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본 연구는 Hord 등이 개발한 CBAM(관심에 기초한 교육과정 실행 모형)을 적용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조리실습 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 및 지원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변화하는 시대와 새로운 교육과정에 맞는 조리실습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5대 도시 중 고둥학교의 가정과 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우편 발송하였고, 회수된 193부 중 부실 기재된 6부를 제외한 187부를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he system of teaching culinary practice needs drastic modification to catch up with dietary life and education curriculum changes. To reflect such changes, it is necessary to instill a strong will and interest as well as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in teachers. In this sense, this study researched the teachers' stages of concerns, levels of use, innovation configuration, and intervention demands, based on the CBAM(Concerns Based Adoption Method) developed by Hord et. al. For the survey, 500 questionnaires sent by mail and 187 were analyzed by SPSS/win 10.0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eachers stages of concerns on culinary practice is assessed to be in the lowest level of perceptual stage, which indicates a state of indifference. 2) In terms of the levels of use, routine us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refinement use, integrated use, research use, and reinvent use in descending order. Mechanical use posted the lowest level. Even though the stages of concern showed the beginning stage, the Level of use was relatively high. 3) About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approximately 30% of the teachers were not accomodate the culinary practice referred to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4)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demands on culinary practic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generally wanted more interventions in every component. Among the intervention components, the highest demand was on the support for facility. Demand on the financing is the second highest. Teachers in the level of routine use demanded more information and materials supply and individual encouragement, but teachers in the level of preparation needed study opportunity for training on operation skills more.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