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안댐 기수역내부의 염생식물에 관한 생태적 주제성

Ecological Motif on the Salt-Water Plants of Brackish Area in Buandam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0 no.3, 2006년, pp.311 - 318  

오현경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변무섭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이명우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황보철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북부안군 부안댐 기수역 내부의 염생식물 현황과 군락 종조성 및 상재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염생식물에는 6과 13속 14종 2변종 총16종류가 확인되었으며, 이 중 벼과식물이 5종류, 명아주과와 국화과 식물이 각각 4종류로 분석되었다. 염생식물 군락으로는 갯잔디-비쑥군락, 비쑥-갯사상자군락, 갯질경-비쑥군락, 비쑥구락, 칠면초군락, 갯보리군락, 나문재군락, 갯잔디군락, 갯잔디-칠면초군락, 모새달군락 등 총 10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상재도 분석 결과, 군락구분종에는 I 에 모새달, 갯사상자, 갯질경, 칠면초, 갯보리, 나문재 등이 확인되었으며 II 에는 갯잔디, 비쑥 등으로 분석되었으며, 수반종에는 I 에 갯보리, 갯강아지풀, 물피, 모새달, 가는갯능쟁이 퉁퉁마디, 갯메꽃, 갯개미취 등이, II 에 갯잔디, 나문재, 사철쑥 등이, III 에 칠면초와 비쑥, IV에 갯사상자, V에는 갯질경과 큰비쑥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한정된 공간에 다양한 염생식물이 출현하고 기수역의 녹화에 기여할 수 있는 모새달군락을 중심으로 생태학습이 가능한 공간으로 기수역의 생태적 주제성을 발현할 수 있는 적지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n estuary, ecological dynamic is modified for a long time and memorized in soils and landscapes. As landscape memory, ecological motif is defined with dominance and rarity of veget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isting vegetation character and to propose the ecological 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기수역의 염생습지의 중요성을감안할 때, 본 연구는 부안댐 기수역 내부에 분포하고 있는 염생식물 현황과 군락분류를 수행함으로써 생태적 잠재력을 도출하고, 특히 생태학습원을 조성하기 위한 생태적 주제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고철환(2001) 한국의 갯벌-환경, 생물 그리고 인간.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1073쪽 

  2. 김귀곤(2003) 습지와 환경. 아카데미서적. 서울, 314-316 

  3. 김종원(2004) 산림, 조경, 생태, 환경을 위한 식물사회학적 녹지생태학. 월드사이언스. 서울, 308쪽 

  4. 김창환, 이경보, 김재덕, 조태동, 김문숙(2005) 전북 동진강 하구역 일대의 염습지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4(9): 817-825 

  5. 김철수(1971) 간척지 식물군락형성과정에 관한 연구-목포 지방을 중심으로- 한식지 14: 27-33 

  6. 김철수, 송태곤(1983) 해변염생식물군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4)-입지조건이 다른 염생식물군집- 한국생태학회지 6(3): 167-176 

  7. 김철수, 송태곤(1985) 금호도와 산이반도의 식생 연구. 연안생물연구 2: 1-22 

  8. 김철수, 임병선(1988) 한국 서남해안 간석지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1(4): 175-192 

  9. 김철수, 장윤석, 오장근(1987) 우이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연안생물연구 4: 1-56 

  10. 김하송, 임병선, 이점숙, 박송희(2003) 가사도 폐염전의 식생 현황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2): 123-132 

  11. 산림청, 임업연구원(1996)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보존지침 및 대상식물-.140쪽 

  12. 심현보, 서석민, 최병희(2002) 경기만 연안지역의 염생식물 분포.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20(1): 25-34 

  13. 양효식(1999) 전남 해안지역에 분포하는 폐염전 염생식물의 군락분류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2(5): 265-270 

  14. 이승호(1998) 한국서남해안 간석지의 식생변화에 관한연구.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쪽 

  15. 이우철, 전상근(1983) 한국 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남해안의 사구식물군락의 종조성과 현존량-. 한국생태학회지 6(3): 177-186 

  16. 이우철, 전상근(1984) 한국 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서해안의 사구식생에 관하여-. 한국생태학회지 7(2): 74-84 

  17. 이점숙(1988) 만경강 하구 염습지 식생분포에 관한 연구.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6(1): 1-10 

  18. 이점숙(1989)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 염습지의 조위 균배에 따른 염생식물의 정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183쪽 

  19. 이점숙, 조두성(2000)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위도 해안의 염생식물- 환경부. 1-16 

  20. 이창복(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990쪽 

  21. 임병선(1989) 토양의 수분포댄셜과 식물의 삼투조절능에 의한 해안 식물 군락의 분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6쪽 

  22. 임병선, 이점숙(1986) 염습지 환경변화에 따른 퉁퉁마디와 칠면초의 적응. 환경생물지 4: 15-25 

  23. 임병선, 이점숙(1998) 한국 서남해안 습지의 식물군집에 미치는 토양요인. 한국생태학회지 21(4): 321-328 

  24. 임병선, 이점숙, 김하송, 김종욱, 이승호(1999) 영덕 연안의 사구 염생식물분포와현존량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연안환경연구 16: 15-22 

  25. 환경부(1999) 제2차 전국자연환경 조사 지침-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 포함한 식물상-.62-89 

  26.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Springer -Verlag, vien, New York, 865pp 

  27. Ellenberg, H(1956)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Stuttgart, 136.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865pp 

  28. Ihm Byung-Sun, Lee Jeom-Sook(1998) Soil factors affecting the plant communities of wetland on southwe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Ecol. 21: 321-328 

  29. Pulliam, H. R., B. R. Johnson(2002) Ecology's new paradigm: what does it offer designers and planners? In Ecology and design Johnson, B. R. and K. Hill eds., Island Press, Washington, 51-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