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탄올 농도에 따른 머루(Wild Grape, Vitis coignetiae)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ild Grape (Vitis coignetiae) Extracts Depending on Ethanol Concentra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12, 2007년, pp.1491 - 1496  

정현진 (한국식품연구원) ,  박선빈 (한국식품연구원) ,  김선아 (한국식품연구원) ,  김현구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마이크로웨이브로 추출한 머루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든 추출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고 폴리페놀도 농도 증가에 따라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세 가지 추출용매 중 50% 에탄올 추출 시 항산화 활성이 높았는데 이는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와도 일치하여 머루의 항산화 활성이 폴리페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사료된다. 전반적인 활성은 전자공여능이 약 $13{\sim}101%$로 특히 1.6 g/dL 농도의 50%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의 경우 1% L-ascorbic acid보다 우수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가 낮을수록 활성이 높은 경향으로 pH 1.2에서 활성이 $34{\sim}99%$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농도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의 차이가 컸으며 50% 에탄올 추출, 1.6 g/dL 농도에서 약 38.76 mM gallic acid equivalent로 가장 높았다. SOD 유사활성$30{\sim}50%$로 전자공여능이나 아질산염 소거능만큼 우수하진 않았지만 0.01% L-ascorbic acid보다 50%, 100% 에탄올 추출구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머루의 항산화 활성과 폴리페놀 함량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폴리페놀 함량이 풍부한 머루를 이용한 항산화 건강기능성 식품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n oriental medicinal plant, wild grape (WG, Vitis coignetiae) has been known to contain abundant nutrients compared to grape (Vitis vinifera L.) and as a source of stilbenes, a kind of polypheno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WG extracts by measuring el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1% L-ascorbic acid보다 50%, 100% 에탄올 추출구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머루의 항산화 활성과 폴리페놀 함량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폴리페놀 함량이 풍부한 머루를 이용한 항산화 건강기능성 식품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 머루(wild grape, Vitis coignetiae)는 쌍떡잎식물의 갈매 나무목, 포도과에 속하는 덩굴식물로서(15)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resveratrol 함량이 포도나 거봉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16,17) 동종의 포도에 비해 생리활성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머루에 존재하는 flavonoid, stilbene과 같은 페놀 화합물에 기인한 항산화성을 평가하고자 전자공여능 등의 항산화 평가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OS에는 어떤것이 있는가? ROS는 호기성 대사의 결과로서 정상적인 상태에서 항상 생성된다. ROS에는 super oxide anion(O2-), hydroxyl radical( · OH), hydrogen peroxide radical( · OOH) 등이 있는데, 이들은 높은 화학적 반응성 때문에 일시적으로만 존재하며 유해한 방식으로 DNA,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등과 반응할 수 있다. 세포는 ROS에 대항하기 위한 다양한 항산화 체계를 갖고 있으나 ROS가 세포의 보호체계를 압도하여 산화 환원 항상성을 변화시키게 될 때 결과적으로 oxidative stress를 입게 된다(1).
현재 연구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에는 어떤것이 있는가?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는 SOD(superoxide dismutase)의 발견을 계기로 시작되었으며, 각종 질병이나 노화가 ROS에 의하여 야기된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노화억제제와 질병치료제의 연구 대상으로서 항산화제에 초점이 맞춰졌다.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butylated hydroxy toluene(BHT), butylated hydroxy anisol(BHA) 등과 같은 합성 항산화제는 발암성 관련 보고가 있어 보다 안전하고 강력한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2).
천연 항산화제에는 어떤것이 있고, 효능은 무엇인가? Stilbene은 고등식물의 잎, 나무껍질, 목질 부분에 존재하는 이차적 부산물로서 식물체 내에서는 유도체의 형태로 존재한다. Resveratrol은 stilbene의 가장 대표적인 유도체로 포도에 널리 존재하는 물질로서 혈소판 응집억제(3), 지질대사 제어(4), 항산화 작용(5), 항염증 작용(6), 암세포 성장 억제(7) 및 암 예방(8)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9) 여성 호르몬 에스트로겐 유사작용이 있는 phytoestrogen 화합물로 알려지면서(10), 호르몬 의존성 유방암, 전립선암, 골다공증 치료제로써 주목을 받고 있다(11-13). 머루의 stilbene에 관한 연구로는 머루 종자로부터 분리한 oligostilbene의 간보호 효과가 있으며 머루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epsilon-viniferin, ampelopsins A, C, F 등의 oligostilbene이 존재가 밝혀졌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Lee SJ, Lee MG, Choe GP, Kim NY, No SG, Heo MY, Kim JD, Lee HY, Lee JH. 2003. Inhibitory effect of Korean mistletoes on the oxidative DNA damage. Korean J Medical Corp Sci 11: 89-96 

  2. Choi SY, Jung SK, Kim SK, Yu YC, Lee KB, Kim JB, Kim JY, Song KS. 2004. An antioxidant homo-flavoyadorinin-B from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79-282 

  3. Pace-Asciak CR, Hahn S, Diamandis EP, Soleas G, Goldberg DM. 1995. The red wine phenolics trans-resveratrol and quercetin block human platelet aggregation and eicosanoid synthesis: Implications for protection against coronary heart disease. Clin Chim Acta 235: 207-219 

  4. Seo SH, Lee HL, Lee SJ, Choe SW, Jo SH. 2003. Effects of paeonia seed extracts and resveratrol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102-1107 

  5. Fremont L, Belguendouz L, Delpal S.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resveratrol and alcohol-free wine polyphenols realated to LDL oxidation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ife Sci 64: 2511-2521 

  6. MacCarrone M, Lorenzon T, Guerrieri P, Agro AF. Resveratrol prevents apoptosis in K562 cells by inhibiting lipoxygenase and cyclooxygenase activity. Eur J Biochem 265: 27-34 

  7. Lee HS, Sur EY, Kim WK. 2004. Resveratrol induces apoptosis in SW480 human colon cancer cell lines. Food Sci Biotechnol 13: 80-84 

  8. Fontecave M, Lepoivre M, Elleingand E, Geres C, Guittet O. 1998. Resveratrol, a remarkable inhibitor of ribonucleotide reductase. FEBS Lett 421: 277-279 

  9. Kim HB, Kim JB, Kim SL. 2005. Varietal analysis and quantification of resveratrol in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c Sci 47: 51-5 

  10. Gehm BD, McAndrews JM, Chien PY, Jameson JL. 1997. Resveratrol, a polyphenolic compound found in grapes and wine, is an agonist for the estrogen receptor. Pro Natl Acad Sci 94: 14138-14143 

  11. Mizutani K, Ikeda K, Kawai Y, Yamori Y. 1998. Resveratrol stimulates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ic MC3T3-E1 cells. Biochcem Biophys Research Commun 253: 859-863 

  12. Stahl S, Chun TY, Gray WG. 1998. Phytoestrogen act as estrogen agonists in an estrogen responsive pituitary cell line. Toxicol Applied Pharmacol 152: 41-48 

  13. Renard S, De Lorgeril M. 1992. Wine, alcohol, platelets, and the French paradox for coronary heart disease. Lancet 339: 1523-1526 

  14. Oshima Y, Namao K, Kamijou A, Matsuoka S, Nakano M, Terao K, Ohizumi Y. 1995. Powerful hepatoprotective and hepatotoxic plant oligostilbenes, isolated from the oriental medicinal plant Vitis coignetiae (Vitaceae). Experientia 51: 63-6 

  15. Lee DH, Yu HE, Lee JS.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wild grape wine. J Natural Sci 15: 69-78 

  16. Jung HK. 2004. Investigation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grapes and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processed food by use of grapes containing antioxidant ingredients.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201016-3). p 63 

  17. Choi SY, Cho HS, Sung NJ. 2006. The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Vitis Coignetiea) s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61-966 

  18.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19. Han JH, Kim JH, Kim SG, Jung SH, Kim DH, Kim GE, Whang WK. 2007.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the aerial parts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Yakhak Hoeji 51: 88-95 

  20. Lim TS, Do JR, Kwon OJ, Kim HK. 2007.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garicus bisporus extracts as affected by solv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83-388 

  21.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22.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23.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 249 

  2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4617: 1199-1200 

  25. Seo YH, Kim IJ, Lee AS, Min HK. 2001.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tocopherols and carotenoids in waxy corn (Zea mays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161-16 

  26. Park SJ, Oh DH. 2003.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eed and skin extracts of black olympia grape (Vitis labruscan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1-124 

  27. Cha HS, Park MS, Park KM. 2001.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409-415 

  28. Lee MJ, Moon GS. 2003. Antioxidative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 wang-dae, som-dae, maengjong-juk and o-j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26-1232 

  29. Kim NY, Kim YK, Bae KJ, Choi JH, Moon JH, Park GH, Oh DH. 2005.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extraction condition of ethanol extracts and fractions of wild grape seed (Vitis coigneti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55-758 

  30. Park SJ, Oh DH. 2003.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eed and skin extracts of black olympia grape (Vitis labruscan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1-124 

  31. Cheon KB. 1999. Screening of antioxidant from Vitis coignetiae, Vitis Vinifera L. and comparison of its antioxidant activity. MS Thesis. Kon Kuk University, Seoul 

  32. Jeong JA, Kwon SH, Kim YJ, Shin CS, Lee CH. 2007.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seed extracts. Korean J Plant Res 20: 177-184 

  33. Lim JA, Yun BW, Baek SH.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methanol extract from Salvia plebeia R. B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 183-188 

  34. Moon YG, Choi KS, Lee KJ, Kim KY, Heo MS. 2006. Screening of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y from hot water extracts of indigenous plants, Jeju-Island.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 164-169 

  35. Trush MA, Mimnaugh EG, Gram TE. 1982. Activation of pharmacologic agents to radical intermediates: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free radicals in drug action and toxicity. Biochem Pharnacol 31: 3335-3346 

  36. Lee SH, Ro JS, Lee KS, Ahn YJ, Kang SJ, Hwang BY, Park WY, Ahn BT. 1996. The phenolic components of Sapium japonicum. Yakhak Hoeji 40: 183-192 

  37. Oboh G, Akindahunsi AA. 2004. Change in the ascorbic acid, total pheno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un-dried commonly consumed green leafy vegetables in Nigeria. Nutr Health 18: 29-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