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수분화기 식생지수와 SPAD값에 의한 벼 질소 수비 시용량 결정
Determining Nitrogen Topdressing Rate at Panicle Initiation Stage of Rice based on Vegetation Index and SPAD Reading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1 no.5, 2006년, pp.386 - 395  

김민호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  부금동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  이변우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표 수량과 단백질함량을 얻기 위한 질소 수비처방을 위해서는 유수형성기 전후 생체정보의 정확한 진단뿐만 아니라 유수형성기 이후 작물의 질소 축적 및 이에 따른 수량 및 미립 단백질 함량 반응이 정량화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수분화기 생육 및 질소영양상태를 잘 대표하는 RVI green과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SPAD값의 유수분화기와 유수분화기 1주일전의 측정치 및 유수분화기부터 수확기까지 즉 생식생장기 지상부 질소 축적량(PNup)을 변수로 하는 수량 및 단백질함량 예측 중회귀 모델과 PNup 예측 회귀모델을 작성하여 이들의 수비 처방에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유수분화기 및 유수분화기 1주일전의 RVIgreen과 SPAD값, 그리고 PNup을 이용하여 얻은 수량과 단백질함량의 중회귀모형은 어느 경우에나 모델의 결정계수($R_{2}$)가 0.9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2. 수량을 최대로 하는 생식생장기 질소흡수량(PNup)은 유수형성기 전후 RVIgreen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본 연구의 유수형성기 전후 RVIgreen 범위로 보면 $9{\sim}13.5kg/10a$ 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PNup은 유수형 성기 전후 SPAD값과는 무관하게 $10{\sim}11kg/10a$ 범위로 나타났다. 3. 미립의 단백질함량을 7% 이하로 하는 유수형성기 질소흡수량은 유수형성기 전후 RVIgreen과 SPAD값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으로 어느 경우에나 $6{\sim}8kg/10a$로 추정되어 최대수량을 위한 생식생장기 질소흡수량 $9{\sim}13.5kg/10a$ 보다 크게 낮았다. 따라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수비 처방을 위해서는 수량보다도 단백질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처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본 실험결과 수비질소의 회수율은 $53{\sim}83%$변이를 보였는데, 생식생장기 생육량이 많을 수록 회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수비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생식생장기 천연질소공급량은 $3{\sim}4kg/10a$ 범위였으며 유수분화기 생육량이 많을 경우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수비 질소시비량 및 유수분화기 생육 및 질소 영양 지표들을 예측변수로하는 PNup 예측모델을 작성하였으며 이 모델들은 적합도가 매우 높았다. 5. 영양생장기 생육 및 질소영양 상태의 비파괴적 측정치를 이용하여 목표 수량과 단백질함량에 달할 수 있도록 수비질소 시용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여기서 제시한 모델들이 광범위한 조건에서 이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품종, 토양, 기상 조건에서 모델의 검증과 보완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re questions for determining nitrogen topdress rate (Npi) at panicle initiation stage (PIS) are 'how much nitrogen accumulation during the reproductive stage (PNup) is required for the target rice yield or protein content depending on the growth and nitrogen nutrition status at PIS?' and 'how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수분화기 생육 및 질소영양상태를 가장 잘 대표하는 녹색광 비식생지수(RVIgreen; 김, 2005)과 현재 엽색측정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SPAD값을유수분화기와 유수분화기 1주일 전 측정치 및 유수분화기부터 수확기까지 즉 생식생장기 질소의 지상부 축적량 (PNup)을 변수로 하여 수량 및 단백질 예측 회귀모델과 PNup 예측 회귀모델을 작성함으로써 수비질소 시비 처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assman, K.G., M.J. Kropff, J. Gaunt, and S. Pengo 1993. Nitrogen use efficiency of rice reconsidered: What are the key constraints. Plant and Soil. 156 : 359-362 

  2. 최해춘. 2002. 쌀 품질 고급화 및 고 부가가치화를 위한 육종현황과 전망. 한국작물학회지 47(8) : 15-32 

  3. De Datta, S.K. 1986. Improving nitrogen fertilizer efficiency in lowland rice in tropical Asia. Fertilizer research. 9 : 171-186 

  4. Gomez, K.A. and S.K. De Datta. 1975. Influence of environment on protein content in rice. Agronomy Journal 67 : 565-568 

  5. Guindo, D., B.R. Wells, and R.J. Norman. 1994. Cultivar and nitrogen rate influence on nitrogen uptake and partitioning in rice.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n Journal 58 : 840-845 

  6. Heu, M.H., C.Y. Lee, J.Y. Choe, and S.I. Kim. 1969. Variability of protein content in rice grown at several different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7 : 79-84 

  7. 허문회, 김광호, 서학수. 1974. 수도 고단백 계통육성을 위한 기초적 연구 : III. 질소, 인산, 가리의 시용이 미립내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15 : 123-128 

  8. Hinzman, L.D., M.E. Bauer, and C.S.T. Daughtry. 1986.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growth and reflectance characteristics of winter wheat.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9 : 47-61 

  9. Islam, N., S. Inanaga, N. Chishaki, and T. Horiguchi. 1996. Effect of N top-dressing on protein content in Japonica and Indica rice grains. Cereal Chemistry. 42 : 225-235 

  10. 김민호, 신진철, 이변우.2005. 식생지수와 SPAD를 이용한 벼 생육 및 질소영양상태의 비파괴적 진단 가능성 검토. 한국작물학회 50(6) : 369-377 

  11. 김민호.2004. 벼 유수분화기 질소영양 및 생육상태의 비파괴적 진단에 의한 질소 수비량 결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Kropff, M.J., K.G. Cassman, H.H. Vanlaar, and S. Pengo 1993. Nitrogen and yield potential of irrigated rice. Plant and Soil. 156 : 391-394 

  13. Mae, T. and K. Ohira. 1981. The remobilization of nitrogen related to leaf growth and senescence in rice plants. Plant Cell Physiology. 22 : 1067-1074 

  14. Muchow, R.C. and T.R. Sinclair. 1995. Effect of nitrogen supply on maize yield: II. Field and model analysis. Agronomy Journal 87 : 642-648 

  15. 농촌진흥청. 1993. 벼 직파재배기술 

  16. Norman, R.J, D. Guindo, B.R. Wells, and C.E. Wilson Jr. 1992. Seasonal accumulation and partitioning of nitrogen- 15 in rice.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n Journal. 56 : 1521-1527 

  17. Peng, S., F.V. Garcia, R.C. Laza, A.L. Sanico, M.I. Samson, R.M. Visperas, and K.G. Cassman. 1996. Nitrogen use efficiency of irrigated tropical rice established by broadcast wet seeding and transplanting. Fertilizer Research. 45 : 123-134 

  18. Perez, C.M., B.O. Juliano, S.P. Liboon, J.M. Alcantara, and K.G. Cassman. 1996. Effects of late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on head rice yield, protein content, and grain quality of rice. Cereal Chemistry. 73 : 556-560 

  19. Piekielek, W.P. and R.H. Fox. 1992. Use of a chlorophyll meter to predict sidedress N requirements for maize. Agronomy Journal. 84 : 59-65 

  20. Schneider, K. 2003. Assimilating remote sensing data into a land-surface process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4 : 2959-2980 

  21. Schnier, H.F., M. Dingkuhn, S.K. De Datta, K. Mengel, and J.E. Faronilo. 1990. Nitrogen fertilization of direct-seeded flooded vs. transplanted rice: I. Nitrogen uptake, photosynthesis, growth, and yield. Crop Science 30 : 1276-1284 

  22. Sinclair, T.R. and R.C. Muchow. 1995. Effect of nitrogen supply on maize yield: I. Modeling physiological responses. Agronomy Journal 87 : 632-641 

  23. 손종록, 김재현, 이정일, 윤영환, 김제규, 황흥구, 문헌팔.2002. 쌀의 품질평가 현황과 금후 연구방향. 한국작물학회지 47(S) 33-54 

  24. Zhai, C.K., C.M. Lu, X.Q. Zhang, G.J. Sun, and K.J. Lorenz. 2001. Comparative study on nutritional value of Chinese and North American wild rice.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14 : 371-3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