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고생을 대상으로 한 개별화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Tailored Smoking Cessation Program in High School Girl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3 no.2, 2006년, pp.11 - 27  

송연이 (문경대학 간호과) ,  이강숙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tailored program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to smoking cessation in high school girl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35 industrial high school girls who have be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대상자에서는 유지단계의 대상자는 없었으나 이전 단계의 대상자들에게 장기간의 금연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여고생의 금연을 유도하기 위하여, 범이론적 모델을 기반으로 여고생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된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C시 소재 1개 실업계 고등학교의 여학생 35명(실험군 18명, 대조군 17명)을 대상으로 유사실험 연구를 하였다.
  • 여성은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대처하는 수단으로서 또는 감정을 다스리기 위해 흡연을 한다고 하며 (Ward 등, 1997), 스트레스를 주는 상황에서도 잘 기능할 수 있는 능력은 높은 자긍심, 통제감, 환경을 예측가능하다고 보는 견해, 기본적으로 인생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 그리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옹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능력이라고 보고 있다(한상철 등, 2001). 본 연구에서는 범이론적 모델의 구성요소를 기본으로 제공한 프로그램이 긍정적 자기진술과 상황극으로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스트레스 해소와 금연 유혹을 떨치기 위한 이완요법을 시도하는데 주력하였고, 문제가 생겼을 때 커뮤니티에 공개적으로 글을 올려서 같은 또래집단의 지지를 받음으로써, 대조군에 비해 더 많은 흡연행위의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 5%이었고(CDC, 19&4), 남성보다 재발이 잘 되고 성공적인 금연시도가 더 적었다(BLake 등, 1989; Swan 등, 1990; Ward 등, 1997). 본 프로그램에서는 여성의 흡연과 관련된 신체의 변화와 여성으로서의 성역할과 체중증가에 대한 대처방법 등을 설명하였는데, 흡연의 욕구를 자제하는 것으로도 생활양식의 큰 변화이므로 음식조절까지 병행하는 경우 금연까지 방해 받을 수 있으므로,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권유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흡연 여고생을 대상으로 흡연 양상 등을 조사하고, 범이론적 모델의 변화단계에 따른 개별화된 금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고윤정. 사이버상담에 대한 태도 연구-여중생을 대상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 김문실, 김애경. 대학생의 흡연행위 유형에 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97;27(4):843-856 

  3. 김수진. 범 이론적 모델을 적용한 금연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흡연행위와 사회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9 

  4. 노원환. 흡연예방교육에 의한 청소년들의 흡연에 대한 지식 및 태도변화와 흡연량의 감소 효과 [박사학위논문]. 대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0 

  5. 손재희, 김성아, 감신, 예민해, 박기수, 오희숙. 근로자의 금연프로그램 참가의도와 관련된 요인. 예방의학회지 1999;32(3):297-305 

  6. 신성례. 흡연청소년을 위한 자기조절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7.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국민건강증진연구소,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5년 전국 중고등학교 학생흡연 실태조사 .2005 

  8. 이명순. 청소년 흡연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2001년 보건소금연지도자교육,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1. 쪽 106-118 

  9. 최정숙. 인지행동요법을 적용한 금연프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10. 최지혜, 김명, 최은진, 김혜경. 시청각 교육과 토론을 통합한 청소년 금연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3;20(3):19-35 

  11.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8년도 국민건강 영양조사-보건의식행태조사(20세 이상 성인). 서울: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12. 한상철, 조아미, 박성희. 청소년 심리학. 서울: 양서원. 2001 

  13. Audrain J, Gomez-Caminero A, Robertson AR, Boyd R, Orleans CT, Lerman C. Gender and ethnic differences in readiness to change smoking behavior. Women's Health 1997;3(2):139-150 

  14. Blake SM, Klepp KI, Pechacek TF, Folsom AR, Luepker RV, Jacobs DR, Mittlemark MG. Differences in smoking cessation strategies between men and women. Addict Behav 1989;14:409-418 

  15. Camp DE, Kleges RC, Relyea 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weight concerns and adolescent smoking. Health Psychol 1993;12:24-32 

  1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igarette smoking among adults-United States 1993. Morb Mortal Wkly Rep (MMWR) 1944;43:925-929 

  17. Colletti G, Supinck JA, Payne TJ. The Smoking Self-Efficacy Questionnaire(SSEQ):Preliminar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Behavioral Assessment 1985;7:249-260 

  18. Compas BE, Orooan PG, Grant KE. Adolescent stress and coping: Implications for psychopathology during adolescence. J Adolescence 1993;16:331-349 

  19. Cummings KM, Emont SL, Jaen C, Sciandra R. Format and quitting instructions as factors influencing the impact of a self-administered quit smoking program. Health Education Quarterly 1988;15:199-216 

  20. DiClemente CC, Prochaska JO. Self change and therapy change of smoking behavior: A Comparison of0 processes of change in cessation and maintenance. Addictive Behavior 1982;7:313-142 

  21. Dijkstra A, De Vries H, Bakker M. Pros and Cons of Qutiting, Self-Efficacy, and the Stages of Change in Smoking Cessation. J Consulting and ClinicaI Psychology 1996;64(4):758-763 

  22. Dijkstra A, De Vries H, Roijackers J. Targeting Smokers with Low Readiness to Change with Tailored and Non-tailored Self-Help Materials. Prev Med 1999;28:203-211 

  23. Fagerstrom KO, Schneider NG. Measuring nicotine dependence: A Review of the Fagerstrom Tolerance Questionnaire. J Behavior Medicine 1989;12(2):159-182 

  24. Fava JL, Velicer WF, Prochaska JO. Apply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to s Representative Sample of Smokers. Addictive Behaviors 1995;20(2):189-203 

  25. Frydenberg E, Lewis R. Boys play sport and girls turn to others: Age, gender and ethnicity as determinants of coping. J Adolescence 1993;16:253-266 

  26. Gilbert RM, Pope MA. Early effects of quitting smoking. Psychopharmacol 1982;78:211-127 

  27. Gritz ER, Thompson B, Emmons K, Ockene JK, McLerran DF, Nielsen IR. Gender differences among smokers and quitters in the working well trial. Prev Med 1998;27:553-561 

  28. Grotvedt L, Stavem K. Association between age, gender and reason for smoking cessation. Scandinavian J Public Health 2005;33: 72-76 

  29. Hunter SM, Qutiting. In: Samet JM, Yoon SY, editors. Woman and the Tobacco Epidemic.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pp.121-146 

  30. Jekel JF, Elmoer JG, Katz DL. Epidemiology Biostastics and Preventive Medicine. Philadelphia : W.B. Saunders Company, 1993 

  31. McGinnis JM, Foege WH. Actual Causes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JAMA 1993;270(18):2207-2212 

  32. Mittelmark ME, Murray DM, Luepker RV, Pechacek TF, Pirie PL, Pallonen UE. Predicting experimentation with cigarettes: the Childhood Antecedents of Smoking Study(CHSS). Am J Public Health 1987;77(2):206-208 

  33. Pierce JP, Fiore MC, Novotny TE, Hatziandreu EJ, Davis RM. Trends in cigarette smoking in the United States: Educational differences are increasing. JAMA 1989;261:56-60 

  34. Pirie PL, Murray DM, Luepker RV. Smoking and quitting in a cohort of young adults. Am J Public Health Psychology 1991;81:324-327 

  35. Prochaska JO, DiClemente CC. Velicer WF, Rossi JS. Standardized, Individualized, and Personalized Self-Help Programs for Smoking Cessation. Health Psychology 1993;12(5):399-405 

  36. Prochaska JO, DiClemente CC. Stages and Processes of Self-Change of Smoking: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Change. J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983;51 (3):390-395 

  37. Prochaska JO, Redding CA, Evers KE. The Trans-theoretical Model and Stages of Change. In: Glantz K, Lewis FM, Rimer BK. Health Behavior &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 Practice. 2nd ed. Califonia : Jossey-Bass, 1997. pp.60-84 

  38. Prochaska JO, Velicer WF, Diclamente CC, Fava J. Measuring Processes of Change: Applications to the Cessation of Smoking. J Consulting and Clincal Psychology 1988;56(4):520-528 

  39. Prochaska JO. Systems of Psychotherapy: A Trans-theoretical Analysis. 2nd ed. California: Brooks-cole, 1984 

  40. Prokhorov AV, De Moor CA, Hudman KS, Hu Shaohua Kelder SH, Gritz ER. Predicting initiation of smoking in adolescents: Evidence for integrating the stages of change and susceptibility to smoking constructs. Addictive Behaviors 2002;27:697-712 

  41. Shulman S. Close relationships and coping behavior in adolescence. J Adolescence 1993;16:267-283 

  42. Stanton WR. DSM III-R tobacco dependence and quitting during late adolescence. Addict Behav 1995;20:595-603 

  43. Swan AV, Creeser R, Murray M. When and why children first start to smoke. International J Epidemiology 1990;19(2):323-330 

  44.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ealthy People 2000: National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Objectives. Washington D.C., 1990 

  45.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Women and Smoking.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Office on Smoking and Health, 2001 

  46. Velicer WF, DiClemente CC, Prochaska JO, Brandenburg N. A decisional balance measure for assessing and predicting smoking status. J Per Soc Psycho 1985;48:1279-1239 

  47. Velicer WF, DiClemente CC, Rossi JS, Prochaska JO. Relapse situations and self-efficacy: An integrative model. Addict Behav 1990;15:271-283 

  48. Velicer WF, Prochaska JO, Bellis JB, DiClemente CC, Rossi JS, Steiger JH. An expert system intervention for smoking cessation. Addict Behav 1993;18:269-290 

  49. Ward KD, Klesges RC, Zbikowski SM, Bliss RE, Garvey AJ. Gender differences in the outcome of an unaided smoking cessation attempt Addict Behav 1997;22:521-533 

  50. Weekly CK, Klesges RC, Reylea G. Smoking as a weight-control strategy and its relationship to smoking status. Addict Behav 1992;17:259-271 

  51. Williamson DF, Madans J, Anda RF, Kleinman JC, Giovino GA, Byers T. Smoking cessation and severity of weight gain in a national cohort. New Engl J Med 1991;324:739-7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