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고지자기학 연구
Paleomagnetic Studies in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9 no.4, 2006년, pp.385 - 402  

석동우 (한양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 충돌설이나, 단층운동과 분지 진화, 동해형성 및 진화, 고지리 복원 등 과거 40년 동안 한국 지질학에서 고 지자기학이 이룩해 온 업적은 눈부시다. 이로부터 한반도의 기원, 조산운동, 화성활동, 변성작용, 습곡단층작용 등의 기작을 판구조론적 입장에서 조명할 수 있는 단계로 국내 지질학의 수준을 비약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보고 된 국내 고지자기학 연구 결과 중에서 지체 구조 규명을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 결과를 지질 시대별로 정리하여 간략히 소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leomagnetic studies have made remarkable contributions to the understanding of many geological aspects of Korea for the last 40 years, such as the collisional processes of Korean Peninsula, the development of basins in relation with fault systems, the opening and evolution of the East Sea, and the...

주제어

참고문헌 (100)

  1. 강희철, 김인수 (2000a) 영양지역에 분포하는 전기 백악기 하양층군에 대한 고자지 연구. 지질학회지, 36권, p. 47-71 

  2. 강희철, 김인수 (2000b) 경상분지 남단 고성지역의 백악기 유천층군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1 권, p. 663-674 

  3. 강희철, 김인수, 손문 (2001) 하동-산청지역에 분포하는 고원생대 말의 회장암질암에 대한 잔류자기 연구. 지질학회지, 37권, p. 269-286 

  4. 강희철, 김인수, 손문, 정현정 (1996) 양산단층지역에 분포하는 퇴적암 및 화성암류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자원환경지질, 29권, p. 753-765 

  5. 고지은, 홍준표, 석동우, 도성재 (2005) 함평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요약집, p. 333-336 

  6. 김광호 (1985) 남한 페름기 이후의 고지자기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18p 

  7. 김광호, 김두수 (1991) 대구-경주 일대에 분포된 채약산층 건천리층 및 주사산층의 지자기층서. 지질학회지, 27권, p. 40-51 

  8. 김광호, 남기상, 이정후 (1990) 한국 쥬라기의 고지자기, 지질학회지, 26권, p. 513-526 

  9. 김광호, 노병섭 (1993) 옥천대에 분포된 백악기 임석의 고지자기 연구: 능주충군 퇴적암의 고지자기, 한국지구과학회지, 14권, p. 44-57 

  10. 김광호, 도성재 (1994) 양남분지에 분포하는 제 3기 지층의 고지자기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 15권, p. 36-45 

  11. 김광호, 도성재, 임동성 (1994) 장기반도에 분포하는 제 3기 지층의 고지자기, 한국지구과학회, 15권, p. 278-285 

  12. 김광호, 도성재, 황창수, 임동성 (1993) 포항분지에 분포하는 연일층군의 고지자기 연구, 광산지질, 26권, p. 507-518 

  13. 김광호, 민경덕 (1981) 무정위자력계에 의한 암석의 잔류 자화측정법-특히 연세대 지질학과에 설치된 무정위자력계의 제작을 중심으로, 광산지질, 14권, p. 155-165 

  14. 김광호, 송무영 (1995) 한반도 중서부 지각구조와 물성연구 전곡-연천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의 고지자기, 한국지구과학회지, 16권, p. 65-73 

  15. 김광호, 송무영, 정지곤, 김원사, 이동우 (1997) 한반도 중서부 지각구조와 물성 연구(III) 추가령열곡 남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의 고지자기, 한국지구과학회 지, 18권, p. 332-328 

  16. 김광호, 정재일 (1994) 하동-산청지역에 분포된 회장암질암 및 심성암의 고지자기 연구, 지질학회지, 30권, p. 81-92 

  17. 김규한, 김옥준, 민경덕 , 이윤수 (1984) 추가령 지구대의 지질구조, 고지자기 및 암석학적 연구, 광산지질, 17권, p. 215-230 

  18. 김복철, 황재하, 이윤수, 이규호, 남욱현 (2004) 한탄강 인근 제 4기 고토양층에 대한 토양화학 및 고지자기학적 연구, 자원환경지질, 37권, p. 325-334 

  19. 검봉균 (1964) 연천 및 포항지역의 현무암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지질학회지, 1권, p. 50-56 

  20. 김상진, 도성재, 박용희, 김원년 (2005) 통리분지에 분포하는 퇴적암류에 대한 고지자기 및 암석자기 연구: 예비결과,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요약집 , p. 329-332 

  21. 김성욱, 김인수 (1998) 충남지역 대동누층군에 대한 고자기 연구, 지질학회지, 34권, p. 1-19 

  22. 김완수, 석동우, 도성재, 한현철 (2003) 울릉분지와 한반도 동남 해역에서 채취한 퇴적물 시료에 대한 자기특성연구 한국해양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요약집 p. 195-196 

  23. 김원년, 도성재, 박용희, 석동우 (2002) 공주분지에 분포하는 퇴적암류 및 화산암류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지질학회지 38권 p. 491-507 

  24. 김인수 (1988) 부산지역 백악기 다대포층에 대한 고자기학적 연구: 그의 층서적 지구조적 의의 지질학회지 24권 p. 211-233 

  25. 김인수 (1989) 영윌-마차리 정선일대 캄브리아-페름기 퇴적암에 대한 고자기 연구, 지질학회지, 25권 p. 413-428 

  26. 김인수, 강희철 (1989) 어일분지일대에 분포히는 제 3기층에 대한 고자기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25권, p. 273-293 

  27. 김인수, 강희철 (1996) 남한 제 3게 분지지역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1. 장기지역, 지원환경지질, 29권, p. 357-367 

  28. 김인수, 강희철, 이현구 (1993a) 경상분지 남서부 진교-사천 지역 전기백악기 퇴적암에 대한 고자기 연구, 광산 지질, 26권 p. 519-539 

  29. 김인수, 김성욱, 최은경 (2001) 옥천대에 대한 고자기 연구: 예미지역 고생대 지층의 잔류자기, 자원환경지질, 34권 p. 355-373 

  30. 김인수, 김정필, 민경덕 (1995) 문경지역 대동누층군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I) : 특성잔류자기의 추출. 지질학회지 31권 p. 362-381 

  31. 김인수, 민경덕, 이미영, 강희철, 전희영 (1993b) 김포지역 대동누층군에 대한 고자기 연구 자원환경지질 26권 p. 193-206 

  32. 김인수, 손문, 정현정, 이준동, 김정진, 백인성 (1997) 경주-울산일원에 대한 지역지질 특성연구: 울산단층주변 화강암류의 잔류자기와 대자율 지원환경지질 31권 p. 31-43 

  33. 김인수, 이동호 (2000) 제주도 서귀포층과 서귀포조면암층 노두의 자기층서와 대자율, 지질학회지, 36권 p. 163-180 

  34. 김인수, 이현구, 윤혜수, 강희철 (1993c) 의성지역 백악기 암석에 대한 고자가 연구, 광산지질 26권 p. 403-420 

  35. 김인수, 임아연 (1993) 태백지역의 캄브리아-트라이아스기 퇴적암에 대한 고자기 연구, 지질학회지 29권 p. 415-436 

  36. 김태성, 민경덕, 이윤수, 이영훈, 이동영 (1998) 진주 및 고령 지역에 분포하는 신라역암층의 잔류자화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자원환경지질, 31권 p. 325-338 

  37. 도성재 (1993) 백운산 향사대에 분포하는 동고층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광산지질, 26권 p. 383-393 

  38. 도성재, 김광호 (1994) 의성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지층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자원환경지질, 27권 p. 263-279 

  39. 도성재, 박용희, 김지연 (1998) 단양지역에 분포하는 동고층에 대한 고지자기연구, 자원환경지질, 31권 p. 45-52 

  40. 도성재, 석동우, 김범철 (1999) 영양소분지에 분포히는 경상누층군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자원환경지질학회지 32권 p. 189-201 

  41. 도성재, 조윤영, 석동우 (1996) 영동분지에 분포히는 백악기 퇴적암류의 재자화, 지원환경지질학회지, 29권 p. 193-206 

  42. 도성재, 황창수, 김광호 (1994) 밀양소분지에 분포하는 경상누층군 퇴적암류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지질학회지, 30권 p. 211-228 

  43. 민경덕, 이윤수, 황석연 (1993) 옥천대 동북부에 분포하는 하부 고생대층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광산지질, 26권 p. 193-206 

  44. 민경덕, 원중선, 황석연 (1986) 제주도에 분포하는 회산암류 및 퇴적암류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광산지질, 19권, p. 153-163 

  45. 민경덕, 이윤수, 김원균 (1990) 문경지역에 분포하는 대동누층군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I)., 광산지질, 23권 p. 81-87 

  46. 민경덕, 이윤수, Shibuya, H., Sasajima S., Nishimura S., 기정석, 김문환 (1989) 김포지역에 분포하는 김포층군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제 22차 정기학술발표회 요약, 광산지질, 22권, p. 186-187 

  47. 민경덕, 엄정기, 김동욱, 최용훈, 이윤수 (1992) 충남탄전 에 분포하는 대동층군에 대한 고지자기학적 연구, 광산지질, 25권 p. 87-96 

  48. 민경덕, 김원균, 이대하, 이윤수, 김인수, 이영훈 (1994) 포항일원에 분포하는 제3기 암류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자원환경지질, 27권 p. 49-63 

  49. 박용희, 도성재 (2004) 풍암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퇴적암류에 대한 고지자기 및 암석자기 연구, 자원환경지질, 37권 p. 195-206 

  50. 박용희, 도성재 (2006) 강원도 평창지역에 분포히는 평안 누충군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지질학회지, 42권 p. 115-126 

  51. 박용희, 도성재, 석동우 (2003) 정선지역에 분포하는 평안 누충군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재자화의 지질학적 의미, 지질학회지, 39권 p. 235-247 

  52. 박용희, 도성재, 양동윤, 남욱현 (2005) 천리포 습지퇴적물을 이용한 제 4기 고환경 연구:고지자기학을 중심으로,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요약집 , p. 165-169 

  53. 석동우 (1982) 전곡 및 한탄강유역에 분포하는 현무암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56p 

  54. 석동우, 도성재 (1994) 의성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 암류에 대한 대자율 이방성연구, 자원환경지질, 27권 p. 411-420 

  55. 석동우, 도성재 (1996) 의성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지층에 대한 특성잔류자화방향의 재고찰, 지질학회지, 32권 p. 47-64 

  56. 석동우, 도성재, 김완수 (2004) 경기육괴에 분포하는 원생대 및 중생대 암석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자원환경지질, 37권 p. 413-424 

  57. 손문, 강희철, 김인수 (1996) 남한 제 3기 분지지역에 대한 고자기 연구: 3. 정자-울산분지와 그 일원, 자원환경지질, 29권 p. 509-522 

  58. 손문, 김인수 (1996) 남한 제 3기 분지지역에 대한 고자기 연구: 2. 포항분지 중부의 현무암질암, 자원환경지질, 29권 p. 369-380 

  59. 송무영, 김광호 (1995) 한반도 중서부 지각구조와 물성연구(2): 천수만 일대에 분포하는 천수만층의 고지자기, 한국지구과학회지, 17권 p. 75-80 

  60. 심택모 (2006) 한반도 동해안 영일만 일대 해안단구 퇴적층의 고지자기 특성 연구,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115p 

  61. 오진용 (1981) 한국 동남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암석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2. 이대성, 유기주, 김광호 (1983) 추가령열곡의 지구조적 해석, 지질학회지 1권 p. 19-38 

  63. 이윤수, 민경덕 (1995) 옥천대의 중생대 이래의 지구조적 운동에 관한 고지자기 연구, 자원환경지질, 28권 p. 493-501 

  64. 이윤수, 민경덕, 황재하 (2001) 고지자기학적 관점에서 본 추가령단층곡의 생성과 진화, 지원환경지질, 34권 p. 555-571 

  65. 임무택, 이윤수, 강희철, 김주용, 박인화 (2001) 해남지역의 백악기 암석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자원환경지질, 34권 p. 119-131 

  66. 전영수, 민경덕, 이윤수, 이영훈, 이동영 (1998) 경북 고령 지역에 분포하는 경상누층군의 관입암류에 의한 재자화작용에 관한 고지자기 연구, 자원환경지질, 31권 p 311-324 

  67. 홍준표, 석동우, 도성재 (2004) 함평분지에 분포히는 백악기암석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요약집, p. 327-331 

  68. Baag, C.G. (1963) A general review of paleomagnetism, unpublished paper 

  69. Cluzel, D. and Cadet, J. (1992) Geodynamic evolution of Korea: A view, The Island Arc, v. 1, p. 64-70 

  70. Doh, S.-J. and Piper, J.D.A. (1994) Paleomagnetism of the (Upper Paleozoic-Lower Mesozoic) Pyongan Super Group, Korea: a Phanerozoic link with the North China Block. Geophys. J. Int., v. 117, p. 850-863 

  71. Doh, S.J., Suk, D., Kim, B.Y. (1999) Paleomagnetic and rock-magnetic studies of Cretaceous rocks in the Eumseong Basin, Korea. Earth Planets Space, v. 51, p. 337-349 

  72. Doh, S-J, D.W. Suk, and Y-H. Park (1997) Remagnetization of the Pyeongan Supergroup in the Yeongwol area, Korea,J. Geomag. Geoelect., v. 49, p. 1217-1232 

  73. Doh, S-J., W. Kim, D.W. Suk, Y-H. Park and D. Cheong (2002) Paleomagnetic and rock-magnetic studies of Cretaceous rocks in the Gongju Basin, Korea: Implication of clockwise rotation, Geophys.J. Int., v. 150, p. 737-752 

  74. Enkin, R.J., Yang, Z., Chen, Y. and Courtillot, V. (1992) Paleomagnetic constraints on the geodynamic history of the major blocks of China from to the present, J. Geophys. Res., v. 97, p. 13,953-13,989 

  75. Gurarii, G., Kropotkin, P.N., Pevzner, M.A, Ro Su Von, and Trubikhin, V.N. (1966) Laboratory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North korean sedimentary rocks for paleomagnetic studies, Izv. Earth Phys., v. 11, p. 128136 

  76. Ito, H. and Tokieda, K. (1980) An interpretation of paleomagnetic result from Cretaceous granites in South Korea. J. Geomag. Geoelectr., v. 32, p. 275-284 

  77. Kienzel, J. and Scharon, L. (1966) Paleomagnetic comparison of Cretaceous rocks from South Korea and Late Paleozoic and Mesozoic rocks of Japan, J. Geomag. & Geoelect., v. 18, p. 413-416 

  78. Kim, K.H. and Van der Voo, R. (1990) Jurassic and Triassic paleomagnetism of South Korea, Tectonics, v. 9, p. 699-717 

  79. Kim, K.H., J.D. Lee and M.O. Choi (1992) CarboniferousTriassic Paleomagnetism of South Korea, J. Geomag. Geoelectr., v. 44, p. 959-978 

  80. Kim, K.H., J.K. Won and Matsuda J., Nagao, K. and Lee, M.W. (1986) Paleomagnetism and K-Ar Age of Volcanic Rocks from Guryongpo Area,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I., v. 19, p. 231-237 

  81. Kim, K.H. and Jeong, B.I. (1986) A study on the paleomagnetism of southern Korea since Permian. J. Korean Inst. Mining GeoI. v. 19, p. 67-83 

  82. Lee, G.D., Besse, J., CourtilIot, V. and Montigny, R. (1987) Eastern Asia in the Cretaceous: New paleomagnetic data from South Korea and a new look at Chinese and Japanese data. J. Geophys. Res. v. 92, p. 3580-3596 

  83. Lee, Y.S., Ishikawa, N. and Kim, W.K. (1999a) Palaeomagnetism of Tertiary rocks on the Korean Peninsula: tectonic implications for the opening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Tectonophysics, v. 304, p. 131-149 

  84. Lee, Y.S., Nishimura, S. and K.D. Min (1996) Highunblocking- temperature haematite magnetizations of Late Palaeozoic red beds from the Okcheon zon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Geophys. J. Int., v. 125, p. 266-284 

  85. Lee, Y.S., Nishimura, S., Min, K.D. (1997) Paleomagnetotectonics of east Asia in the Proto-Tethys ocean. Tectonophysics, v. 270, p. 157-166 

  86. Lee, Y.S., Nishimura, S. and Min, K.D. (1999b) The Phanerozoic Apparant Polar Wander path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in: Gondwana Dispersion and Asian accretion, edited by I. Metcalfe, A.A. Balkema pub., Roterdam, p. 197-210 

  87. McElhinny, M.W., Embleton, B.J.J., Ma, X.H. and Zhang, Z.K. (1981) Fragmentation of Asia in the Permian, Nature, 293, 212-216 

  88. Otofuji, Y., Katsuargi, K., Inokuchi, H., Yaskawa, K., Kim, K.H., Lee, D.S. and Lee, H.Y. (1989) Remagnetization of Cambrian to Triassic sedimentary rocks of the Paegunsan Syncline of the Okchon Zone, South Korea, J. Geomag. Geoelectr., v. 41, p. 119-135 

  89. Otofuji, Y., Kim, K.H., Inokuchi, H., Morinaga, H., Murata, F., Katao, H. and Yaskawa, K. (1986) A palaeomagnetic reconnaissance of Permian to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in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J. Geomag. Geoelectr., v. 38, p. 387-402 

  90. Otofuji, Y., Oh, J.Y., Hirajima, T., Min, K.D. and Sasajima, S. (1983) Paleomagnetic and K-Ar age determination of Cretaceous rocks from Korean Peninsula-Gyeongsang Supergroup in South Korea. In: Hayes, D.E. (Ed.), Tectonic and Geologic Evolution of Southeast Asian Seas and Island n. Am Geophys. Union, Geophys. Monogr. v. 27, p. 388-396 

  91. Park, Y.H., Doh, S.J. and Suk, D. (2003) Chemical remagnetization of the Upper Carboniferous-Lower Triassic Pyeongan Supergroup in the ]eongseon area, Korea: fluid migration through the Okcheon Fold Belt, Geophys. J. Int., v. 154, p. 89-103 

  92. Park, Y.H., Doh, S.J., Ryu, I.C. and Suk, D. (2005) A synthesis of Cretaceous palaeomagnetic data from South Korea: tectonic implications in East Asia, Geophys. J. Int., v. 162, p. 709-724 

  93. Shibuya H., Min, K.D., Lee, Y.S., Sasajima, S. and Nishimura, S. (1985) Some paleomagnetic measurements in Korean peninsula. in Physical Geology of Central and Southern part of Korea. edited by S. Nishimura and K.D. Min, Kyoto Univ., p. 41-83 

  94. Shibuya H., Min, K.D., Lee, Y.S., Sasajima, S. and Nishimura, S. (1988) Paleomagnetism of Cambrian to Jurassic Sedimentatary rocks from the Ogcheon Zon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J. Geomag. Geoelectr., v. 40, p. 1469-1480 

  95. Uno, K. and Chang, K.H. (2000) Paleomagnetic results from the lower Mesozoic Daedong Super-group in the Gyeonggi Block, Korean Peninsula: an eastern extension of the South China Block. Earth Planet Sci. Lett. v. 182, p. 49-59 

  96. Uno, K., Chang, T.W. and Furukawa, K. (2004) Tectonic elements with South China affinity in the Korean Peninsula: new Early Jurassic paleomagnetic data, Geophys. J. Int., v. 158, p. 446-456 

  97. Van der Voo, R. (1990) The reliability of paleomagnetic data. Tectonophysics 184, 1-9 

  98. Van der Voo, R. (1993) Paleomagnetism of the Atlantic, Tethys and Iapetus Oceans, Cambridge Univ. Press, 411p 

  99. Won, J.K., Matsuda, J., Nagao, K., Kim, K.H. and Lee, M.W. (1986) Paleomagnetism and Radiometric Age of Trachytes in Jeju Island, Korea, J. Korean Inst. Mining Geol., v. 19, p. 25-33 

  100. Yaskawa, K. (1975) Palaeolatitude and Relative Position of South-West Japan and Korea in the Cretaceous, Geophys. J. R. astr. Soc., v. 43, p. 835-8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