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uff 강우시간분포방법의 개선방안 연구 : I. Huff방법의 국내유역 적용성 검토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uff's Method in Korea : I. Review of Applicability of Huff's method in Korea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9 no.9 = no.170, 2006년, pp.767 - 777  

장수형 (고려대학교 방재과학기술연구센터) ,  윤재영 (고려대학교 과학기술대학 환경시스템공학과) ,  윤용남 (㈜삼안 수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Huff(1967)의 연구배경과 지형 및 강우특성을 국내유역과 비교하고 Huff(1967) 방법을 국내에 적용한 건설교통부(2000) Huff의 한계점을 파악하였으며, 국내 강우가 갖는 지속기간별 시간분포특성을 검토함으로써 국내유역에 적합한 Huff방법의 개선방안을 위한 기초연구를 목표로 하였다 Huff(1967)의 연구유역과 본 연구유역의 점강우가 갖는 특성에는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건설교통부(2000) Huff 방법은 관측소별로 분석되어 유역을 대표하는 누가곡선의 채택에 어려움을 갖게 되며, 이용된 강우사상은 강우총량의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자료를 이용하여 점우량 25.4mm 이상을 대상으로 비교한 결과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 대상유역의 점강우와 면적평균 강우에서 지속기간별로 강우의 시간분포 특성이 다양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K-S 검정결과 5% 유의수준에서 지속기간별로 작성된 일부 누가곡선이 전 지속기간에 대해 작성된 누가곡선과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어 지속기간별 시간분포 특성이 통계학적으로 입증되었다. 따라서 Huff(1967) 방법을 국내유역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적정 수준 이상의 총량을 갖는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유역의 대표성, 강우의 지속기간별 특성이 반영된 누가곡선이 작성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Huff's method which is the most popular method for rainfall time distribution in Korea. As the first step, we reevaluated the context of Huff's original research motivations, geography and rainfall pattern of study area, and compared that to Korean situation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Huff(1990)에서는 Huff(1967)방법이 미 일리노이 중부지역의 자료를 토대로 개발되었고 실측된 자료를 토대로 개발되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과거에는 모든 강우사상에 대한 중앙값의 누가곡선이 사용되어져 왔으나 이는 자연현상에서 발생하기 극히 드문 경우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졌음을 지적하였다. 이는 분위를 구분한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Huff(1967) 방법이 개발된 당시의 연구배경과 지형 및 강우특성을 국내유역과 비교하고 Huff(1967)의 방법을 국내에서 적용한 건설교통부 (2000) Huff 방법의 한계점을 파악하였으며, 국내 강우가 갖는 지속기간별 시간분포특성을 검토함으로써 국내 유역에 적합한 Huff 방법의 개선방안 연구를 위한 기초 분석을 목표로 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건설교통부 (2000). 1999년도 수자원 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 : 지역적 설계 강우의 시간적 분포 

  2. 건설교통부 (2002). 하천정비 기본계획수립 및 하천정비대장 작성 지침 

  3. 건설교통부 (2005). 하천설계기준.해설 pp.203-203 

  4. 오규창 (2005). '유역종합치수계획 수립 현황 및 문제점.'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기획세션 II, 한국수자원학회 

  5. 이상렬 (2005) '유역종합치수계획의 바람직한 방향설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기획세션 II, 한국수자원학회 

  6. 윤용남, 장수형, 강성규, 박민석 (2004). '설계홍수량 산정을 위한 적정 설계강우시간분포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54-54 

  7. 정종호, 윤용남 (2005). 수자원설계실무. 도서출판 구미서관 

  8. Bonta, J. V., and Rao., A. R. (1987). 'Factors affecting development of huff curve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30, No.6, pp. 1689-1693 

  9. Huff F. A. (1967).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in heavy Storm.'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 No.4, pp. 1007-1019 

  10. Huff F. A. (1986). 'Urban hydrology review.'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iogical Society, Vol. 67, No.6, pp. 703-712 

  11. Huff F. A. (1990). Time distribution of heavy rainstorms in illinois. Illinois State Water Survey, Circular 173, p. 19 

  12. Knapp, H. V., and Terstriep., M. L. (1981). Effects of basin rainfall estimates on dam safety design in illinois. Illinois State Water Survey Contract Report 253, p. 57 

  13. Pani, E. A,. and Haragan., D. R. (1981). A comparison of Texas and Illinois temporal rainfall distributions, Preprints, 4th Conference on Hydro-meteor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Boston, MA, pp. 76-80 

  14. ?Pilgrim, D. H., and Cordery, I. (1975). 'Rainfall temporal patterns for design flood.' Journal of Hydraulic Division, ASCE, Vol. 101, No. HY1, pp. 81-95 

  15. Soil Conservation Service. (1972). Hydrology. SCS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p. 110 

  16. Tholin, A. L., and Keifer., C. J. (1960). The hydrology of runoff. Transactions.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25, pp. 1300-1309 

  17. U.S. Army Corps of Engineers. (1952). Standard project flood determinations. Civil Engineer Bulletin 52-8, p. 19 

  18. Viessrnan, W. Jr., Lewis, G. L., and Knapp, J. W.. (1989). 'Introduction of Hydrology, third edition : New York' Harper and Row Publishers, 700 p 

  19. Ward, A. B., Bridges, T. and Barfield., B. (1900). 'An evaluation of hydrologic modeling techniques for determining a design storm hydrograph.' Proc., International Symposium on Urban Storm Runoff. pp. 59-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