Seoul : Hyunmoonsa 

  19. McEwen, M. (2005). Spiritual nursing care. Holist Nurs Pract, 19(4), 161-168 

  20. Minjungsa. (1990). Korean dictionary. Seoul Minjungsa 

  21. Musgrave, C. F., & McFarlane, E. A. (2004). Intrinsic and extrinsic religiosity, spiritual well-being, and attitudes toward spiritual care : A comparison of Israeli Jewish oncology nurses' scores. Oncol Nurs Forum, 31 (6), 1179-1183 

  22. No, Y. J., Han, S. S., An, A. H., & Kim, C. G. (1997). Hospice and dying. Seoul : Hyunmoonsa 

  23. Oh, B. J., & Kang, K. A. (2000). Concept analysis of spirituality. J Korean Nurs Acad Soc, 30(5), 1145-1155 

  24. Park, J. H., & Kim, M. J. (2002). New nursing introduction. Seoul :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5. Peri, T. A. (1995). Promoting spirituality in persons with AIDS : A nursing intervention. Holist Nurs Pract, 10, 68-76 

  26. Research Information Center for Health. Research information DB. Retrieved from http://www.richis.org 

  27. Sheldon, J. E. (2000). Spirituality as a part of nursing. J Hasp Palliat Nurse, 2(3), 101-108 

  28. Stoll, R. (1979). Guidelines for spiritual assesses, AJN, 79, 1574-1577 

  29. Taylor, E. J., Amanta, M., & Highfield, M. (1995). Spiritual care practices of oncology nurse. Oneal Nurs Forum, 22, 31-39 

  30. Walker, L. O., & Avant, K. C. (1995).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3rd ed.). New York, Connecticut/ San Mateo, California : Appleton & Lange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