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의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자아개념
Moderate Effects of Gender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moking and Self-concept among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3 no.2, 2006년, pp.29 - 45  

이선혜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  서경현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ttitude toward smoking and knowledge on smoking,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examine the moderate effects of gender on the differences in those variables between smoking and non-smoking students. As the result of in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일부 고등학생의 흡연에 대한 태도와 지식, 자아개념에 있어서 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고등학생들이 흡연과 정부의 금연정책 등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와 흡연자들의 자기개념을 탐색하여 청소년의 흡연을 예방하거나 금연을 유도하려는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 건강관련 행동온 그것에 대한 신념과 태도로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BecM와 Rosenstock, 1984), 고등학생의 흡연에 대한 태도를 탐색한 본 연구는 청소년 흡연을 방지거나 금연을 유도하려고 하는 이들에게 도옴이 될 것이다. 그리고 기존의 무기명 설문이 아닌 Bogus lipeline 방식으로 흡연 학생들을 구별하여 분석하였고, 고등 학생의 흡연 여부에 따른 흡연관련 지식과 자아 존중감의 차이에 성의 조절효과가 검증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흡연을 예방하거나 금연을 유도하려는 전문가들이 그들의 성을 고려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청소년온 사회적 요망도에 더 민감하여 흡연 여부에 관한 설문에 솔직히 옹답하지 않는 성향이 강한데,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 설문지와 생리적 측정을 함께 하는 Bogus pipeline 방식으로 흡연 여부에 관한 정보를 얻었다. 그리고 이 방법이 무기명 자기보고식 설문에 의한 조사와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무기명으로 설문한 조사에서의 흡연율이 남학생 경우 22.
  • 그리고 그런 점을 지각한 여자 청소년온 자신 혹온 타인의 흡연에 관해 남자 청소년과는 다르게 인식할 것이며, 흡연 행동과 관련하여 자신에 대한 평가에서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해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온 고등학생의 흡연에 대한 태도와 지식, 자아개념에 있어서 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여 청소년의 흡연을 예방하거나 금연을 유도하려는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 주어진 예산의한 계와 여건을 감안하면 이런 조사 방식이 최선의 선택일 수 있지만, 다른 방식을 통해 흡연여부를 측정한 자료에 근거한 흡연율을 바라는 학자들도 있다. 본 연구가 흡연율을 조사하는 목적으로 수행된 것온 아니지만,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 설문지와 생리적 측정을 함께 하는 Bogus pipeline 방식으로 얻온 자료에 근거하여 흡연 학생과 비흡연 학생을 구분하였다. 이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가 무기명 설문조사에 의한 흡연율과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Bogus pipeline기법을 사용하여 조사하기 1주일 전에 무기명 설문으로 1차 조사를 하였다.
  • 87)세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양에서 청소년 흡연율 조사하는 방법으로 자주 사용되는 Bogus pipeline기 법을 사용하였는데 , 이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가 무기명 설문조사에 의한 흡연율과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Bogus pip包ine기법을 사용하여 조사하기 1주일 전에 같온 대상자에게 무기명 설문을 통해 1차 조사를 하였다. 설문지에는 흡연에 대한 태도 질문지, 비흡연 의지 목록, 금연 정책에 대한 태도 질문지, 금연권유 의지 목록, 흡연관련 지식 검사,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가 포함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일부 고등학생의 흡연에 대한 태도와 지식, 자아개념에 있어서 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고등학생들이 흡연과 정부의 금연정책 등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와 흡연자들의 자기개념을 탐색하여 청소년의 흡연을 예방하거나 금연을 유도하려는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 서양에서도 아직 이런 사회적 규범이 남아 있고, 이런 사회적 규범이 많이 퇴색되었다고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서양보다는 더 강하게 존재하고 있다(한종철 등, 1995; 서경현, 2003). 본 연구에서는 흡연하는 여고생의 자아존중감 수준온 흡연하지 않는 여고생온 물론 흡연하는 남학생의 자아존중감 수준 보다 낮을 수 있다는 것을 청소년 흡연에 개입하고자 하는 전문가는 감안해 야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흡연에 대한 태도와 지식, 자아개념을 탐색하여 보았다. 본 연구에서의 자아개념이란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을 의미한다.

가설 설정

  • 사회적으로 청소년의 흡연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있지만 여자 청소년인 경우 그것을 더 심하게 느낄 수 있다(USDHHS, 1989). 그리고 그런 점을 지각한 여자 청소년온 자신 혹온 타인의 흡연에 관해 남자 청소년과는 다르게 인식할 것이며, 흡연 행동과 관련하여 자신에 대한 평가에서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해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온 고등학생의 흡연에 대한 태도와 지식, 자아개념에 있어서 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여 청소년의 흡연을 예방하거나 금연을 유도하려는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흡연하는 청소년들이 자아를 보호하려고 태도의 변화를 시도하기는 하여도 흡연 행동 때문에 타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자기에 대한 가치를 낮게 평가할 것이라는 가설을 가지고 검증해 보았다. 흡연하는 청소년에게는 흡연 행위와 그에 따른 낮온 학업성취 때문에 주위로부터 좋지 못한 낙인이 찍혀있을지 모른다(USDHHS, 1989; Pierce 등, 199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김명식, 권정혜. 청소년 흡연행동에 대한 인지매개 모델의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04;23:297-312 

  2. 김한중. 흡연의 사회 경제적 비용. 한국금연운동협의회 (편), 흡연과 건강. (pp. 109-118).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0 

  3. 김현옥. 청소년의 흡연관련 사회적 환경, 흡연거절 기술 및 금연관련 자기효능감. 아동간호학회지 2003;9:237-249 

  4.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ealth Plan 2010). 보건복지부, 2002 

  5. 서경현. 여성 흡연에 대한 건강심리학적 접근. 여성건강 2003;4:1-21 

  6. 서경현. 청소년의 흡연 상황과 흡연 통기 및 섭식억제.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3:291-300 

  7. 이선혜. 여자 고등학생의 흡연에 대한 태도, 지식 및 자아개념[석사학위논문]. 서울: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1 

  8. 이영자.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 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9. 주혜경. 일부 남자고등학생들의 스트레스 생황사건과 흡연의 관계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1994 

  10. 지선하. 흡연에 의한 질병 부담. 한국금연운동협의회 (편), 흡연과 건강. (pp. 57-63).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0 

  11.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4년 전국 중고등학교 학생 흡연 실태조사 서울: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4 

  12.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5년 전국 중고등학교 학생 흡연 실태조사. 서울: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5 

  13. 한국금연운동협의회. 흡연과 건강.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0 

  14. 한종철, 오경자, 이기학. 한국인의 연령과 사회-심리적 요인에 따른 흡연 행동 분석. 흡연위생연구 1995;110-98 

  15. Aguinis H, Pierce CA, Quigley BM. Conditions under which a bogus pipeline procedure enhances the validity of self-reported cigarette smoking: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993;23:352-373 

  16. Ajzen I, Fishbein M. The prediction of behavior from attitudinal and normative variable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980;6:400-487 

  17. Baer JS, Lichtenstein E. Cognitive assessment In DM Donovan, GA Marlatt (Eds.), Assessment of Addictive Behavior (pp.189-213). NY: The Guilford Press, 1988 

  18.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 NJ: Prentice-Hall, 1986 

  19. Becker MH, Rosenstock IM. Compliance with medical advice. In A Steptoe & A mathews (Eds.), HeaIth Care and Human Behavior. London: Academic Press, 1984 

  20. Botvin EM, Botvin GJ, Renick NL, Filazzola AD, Allegrante JP. Adolescents' self-reports of tobacco, alcohol, and marijuana use: examining the comparability of video tape, cartoon and verbal bogus-pipeline procedures. Psychlogical Report 1984;55:379-386 

  21. Brannon L, Feist J. Health psychology: An introduction to behavior and health. Belmont: Wordworth, 2000 

  22. Campanelli PC, Dielman TE, Shope JT. Validity of adolescents' self-reports of alcohol use and misuse using a bogus pipeline procedure. Adolescence 1987;22:7-22 

  23. Chassin L, Presson CC, Sherman SJ, Edwards DA. The natural history of cigarette smoking and young adult social rol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92;33:328-47 

  24. Elders MJ, Perry CL, Erikson MP. The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Preventing tobacco use among young peopl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4;84:543-547 

  25. Epstein JA, Griffin KW, Botvin GJ. A model of smoking among inner-city adolescents: the role of personal competence and perceived social benefits of smoking. Preventive Medicine 2003;31:107-14 

  26. Festinger L, Carlsmith JM. Cognitive consequences of forced complianc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1959;58:203-210 

  27. Hall SM. Women and drugs. In VJ Adesso, DM Reddy, R. Fleming (Eds.),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women's health (pp.101-126). Washington, DC: Taylor & Francis, 1934 

  28. Henshke WA. Globallink Tob-News, World Press, 1999 

  29. Jerusalem M, Schwarzer R. Self-efficacy as a resource factor in stress appraisal processes. In R. Schwarzer (Eds.), Self-efficacy: Thought control of action (pp. 195-213). Washington, DC: Hemisphere 1992 

  30. Jessor R, Jessor SL. Problem behavior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New York: Academic Prses, 1971 

  31. Johnson JT, Feignbaum. R, Weisbeg M. Some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the teacher's perception of causal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64;55:237-246 

  32. Kremer SP, Mudde AN, Vries H. Subtypes within the contemplation stage of adolescent smoking acquisition. Addictive Behaviors 2001;26:236-251 

  33. Leventhal H, Cleary PD. The smoking problem: A Review of the research and theory in behavior' risk modific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980;88:370-405 

  34. Murray DM, O'Connell CM, Schmid LA, Perry CL. The validity of smoking self-reports by adolescents: a reexamination of the bogus pipeline procedure. Addicted Behavior 1987;12:7-15 

  35. Peto R. Smoking and death: The past 40 years and next 40 years. Behavior Medicine Journal 1994;319:937-939 

  36. Pierce JP, Choi WS, Gilpin EA. Validation of susceptibility as a predictor of which adolescents take up smoking in the United States. Henlth Psychology 1996;15:355-361 

  37. Rosenberg M.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8. Schoenbaum M. Do smokers understand the mortality effects of smoking? Evidence from the Health Retirement Surve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7;87:755-759 

  39.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Reducing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Rockville, MD: USDHHS, 1989 

  40.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 for women,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Rockville, MD: USDHHS, 1980 

  41. Werch CE, Gorman DR, Marty PJ, Forbess J, Brown B. Effects of the bogus-pipeline on enhancing drug use measures. Jornal of School Health 1987;57:232-236 

  42. Wrlliams T, Clarke VA. Optimistic bias in belief about smoking.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1997;49:106-112 

  43. World Health Organization. Building Blocks for Tobacco Control. Geneva: WHO Press,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