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단백질과 폴리펩타이드로 코팅된 PLGA 표면과 슈반세포와의 상호관계
Interaction of Schwann Cells with Various Protein- or Polypeptide-Coated PLGA Surface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0 no.5, 2006년, pp.445 - 452  

박기숙 (전북대학교 BK-21 BIN 융합연구팀) ,  김수미 (전북대학교 BK-21 BIN 융합연구팀) ,  김문석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 연구실) ,  이일우 (가톨릭 의과대학 신경외과) ,  이종문 (전북대학교 BK-21 BIN 융합연구팀) ,  이해방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 연구실) ,  강길선 (전북대학교 BK-21 BIN 융합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슈반세포와 다양한 세포 부착인자로 코팅된 고분자 표면과의 상호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세포 접착인자로 알려진 피브로넥틴, 피브리노겐, 라미닌, 비트로넥틴, 폴리-D-라이신 및 폴리-L-라이신을 PLGA 필름에 코팅하고 물 접촉각 측정과 ESCA 분석을 실시해 표면특성을 평가하구 접착인자로 코팅하거나 하지 않은 PLGA 필름의 표면에 슈반세포를 배양한 후 세포 계수와 SEM 관찰을 통해 세포 부착과 성장을 알아보았다. 세포 계수 결과에서 세포 부착은 PLGA 표면의 단백질 흡착과 관련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포의 성장은 배양액의 우태아혈청 함량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슈반세포의 접착과 성장이 특정한 세포 접착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해 조직공학적 신경 재생에 응용하기 위한 신경유도관의 개발에서 세포의 부착과 성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세포의 종류 및 배양조건에 따라 신경유도관이 적절한 표면환경을 제공해야 함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interaction of Schwann cells (SCs) with various cell-adhesive coated polymer surface. We used cell-adhesives that like a fibronectin (FN), fibrinogen(FG), laminin(LM), vitronectin (VN), poly-D-Iysine (PDL), and poly-L-Iysine (PLL) to coat PLGA film surface and evalu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EM 관찰을 통해 세포 부착도 및 세포수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도 역시 앞서의 결과와 연관이 있는 비슷한 경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SEM 관찰은 FBS를 포함한 배양액과 무혈청 배양액을 각각 공급해준 다음 슈반세포가 FBS의 유무와 흡착된 단백질 혹은 폴리펩타이드에 따라 부착 및 성장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 세포 부착 형태를 통해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먼저 FBS를 함유한 배양액을 공급한 경우 흡착된 단백질 혹은 폴리펩타이드에 따른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모든 군에서 부착된 세포는 filopodia 및 lamellipodia 등이 뻗어 나와 있는 형태를 보이며 세포의 부착, 성장, 이동 등이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소수성 표면을 가져비교적 세포 부착도가 떨어지는 PLGA 고분자 표면에 세포부착 및 성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세포 접착성 단백질인 피브로넥틴(FN), 피브리노겐(FG), 라미닌(LM), 비트로넥틴(VN)과 폴리펩타이드인 폴리-D-라이신(PDL) 및 폴리-L-라이신(PLL)을 흡착시켜 표면을 코팅하였다. 또한 그동안의 표면 개질 연구에 있어서는 주로 결합조직이나 상피조직 혹은 세포와 개질된 고분자의 표면과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신경교세포인 슈반세포와 고분자의 표면과의 상호관계를 연구하였다. 이미 지난 연구에서 슈반세포를 이용하여 염소산 처리된 PLGA 필름의 표면과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본 실험에서는 PLGA 필름에 접착인자를 코팅하여 슈반세포가 부착 및 성장하는데 가장 적합한 특성을 지닌 접착인자를 확인하고자 세포의 부착과 성장거동을 비교하였다.
  • 또한 그동안의 표면 개질 연구에 있어서는 주로 결합조직이나 상피조직 혹은 세포와 개질된 고분자의 표면과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신경교세포인 슈반세포와 고분자의 표면과의 상호관계를 연구하였다. 이미 지난 연구에서 슈반세포를 이용하여 염소산 처리된 PLGA 필름의 표면과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본 실험에서는 PLGA 필름에 접착인자를 코팅하여 슈반세포가 부착 및 성장하는데 가장 적합한 특성을 지닌 접착인자를 확인하고자 세포의 부착과 성장거동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G. Khang, S. K. Kim, K. D. Hong, W. Y. lang, C. W. Han, I. Lee,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1, 136 (2004) 

  2. G. Khang, M. S. Kim, S. H. Cho, I. Lee J. M. Rhee,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1, 9 (2004) 

  3. G. Khang, E. J. Kim, S. H. Kim, K. S. Park, C. W. Han, Y. S. Yang,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2, 20 (2005) 

  4. S. Sagnella, E. Anderson, N. Sanabria, R. E. Marchant, and K. Kottke-Marchant, Tissue Eng., 11, 226 (2005) 

  5. K. B. Lee, K. R. Yoon, S. I. Woo, and I. S. Choi, J. Pharm. Sci., 92, 933 (2003) 

  6. Y. Iwasaki, S. Sawada, N. Nakabayashi, G. Khang, H. B. Lee, and K. Ishihara, Biomaterials, 20, 2185 (1999) 

  7. G. Khang, S. J. Lee, J. H. Lee, and H. B. Lee, Bio-Med. Mater. Eng., 9, 179 (1999) 

  8. G. Khang, S. J. Lee, J. H. Jeon, J. H. Lee, and H. B. Lee, Polymer(Korea), 24, 869 (2000) 

  9. S. J. Lee, G. Khang, J. H. Lee, Y. M. Lee, and H. B. Lee, Polymer(Korea), 24, 877 (2000) 

  10. G. Khang, J. H. Lee, I. Lee, J. M. Rhee, and H. B. Lee, Korea Polym. J., 8, 276 (2000) 

  11. S. J. Lee, G. Khang, Y. M. Lee, and H. B. Lee, J. Biomater. Sci., Polym. Ed., 13, 197 (2002) 

  12. G. Khang, J. H. Choee, J. M. Rhee, and H. B. Lee, J. Appl. Polym. Sci., 85, 1253 (2002) 

  13. J. S. Choi, S. J. Lee, G. Khang, I. Lee, and H. B. Lee, Biomater. Res., 6, 17 (2002) 

  14. J. H. Lee, H. Kim, G. Khang, H. B. Lee, and M. S. Jhon, J. Colloid Interf. Sci., 152, 563 (1992) 

  15. J. H. Lee, J. W. Lee, G. Khang, and H. B. Lee, Biomaterials, 18, 351 (1997) 

  16. G. Legeay, F. Poncin-Epaillard, and C. R. Arciola, Int. J Artif. Organs, 29, 453 (2006) 

  17. M. Yamaguchi, T. Shinbo, T. Kanamori, P. C. Wang, M. Niwa, H. Kawakami, S. Nagaoka, K. Hirakawa, and M. Kamiya, J. Artif. Organs, 7, 187 (2004) 

  18. G. Khang, J. W. Lee, J. H. Jeon, S. C. Cho, and H. B. Lee, Bio-Med. Mater. Eng., 7, 357 (1997) 

  19. J. H. Lee, G. Khang, J. W. Lee, and H. B. Lee, J. Biomed. Mater. Res., 40, 180 (1997) 

  20. J. H. Lee, G. Khang, J. W. Lee, and H. B. Lee, J. Colloid Interf. Sci., 205, 323 (1998) 

  21. Y. Iwasaki, K. Ishihara, N. Nakabayashi, G. Khang, J. H. Jeon, J. W. Lee, and H. B. Lee, J. Biomater. Sci., Polym. Ed., 9, 801 (1998) 

  22. D. J. Wilson, N. P. Rhodes, and R. L. Williams, Biomaterials, 24, 5069 (2003) 

  23. F. Poncin-Epaillard and G. Legeay, J. Biomater. Sci. Polym. Ed., 14, 1005 (2003) 

  24. E. J. Kim, J. S. Park, M. S. Kim, S. H. Cho, J. M. Rhee, H. B. Lee, and G. Khang, Polymer(Korea), 28, 218 (2004) 

  25. J. H. Lee, D. K. Kim, G. Khang, and J. S. Lee, Biomater. Res., 2, 8 (1998) 

  26. J. S. Choi, S. J. Lee, J. W. Jang, G. Khang, Y. M. Lee, B. Lee, and H. B. Lee, Polymer(korea), 27, 397 (2003) 

  27. S. K. Kim, K. D. Hong, J. W. Jang, S. J. Lee, M. S. Kim, C. W. Han, G. Khang, I. Lee,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1, 149 (2004) 

  28. J. W. Jang. K. S. Park, S. H. Kim, G. Khang, C. S. Park, M. S. Kim, C. W. Han, J. M. Rhee,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2, 34 (2004) 

  29. M. Shen and T. A. Horbett, J. Biomed. Mater. Res., 57, 336 (2001) 

  30. C. Wenling, J. Duohui, L. Jiamou, G. Yandao, Z. Nanming, and Z. Xiufang, J. Biomater. Appl., 20, 157 (2005) 

  31. K. E. Schmalenberg and K. E. Uhrich, Biomaterials, 26, 1423 (2005) 

  32. K. E. Schmalenberg, H. M. Buettner, and K. E. Uhrich, Biomaterials, 25, 1851 (2004) 

  33. J. Marchand-Brynaert, E. Detrait, O. Noiset, T. Boxus, Y. J. Schneider, and C. Remacle, Biomaterials, 20, 1773 (1999) 

  34. E. Detrait, J. B. Lhoest, P. Bertrand, and P. van den Bosch de Aguilar, J. Biomed. Mater. Res., 45, 404 (1999) 

  35. T. K. Morrissey, N. Kleiman, and R. P. Bunge, J. Neurosci., 11. 2433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