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노 자철광의 표면전하에 따른 Poly(acrylic acid) 수화젤의 물성
Properties of Poly(acrylic acid) Hydrogel by the Surface Charge of Magnetite Nanoparticle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0 no.5, 2006년, pp.412 - 416  

서동필 (순천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강휘원 (에이스인더스트리(주)) ,  정창남 (순천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FeCl_3$$Na_2SO_3,\;NH_4OH$에 의해 제조된 나노 자철광은 강자성체로 화학 흡착에 의해 형성된 표면의 수산기에 의해 표면전하가 변하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런 나노 자철광을 함유한 poly(acrylic acid) (PAAc) 수화젤의 물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나노 자철광의 특성은 XRD, AFM, FTIR로 측정하였다. 나노 자철광 표면의 제타전위는 pH 변화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으며, pH 4 이하에서는 높은(+)전위를 나타내었으며, 등전점은 pH 7에서 확인되었다. pH 4 이하에서 나노 자철광 콜로이드를 PAAc 수화젤에 함유시키면, 강력한 수소결합이 형성되어 젤의 인장강도는 증가하고, 신율 및 팽윤비는 감소하여 기계적인 물성이 증가하였다. 나노 자철광의 함량에 비례하여 나노 자철광을 함유한 PAAc 수화젤의 자기이력은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uperparamagnetic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coprecipitation of $FeCl_3$ and $Na_2SO_3$ with $NH_4OH$ and the surface charge on hydroxyl group by chemisorption was changed depending on pH. We studied correlation between surface charge of magnetite and pH. U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조된 나노 자철광의 pH 변화에 의한 표면 전하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나노 자철광의 함량에 따른 poly (acrylic acid) (PAAc) 수화젤의 물성변화와 나노 자철광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센서나구동체의 활용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팽윤 측정에서는 용매의 pH가 변하면서 나노 자철광의 표면 전하 값이 변하게 되어 pH가 증가할수록 수소결합이 감소하여 팽윤비가 증가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나노 자철광이 함유된 수화젤의 자기이력을 측정함으로써 센서나 구동체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제조된 나노 자철광의 pH 변화에 의한 표면 전하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나노 자철광의 함량에 따른 poly (acrylic acid) (PAAc) 수화젤의 물성변화와 나노 자철광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센서나구동체의 활용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나노 자철광을 제조하고, pH 변화에 따른 나노 자 철광의 표면 전하의 변화를 연구하였으며, 음이온성 수화젤인 PAAc 수화젤에 나노 자철광을 첨가했을 때의 인장강도 신율 및 팽윤비 를 평가하였다. 또한 나노 자철광이 함유된 수화젤의 자기이력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 Doi, M. Matsumoto, and Y. Hirose, Macromolecules, 25, 5504 (1992) 

  2. S. Y. Kim, S. M. Cho, Y, M, Lee, and S. J. Kim, J. Appl. Polym. Sci., 78, 1381 (2000) 

  3. X. Z. Shu, K J. Zhu, and W. Song, Int. J. Pharm., 212, 19 (2001) 

  4. A. Richter, A. Bund, M. Keller, and K.-F. Arndt, Sensor. Actuat. B-Chem., 99, 5799 (2004) 

  5. H. C. Chiu, Y. F. Lin, and Y. H. Hsu, Biomaterials, 23, 1103 (2002) 

  6. M. Dio, M. Matssumoto, and Y. Hirose, Macromolecules, 25, 5504 (1992) 

  7. T. Shiga, 'Advances in Polymer Science', in Deformation and Viscoelastic Behavior of Polymer Gels in Electric Fields, Springer-Verlag GmbH, Vol. 134, 131 (1997) 

  8. M. Kohl, D. Brugger, M. Ohtsuka, and T. Takagi, Sensor. Actuat. A-Phys., 114, 445 (2004) 

  9. P. Farber and H. Kronmuller, J. Magn. Magn. Mater., 214, 159 (2000) 

  10. Y. Bar-Cohen, Electroactive Polymer [EAP] Actuators as Artificial Muscles, SPIE, Washington, 2001 

  11. S. M. Aharoni,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Theory of Polymeric Network and Gels, Plenum US, New York, 1992 

  12. K. Makino, Y. Fujita, K. Takao, S. Kobayashi, and H. Ohshima, Colloid Surface B, 21, 259 (2001) 

  13. S. J. Kim, H. I. Kim, S. J. Park, and S. I. Kim, Sensor. Actuat. A-Phys., 115, 146 (2004) 

  14. L. M. Schwarte and N. A. Peppas, Polymer, 39, 6057 (1998) 

  15. Y. Yang and Jan B. F. N. Engberts, Physicochemical and Engineering Aspects, 169, 85 (2000) 

  16. I. J. Kim, H. W. Kang, and C. N Jeong, Polymer(Korea), 27, 195 (2003) 

  17. M. Zrinyi, L. Barsi, and A.Buki, Polym, Gels Netw., 5, 415 (1997) 

  18. M. Zrinyi, D. Szabo, and H. G. Kilian, Polym. Gels Netw., 6, 441 (1998) 

  19. D. Szabo, G. Szeghy, and M. Zrinyi, Marcromolecules, 31, 6541 (1998) 

  20. P. A. Dresco, V. S. Zaitsev, R. J. Gambino, and B. Chu, Langmuir, 15, 1945 (1999) 

  21. R. Hiergeist, W. Andra, N. Buske, R. Hergt, I. Hilger, U. Richter, and W. Kaiser, J. Magn. Magn. Mater., 201, 420 (1999) 

  22. F.Y. Cheng, C. H. Su, Y. S. Yang, C. C.Yeh, C. Y. Tsai, C. L. Wu, M. T. Wu, and D. B. Shieh, Biometeriels, 26, 729 (2005) 

  23. J. M. Gallo and E. Eldin Hassan, Pharmaceut. Res., 5. 300 (1998) 

  24. B. F. Pan, F. Gao, and H. C. Gu, J. Colloid Interf. Sci., 284, 1 (2005) 

  25. S. Qu, H. Yang, D. Ren, S. Kan, G. Zou, D. Li, and M. Li, J. Colloid Interf. Sci., 215, 190 (1999) 

  26. F. J. Micale and K., Zettlemoyer, J. Colloid Interf. Sci., 105, 570 (1985) 

  27. J. P. Jolivet, Metal OXIde Chemistry and Synthesis. John Wiley & Sons, New York,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