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혼성 폴리스티렌 나노입자의 합성 및 특성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ose-Hybrid Polystyrene Nanoparticles by Using Reactive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Phthalate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0 no.5, 2006년, pp.437 - 444  

정인우 (경북대학교 응용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phthalate (HPMCP)에 isophorone diisocyanate (IPDI)와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를 순차적으로 반응하여 우레탄 그룹을 형성하고 HPMCP에 비닐 그룹을 도입하여 반응형(reactive) HPMCP를 합성하였다. 제조된 반응형의 HPMCP와 반응전의 순수한 HPMCP의 분자량, 산가, 임계 미셀 농도(CMC) 등을 측정하였으며, 스티렌의 유화 중합고분자 유화제로서 도입하였다. HPMCP의 함량을 단량체인 스티렌 대비로 6, 9, 12, 18, 24 wt%로 도입하여 HPMCP 혼성 폴리스티렌 나노입자를 제조하고, 최대 중합 속도($R_{p,max}$), 입자당 평균라디칼 개수(n), 입자 크기 분포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제조된 HPMCP 혼성 폴리스티렌 나노입자의 모폴로지를 TEM으로 분석하여 core-shell 구조임을 확인하였으며, TGA를 이용하여 열적안정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반응형 HPMCP는 순수 HPMCP와는 달리 HEMA의 비닐 그룹으로 인해 높은 중합속도와 작은 입자 크기, 높은 표 값을 나타내었으며, 높은 젤 함량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active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phthalate (reactive HPMCP) was synthesized by using a stepwise urethane reaction with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and 2-hydroxyethyl moth acrylate (HEMA). Molecular weight, acid number, and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of the synthesized reactive HP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실험에 사 용된 HPMCP에 대한 화학적 구조를 Figure 1에 나타내었다.24 본 연구에서는 디이 소시아네이 트의 하나인 isophorone diisocyan—ate(IPDI) 와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 사용하 여 순차적인 우레탄 반응을 통해 HPMCP에 이중 결합을 도입하였 다. IPDI는 각각 primary, secondary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갖고 있으며, 이의 반응성이 70배 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에 순차적인 우 레탄 그룹의 형성이 가능하다25-26
  • 이에 관한 자세한 합성 방법을 Table 2에 나타내었다. HPMCP (또는 반응형 HPMCP) 의 양은 스티렌 단량체의 질량 대비로 6, 9, 12, 18, 24 wt%까지 변화시키면서 실험하였다.
  • 반응형 HPMCP의 확인 : HPMCP 및 반응형 HPMCP의 화학적구조는 FTIR(Tensor 27, Bruker사)과 'H-NMRCAMX-SOO, Bruker사, DMSO-dQ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HPMCP 및 반 응형 HPMCP의 임 계 미 셀 농도는 표면장력 계 (Surface Ten- siomat 21, Fisher Sci사)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분석하였다. 분자 량의 경우 젤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 Waters Breeze System) 를 이용하였으며, 표준 시료로 단분산성의 폴리스티렌 시료(Shodex 사)를 이용하였다.
  • HPMCP에 IPDI와 HEMA를 차례로 도입하여 비닐 그룹을 가진 반응형 HPMCP를 합성하였으며, 순수 HPMCP와 함께 스티렌 중합에 유화제로서 사용하였다 순수 HPMCP에 비해 반응형 HPMCP 는 분자 내에 도입된 비닐 그룹으로 인해 수상에서 형성된 HPMCP 의 미셀 또는 aggregate로 유입된 스티렌 올리고머 라디칼과 화학적 결합을 이루어 더 높은 최대 중합 속도(Rp.max)와 더 큰 입자당 평균 라디칼 개수 값 (#)을 갖게 된다. 또한 미셀의 활성화에 더 큰 기여를 하여 고분자 입자의 생성에 도움을 줌을 입자 크기 분포 결과로 알 수 있었다.
  • Figure 2에 순수한 HPMCP 와 반응형 HPMCP를 이용한 스티렌 단량체의 유화 중합 속도를 나타내었다. HPMCP의 함량은 각각 순수한 HPMCP와 반응형 HPMCP의 분자량을 고려하여 물에 대한 몰 농도로 표시하였으며 , 중합 속도(Rmax) 는 중합 전화율 0.3 ~0.4 부 근의 최대 중합 속도를 기준으로 나타내었다. Figure 2에서 실선 및 점선으로 나타낸 두 화살표는 순수 HPMCP와 반응형 HPMCP의 CMC를 각각 나타내었다.
  • 이러한 결과는 순수한 HPMCP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활성화된 HPMCP의 aggregate의 농도가 증가하여, 그 크기가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 이유는 이온성의 고분자형 유화제의 경우 수상에서 고분자 전해질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수상에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수상에 형성된 미셀 또는 aggregate의 전기적 반발력을 감소시켜 수력학적 반경 (hydrodynamic radius)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이러한 22~20 nm 크기의 aggregate는 스티렌이 중합된 입자가 아님을 TEM 분석에서 확인하였다.
  • 수소 탈착에 대해서는 일반적 현상으로 다수의 고분자형 유화제의 대표적인 화학적 결 합 메커니즘의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분 해성 셀룰로오스계 고분자의 하나인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hthalate (HPMCP) 를 사용하여 스티렌의 유화 중합에 사용하였다. HPMCP는 많은 히드록시 (hydroxyl) 그룹을 갖고 있 어 다양한 화학적인 개질이 가능하며, 프탈릭산(phthalic acid) 그 룹을 갖고 있어 염기 분위기의 수상에서 녹아.
  • 4 wt%의 phosphotungstic acid 수용액을 2~3방울 넣은 후, 이를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200 mesh의 cupper grid 위에서 건조하였다. 또한 샘플 이미지의 contrast를 증가시키기 위해 후드 안에서 건조된 grid를 미리 제조된 0.1 wt% 의 RuO4 수용액 위에 올려놓고 증기 염색법을 통해 염색하였다.
  • 중합 속도는 전화율 데이터로부터 직접 계산하였으며, 입자 내 평균 라디칼 개수의 분석은 다음의 식(1)과 식 ⑵를 사용하여 구하였다. 또한 입자 1개당 중 합속도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B
  • 순수 HPMCP 및 반응형 HPMCP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혼성 폴리스 티렌 나노입자의 합성 : 셀룰로오스 혼성 폴리스티렌 나노입자의 합 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응축기, 교반기, 개시제 funnel 등이 달린 500 mL의 이중 자켓 반응기에 중화도 100%로 초순수에 완전히 녹인 HPMCP (또는 반응형 HPMCP) 수용액을 투입한다. 스티렌을 반응기에 넣고 30분간 질소 퍼지한 후, 반응 온도(50℃) 가 되면 미리 준비한 KPS 수용액(10 mL)을 개시제 funnel을 통 해 투입하여 반응을 진행한다.
  • 반응형 HPMCP의 생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1H-NMR 분석을 하였으며, 다음에 반응형 HPMCP에 대한 HEMA 및 IPDI 부분에 대한 1H-NMR 결과를 나타내었다.
  • 반응형 HPMCP의 확인. 반응형 HPMCP의 합성시 반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FTIR 분석을 실시하였다. FTIR 분석 결과, IPDI 투입 후 2274 cm-1의 NCO 피크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여 5시간 이후부터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 반응형 HPMCP의 확인 : HPMCP 및 반응형 HPMCP의 화학적구조는 FTIR(Tensor 27, Bruker사)과 'H-NMRCAMX-SOO, Bruker사, DMSO-dQ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HPMCP 및 반 응형 HPMCP의 임 계 미 셀 농도는 표면장력 계 (Surface Ten- siomat 21, Fisher Sci사)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분석하였다.
  • 셀룰로오스 흔성 폴리스티렌 나노입자의 구조 분석 : 셀룰로오스 혼성 폴리스티렌 나노입자의 모폴로지 분석을 위해 투과전자현미경(TEM, H-7600, Hitachi사)을 사용하였다 먼저 샘플을 무한 희석한 후 후드 안에서 0.4 wt%의 phosphotungstic acid 수용액을 2~3방울 넣은 후, 이를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200 mesh의 cupper grid 위에서 건조하였다. 또한 샘플 이미지의 contrast를 증가시키기 위해 후드 안에서 건조된 grid를 미리 제조된 0.
  • HPMCP 혼성 폴리스티렌의 열적 안정성 분석. 앞에서 제조된 HPMCP 혼성 폴리스티렌 라텍스를 60 ℃ 의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TGA를 이용하여 열적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Figure 8에는 순수 HPMCP의 함량을 6, 12, 24 wt%로 사용하여 제조된 HPMCP 혼성 폴리스티렌의 열적 안정성 결과를 나타내었다.
  • FTIR 분석 결과, IPDI 투입 후 2274 cm-1의 NCO 피크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여 5시간 이후부터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반응 시간을 5시간으로 결정하고 HEMA를 투입하였다. HEMA 투입 후 2274 cm-1의 NCO 피크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여 24시간 이후부터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 중합 속도 및 입자 내 평균 라디칼 개수 분석 : 순수 HPMCP 및 반응형 HPMCP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셀룰로오스 혼성 폴리스티렌 나노입자의 중합 속도는 중량법 (gravimetric method) 을 이용하였 으며, 100 ppm의 히드로퀴논(hydroquinone) 메탄올 용액을 중합 금지제로 사용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중합 속도는 전화율 데이터로부터 직접 계산하였으며, 입자 내 평균 라디칼 개수의 분석은 다음의 식(1)과 식 ⑵를 사용하여 구하였다.

대상 데이터

  • 반응형 HPMCP 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시약으로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Aldrich사) 와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Junsei사) , dibutyltin dilaurate (DBTDL, Lancaster사) 를 사용하였으며, HPMCP를 용액 상태에서 반응하기 위해 Mmethyl-2- pyrrolidone (NMP, anhydrous, Aldrich사) 을 용매로 사용하였다. HPMCP를 수상에 녹이기 위해 중화제로 암모니아 수용액(NH^OH, 28% aqueous solution, 덕산)을 사용하였다. 유화 중합을 위해서 스티렌(Kanto사)을 사용하였으며, 반응 전 중합 금지제를 제거하기 위해 중합 금지제 제거 컬럼(Aldrich사)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 유화 중합을 위해서 스티렌(Kanto사)을 사용하였으며, 반응 전 중합 금지제를 제거하기 위해 중합 금지제 제거 컬럼(Aldrich사)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개시제로는 potassium persulfate (KPS, 덕산)를 사용하였으며, 사용 전 초순수로 세척 후 메탄올로 침전시킨 다음, 진공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 HPMCP는 삼성정밀화학에서 기증 받았으며, 사용 전진 공 오븐에서 건조 후 데시케이터에서 보관하였다. 반응형 HPMCP 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시약으로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Aldrich사) 와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Junsei사) , dibutyltin dilaurate (DBTDL, Lancaster사) 를 사용하였으며, HPMCP를 용액 상태에서 반응하기 위해 Mmethyl-2- pyrrolidone (NMP, anhydrous, Aldrich사) 을 용매로 사용하였다. HPMCP를 수상에 녹이기 위해 중화제로 암모니아 수용액(NH^OH, 28% aqueous solution, 덕산)을 사용하였다.
  • HPMCP 및 반 응형 HPMCP의 임 계 미 셀 농도는 표면장력 계 (Surface Ten- siomat 21, Fisher Sci사)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분석하였다. 분자 량의 경우 젤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 Waters Breeze System) 를 이용하였으며, 표준 시료로 단분산성의 폴리스티렌 시료(Shodex 사)를 이용하였다.
  • HPMCP를 수상에 녹이기 위해 중화제로 암모니아 수용액(NH^OH, 28% aqueous solution, 덕산)을 사용하였다. 유화 중합을 위해서 스티렌(Kanto사)을 사용하였으며, 반응 전 중합 금지제를 제거하기 위해 중합 금지제 제거 컬럼(Aldrich사)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개시제로는 potassium persulfate (KPS, 덕산)를 사용하였으며, 사용 전 초순수로 세척 후 메탄올로 침전시킨 다음, 진공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젤 함량의 측정 : HPMCP 또는 반응형 HPMCP의 경우 스티렌과 중합되면서, 가지형 또는 가교형 분자가 형성된다. 따라서 soxhlet extraction법을 통해 중합 중 생성되는 젤 함량을 중량법으로 측정 하였다.27
  • 001 g의 DBDTL를 첨가하여 80 ℃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 시간의 결정과 생성물의 확인은 FTIR 분석법을 이용하여, 2274 cnf4에서의 피크의 크기 변화를 2920 cm-1의 피크를 기준으로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반응 종결 후 생성물은 상온에서 초순수로 세척, 침전시켜서 잔류하는 NMP와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 셀룰로오스 혼성 폴리스티렌 필름의 열적 안정성 분석 : 제조된 셀룰로오스 혼성 폴리스티렌 필름의 열적 안정성 분석을 위해 열중량법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Q50, TA사) 을 시행하 였다. 상온에서부터 600 ℃까지 분석하였으며, 역시 분당 30 mL 의 속도로 질소 퍼지하여 측정하였다.
  • 또한 자유로운 단량체 라디칼의 탈착은 수상에서 새로운 올리고머를 형성하고 비활성화된 또 다른 미셀이나 aggregate로 유입되어 새로운 입자를 형성할 확률이 높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HPMCP의 농도에 따른 입자의 크기 분포를 CHDF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입자 평균 크기 및 크기 분포 분석 : 셀룰로오스 혼성 폴리스티렌 나노입자의 평균 입자 및 입자 크기 분포는 capillary hydrody­ namic fractionation (CHDF, CHDF-2000, Matec사) 법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J. M. Geurts, M. Lammers, and A. L. German, Colloids Surf. A, 108, 295 (1996) 

  2. M. J. Monteiro, M. Sjoberg, J. Van der Vlist, and C. M. Gottgens,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8, 4206 (2000) 

  3. O. Soula, A. Guyot, N. Williams, J. Grade, and T. Blease,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7, 4205 (1999) 

  4. T. S. Wilkinson, A. Boonstra, A. Montoya-Goni, S. van Es, M. J. Monteiro, and A. L. German, J. Colloid Interf. Sci., 237, 21 (2001) 

  5. S. S. Ivanchev, V. N. Pavljuchenko, and N. A. Byrdina,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25, 47 (1987) 

  6. J. M. H. Kusters, D. H. Napper, R. G. Gilbert, and A. L. German, Macromolecules, 25, 7043 (1992) 

  7. K. Tauer, K.-H. Goebel, and S. Kosmella, Makromol. Chem., Macromol. Symp., 31, 107 (1990) 

  8. S. Abele, C. Gauthier, C. Graillat, and A. Guyot, Polymer, 41, 1147 (2000) 

  9. J. I. Amalvy, M. J. Unzue, H. A. S. Schoonbrood, and J. M. Asia, Macromolecules, 31, 5631 (1998) 

  10. P. Chambon, B. Radhakrishnan, E. Cloutet, E. Papon, and H. Cramail, Macromol Symp., 199, 47 (2003) 

  11. M. Dreja, W. Pyckhout-Hintzen, and B. Tieke, Macromolecules, 31, 272 (1998) 

  12. F. Vidal, A. Guyot, and R. G. Gilbert, Macromol. Chem. Phys., 197, 1835 (1996) 

  13. F. Vidal, J. Guillot, and A. Guyot, Colloid Polym. Sci., 273, 999 (1995) 

  14. E. T. W. M. Schipper, O. Sindt, T. Hamaide, P. L. Desmazes, B. Muller, A. Guyot, M. J. W. A. Vandenenden, F. Vidal, J. J. G. S. Vanes, A. L. German, A. M. Goni, D. C. Sherrington, H. A. S. Schoonbrood, J. M. Asua, and M. Sjoberg, Colloid Polym. Sci., 276, 402 (1998) 

  15. X. Wang, B. Boya, E. D. Sudol, and M. S. El-Aasser, Macromolecules, 34, 8907 (2001) 

  16. J. L. Mura and G. Riess, Polym. Adv. Tech., 6, 497 (1995) 

  17. Y. W. Luo, J. Tsavalas, and F. J. Schork, Macromolecules, 34, 5501 (2001) 

  18. S. Li, C. J. Clarke, R. B. Lennox, and A. Eisenberg, Colloids Surf. A, 133, 191 (1998) 

  19. I. W. Cheong, M. Nomura, and J. H. Kim, Macromol. Chem. Phys., 202, 2454 (2001) 

  20. B. Yamada, M. Azukizawa, H. Yarnazoe, D. J. T. Hill, and P. J. Pomery, Polymer, 41, 5611 (2000) 

  21. A. N. F. Peck, R. A. Hutchinson, and M. C. Grady, Abstracts of Papers, 224th ACS Nat'l Meeting, Boston, MA, Aug., 18-22 (2002) 

  22. D. J. Britton, P. A. Lovell, F. Heatley, and R. Venkatesh, Macromol. Symp., 175, 95 (2001) 

  23. F. Heatley, P. A. Lovell, and T. Yamashita, Macromolecules, 34, 7636 (2001) 

  24. I. H. Kim, J. H. Park, I. W. Cheong, and J. H. Kim, J. Control. Release, 89, 225 (2003) 

  25. I. W. Cheong, H. C. Kong, J. H. An, and J. H. Kim,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42, 4353 (2004) 

  26. I. W. Cheong and J. H. Kim, Chem. Comm., 2484 (2004) 

  27. D. J. Hourston and J. Romaine, J. Appl. Polym. Sci., 43, 2207 (1991) 

  28. I. W. Cheong, M. Nomura, and J. H. Kim, Macromol. Chem. Phys., 201, 2221 (2000) 

  29. X. Wang, E. D. Sudol, and M. S. El-Aasser, Langmuir, 17, 6865 (2001) 

  30. E. L. Kitzmiller, C. M. Miller, E. D. Sudol, and M. S. El-Aasser, Macromol. Symp., 92, 157 (1995) 

  31. X. Wang, E. D. Sudol, and M. S. El-Aasser, Macromolecules, 34, 7715 (2001) 

  32. M. Buback and C. H. Kurz, Macromol. Chem. Phys., 199, 2301 (1998) 

  33. M. Adams, D. H. Napper, R. G. Gilbert, and D. F. Sangster, J. Chem. Soc. Faraday Trans. 1, 82, 1979 (1986) 

  34. M. C. Grady, DECHEMA Mongr., 134, 313 (1998) 

  35. J. Ugelstad, M. S. El-Aasser, and J. W. Vanderhoff, J. Polym. Sci.; Polym. Lett. Ed., 11, 503 (1973) 

  36. J. Ugelstad, P. C. Mork, P. Dahl, and P. Rangenes, J. Polym. Sci. C, 27, 49 (19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