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수원수의 유기물 특성에 따른 염소처리시 THMs 및 HAAs의 생성특성
The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Ms and HAAs in Chlorination of Raw Water of Different Organic Matter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15 no.8, 2006년, pp.785 - 797  

오순미 (제주도 광역수자원관리본부) ,  김승현 (경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민규 (부경대학교 응용화학공학부) ,  허미란 (제주대학교 토목환경공학전공) ,  감상규 (제주대학교 토목환경공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rihalomethanes (THMs) and haloacetic acids (HAAs) were investigated in chlorination of raw water of different organic mallet characteristics.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hydrophobic (N-HPO) and hydrophilic fraction (N-HPI) (which were concentrated and sepa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수원수의 유기물 특성에 따른 염소처리시 THMs 및 HAAs 등의 DBPs 생성 특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검토할 목적으로 국내 상수원수로부터 분리한 소수성, 친수성 성분과 강한 소수성 산으로 잘 알려져 있는 humic acid(HA)를 대상으로 이들의 염소처리시 THMs 및 HAAs의 생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염소 접촉 시간, Br 농도, pH, 온도 등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유기물로 대부분 曲에 대해, 그리고 DBPs는 THMs 에 대해 연구가 수행되었다 2627). 본 연구에서는 다른 유기물 특성을 지닌 N-HPO, N-HPI 및 HA에 대해 Br「농도에 따른 DBPs의 생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상기 유기 물에 대해 Br 농도를 0, 0.5, 1.0 및 2.0 m叽로 각각 조제하여 염소 농도를 시료 DOC 농도의 4배를 첨가한 후 24시간 반응시켰을 때 THMFP/DOC 및 HAAFP/DOC 와 생성되는 각 화학종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환경부, 2001, 수돗물에서의 미량유해물질 분석법 연구 및 함유실태 조사, 한국과학기술원 제9차년도 최종보고서(BSG0581), 523pp 

  2. Rook, J. J., 1974, Formation of halofonn during chlorination of natural water, Water Treatment & Examination, 23(2), 234-243 

  3. Miller, J. W. and P. C. Uden, 1983, Characterization of nonvolatile aqueous chlorination products of humic substances, Environ. Sci. Technol., 17(3), 150-156 

  4. Krasner, S. W., M. J. McGuire, J. G. Jacangelo, N. L. Patania, K. M. Reagan and E. M. Aieta, 1989, The occurrence of disinfection by-products in U.S. drinking water, J. AWWA, 81, 41-53 

  5. Rook, J. J., 1976, Halofonns in drinking water, J. AWWA, 68, 168-172 

  6. Stevens, A. A, C. J. Slocum, D. R. Seeger and G. G. Robeck, 1976, Chlorination of organics in drinking water, J. AWWA, 68, 615-620 

  7. Oliver, B. G. and E. M. Thurman, 1983, Influence of Aquatic Humic Substance Properties on Trihalomethane Potential: Water Chlorination Environmental Impact and Health Effects(4), Ann Arbor Sci. Publ., Ann Arbor, Mich., USA 

  8. Reckhow, D. A, P. C. Singer and R. L. Malcolm, 1990, Chlorination of humic materials: By-product formation and chemical interpretations, Environ. Sci. Technol., 24, 1655-1664 

  9. Lee, K. J., B. H. Kim, J. E. Hong, H. S. Pyo, S. J. Park and D. W. Lee, 2001,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chlorination by-products in treated water in Korea, Water Res., 35(12), 2861-2872 

  10. 염철민, 최유식, 변석종, 조순행, 윤제용, 2002, 국내 주요 상수원수와 처리수에서 HAAs 생성 특성, 상하수도학회지, 16(2), 169-176 

  11. 임용승, 2003, 정수공정시 조류와 조류유래물질의 제거,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1pp 

  12. 손희중, 정철우, 강임석, 2004, 상수원수중의 천연 유기물질 특성과 염소 소독부산물 생성의 관계, 대한환경공학회지, 26(4), 457-466 

  13. 송영철, 1997, 제주도 지하수의 염소처리시 halomethanes의 생성특성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pp 

  14. Zhang, X. and R. A. Minear, 2002, Decomposition of trihaloacetic acids and 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rihalomethanes in drinking water, Water Res., 36(14), 3665-3673 

  15. 이상엽, 심용기, 채선하, 김충환, 조재원, 1999, 자연 유기물질과 소독부산물을 중심으로 한 기존 정수장의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추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집 (1), 277-280 

  16. Maurice, P. A., M. J. Pullin, S. E. Cabaniss and G. R. Aiken, 2002, A comparison of surlace water organic matter in raw filtered water samples, XAD, and reverse osmosis isolates, Water Res., 36(9), 2357-2371 

  17. 염철민, 변석종, 조순행, 윤제용, 2003, 국내상수원수의 유기물 특성에 따른 소독부산물 생성능, 상하수도학회지, 17(1), 72-78 

  18. 황정은, 김승현, 윤조희, 강임석, 1999, 정수공정에 의한 원수내 유기물의 특성변화, 대한환경공학회 추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집(1), pp.207-208 

  19. Pelekani, C., G. Newcombe, V. J. Snoeyink, C. Hepplewhite, S. Assemi and R. Beckett, 1999, Characterization of natural organic matter using high performance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Environ. Sci. Technol., 33(16), 2807-2813 

  20. Nissinen, T. K., I. T. Miettinen, P. J. Martikainen and P. T. Vartiainen, 2001, Molecular size distribution of natural organic matter in raw and drinking waters, Chemosphere, 45, 865-873 

  21. Leeheer, J. A, 1981, Comprehensive approach to preparative isolation and fractionation of dissolved Organic Carbon form natural water and wastewater, Environ. Sci. Technol., 15, 578-587 

  22. 환경부, 2002, 먹는물 수질기준 관련 규정집, pp.183-187, pp.192-195 

  23. Reckhow, D. A, P. Bose, B. Bezbarua, E. M. Hesse and A P. Mcknight, 1992, Transformations of natural organic material during preozonation, EPA Report, USEPA, Drinking Water Research Division, Cincinnati, Ohio 

  24. Edzwald, J. K, 1993, Coagulation in drinking water treatment: Particles, organics and coagulants, Wat. Sci. Technol., 27(1), 21-35 

  25. Huang, W. J. and H. S. Yeh, 1997, The effect of organic characteristics and bromide of disinfection by-products formation by chlorination, J. Environ. Sci. Health, 32(8), 2311-2366 

  26. Minear, R. A. and J. D. Bird, 1980, Trihalorrethanes: Impact of Bromide Ion Concentration on the Yield, Species Distribution, Rate of Formation and Influence of Other Variables, In Water Chlorination: Environmental Impact and Health Effects (3) Ann Arbor Sci. Publ., Ann Arbor, Mich., Germany 

  27. Oliver, B. G., 1980, Effect of Temperature, pH and Bromide on the Trihalomethane Reaction of Chlorine with Aquatic Humic Acid, In Water Chlorination: Environmental Impact and Health Effects(3), Ann Arbor Sci. Publ., Ann Arbor, Mich., Germany 

  28. Peters, C. J., R. J. Young and R. Perry, 1980,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haloforms in the chlorination of humic materials, Environ. Sci. Technol., 14, 1391-1395 

  29. 이강진, 홍지은, 표희수, 박송자, 유제강, 이태운, 2004, 음용 원수의 염소소독에 의한 소독부산물 생성패턴에 관한 연구 II, 분석과학, 17(1), 69-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