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뭄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I. 정량적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가뭄지수의 적용성 분석
Development of Drought Monitoring System: I. Applicability of Drought Indices for Quantitative Drought Monitoring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9 no.9 = no.170, 2006년, pp.787 - 800  

이주헌 (중부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  정상만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방재연구센터) ,  김성준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이명호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 대한 가뭄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각종 기상 및 수문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PDSI, SPIMSWSI 등의 가뭄지수를 월 단위로 산정 하였으며 산정된 각종 지수들이 어느 정도로 과거에 발생했던 가뭄을 정량적으로 재현하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1994년, 1995년 및 200l년에 발생했던 가뭄의 가뭄피해 조사기록을 이용하였고 본 연구에서 이용되는 3가지의 가뭄지수들이 가뭄감시를 위한 가뭄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기 위하여 과거 가뭄에 대한 재현정도, 가뭄단계의 일치성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DSI, SPI(3), SPI(6), MSWSI 순으로 과거 가뭄 모니터링에 대한 정확성을 나타냈고 특히 가뭄의 심도 및 지속기간을 비교 분석한 결과에서도 상당히 우수한 결과를 보여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지표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drought monitoring system of Korea using drought indices such as PDSI, SPI and MSWSI. To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three different drought indices, monthly based drought indices have been calculated using various kinds of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 data. Also past ...

주제어

참고문헌 (18)

  1. 건설교통부 (1995).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2. 건설교통부 (2002).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3.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WAMIS) 홈페이지. http://www.wamis.go.kr 

  4. 국가지하수정보센터(GIMS) 홈페이지, http://www.girns.go.kr 

  5. 권형중, 임혁진, 박남식, 김성준 (2005). '유역의 지형 및 토양특성을 고려한 지하수 개발량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1B호, pp. 19-25 

  6. 김선주, 이광야, 신동원 (1995). '관개용 저수지의 한발 지수 산정.' 한국농공학회지, 제6호, pp. 103-111 

  7. 류재희, 이동률, 안재현, 윤용남 (2002). '가뭄평가를 위 한 가뭄지수의 비교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4호, pp. 397-410 

  8. 이동률 (1998). 한국과 미국대륙의 가뭄에 대한 엘리뇨의 영향, 책임연구과제 보고서, 건기연 98-07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9. 이동률, 이대희, 강신욱 (2003). '가뭄 경보기준과 모니터링 시스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3호, pp. 375-384 

  10. 임경진, 심명필, 성기원, 이현재 (2001). '다양한 시계열 을 이용한 가뭄지표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34권, 제6호, pp.673-685 

  11. 한국수자원공사 (2001). 2001년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12. Dracup, J. A., Lee, K. S. and Paulson, Jr., E. G. (1980), 'On the Definition of Droughts.' Water Resources Research, 16(2), pp. 297-302 

  13. Guttman, N. B. (1998). 'Comparing the Palmer Drought Index and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J.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1), pp. 113-121 

  14. McKee, T. B., Doesken, N. J., and Kleist, J. (1995).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ple Time Scales Preprints.' 9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15-20 January, Dallas, TX, pp. 233-236 

  15. Palmer, W. 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Research paper. No. 45, U.S. Weather Bureau 

  16. Rao, S. N., Dwivedi., S. L. and Nigam, S. N. (1996). 'Effect of drought on oil, fatty acids and protein contents of groundnut(Arachis hypogaea L.) seeds,' ARTICLE Field Crop Research, 68, pp. 125-133 

  17. Shafer, B. A. and Dezman, L. E. (1982). 'Development of surface water supply index to asses the severity of drought condition in snowpack runoff areas.' Proc Western Snow Conf. pp. 164-175 

  18. Wilhite, D. A., and Glantz, M. H. (1985), 'Understanding the drought phenomenon : The role of difinition.' Water international, 10, pp. 111-1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