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지별 마늘의 향기 항산화활성과 열처리 효과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oma on Garlic Harvested in Different Cultivation Area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12, 2007년, pp.1637 - 1642  

정지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우관식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황인국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윤향식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이연리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마늘과 열처리에 따른 마늘의 향기 특성과 향기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고자 국내산 한지형 마늘 3종(단양, 서산, 의성마늘)과 난지형 마늘 3종(남해, 남도, 대서마늘), 중국산 마늘에 대하여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SDE) 방법으로 향기 성분을 추출하여 GC/MS로 동정하고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생마늘의 주요 향기성분은 allyl methyl sulfide, methyl-2-propenyl disulfide, diallyl disulfide, 2-ethylidene-1,3-dithiane, methyl-2-propenyl trisulfide, di-2-propenyl trisulfide 및 2-vinyl- 4H-1,3-dithiin 등으로 나타났다.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diallyl disulfide, methyl-2-propenyl trisulfide 및 di-2-propenyl trisulfide 등은 중국산 마늘보다 한지형 마늘이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향기성분은 열처리시 2-propanone, allyl mercaptan, methyl formic acid, 2-methyl butanal 2-methyl thiophene, methyl pyrazine, 2,2-dimethyl-1,3-dithiane 및 2-propenyl propyl disulfide 등이 새롭게 생성되었으며, allyl methyl sulfide, allyl alcohol 및 allyl sulfide 등의 분자량이 작은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산지별 생마늘의 향기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단양, 남해 및 중국산은 각각 20.07, 34.62 및 9.71%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고, 열처리 후에는 각각 79.90, 93.59 및 77.26%로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aroma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aw and heated garlic ($130^{\circ}C$, 2 hr) from different cultivation areas (Danyang, Seosan, Uiseong Namhae, Namdo, Daeseo and China). The volatile compounds were extracted by simultane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지별 마늘과 중국산 마늘에 대하여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SDE) 추출물에 대한 향기특성과 항산화활성을 분석하고 열처리 시 향기성분의 변화와 향기성분의 항산화활성을 비교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은 무슨 효과를 가지고 있는가? 마늘(Allium sativum)은 4,000년 전부터 재배되어온 작물로 원산지는 중앙아시아로 추정되며, 혈중 지질을 낮추고 혈압을 저하시키고 혈전을 억제하고 항바이러스, 항곰팡이, 항세균 활성이 있고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 마늘과 Allium속 작물의 생리활성을 가진 대표적인 화합물은 dithiines, allyl sulfides 및 ajoene 등이며, 이들 화합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1) 몇몇 질병에 대해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3).
마늘의 정유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마늘과 Allium속 작물의 생리활성을 가진 대표적인 화합물은 dithiines, allyl sulfides 및 ajoene 등이며, 이들 화합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1) 몇몇 질병에 대해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3). 마늘의 정유 성분은 황화합물로 allicin(2-propene-1-sulfinothioic acid S-2-propenyl ester; C6H10S2), allyl disulfide(4,5-dithia-1,7-octadiene; C6H10S2), allyl trisulfide(C6H10S3) 및 그 밖에 다른 황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향기성분은 일반적으로 마늘의 의약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난 수년간 마늘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성분들의 특성을 규명하고 심혈관계 질환과 암에 대한 연구로 진행되었다(2).
열처리에 따른 마늘의 향기 특성과 향기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고자 국내산 한지형 마늘 3종과 난지형 마늘 3종, 중국산 마늘에 대하여 simultaneous 방법으로 향기 성분을 추출하여 GC/MS로 동정하고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생마늘과 열처리에 따른 마늘의 향기 특성과 향기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고자 국내산 한지형 마늘 3종(단양, 서산, 의성마늘)과 난지형 마늘 3종(남해, 남도, 대서마늘), 중국산 마늘에 대하여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SDE) 방법으로 향기 성분을 추출하여 GC/MS로 동정하고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생마늘의 주요 향기성분은 allyl methyl sulfide, methyl-2-propenyl disulfide, diallyl disulfide, 2-ethylidene-1,3-dithiane, methyl-2-propenyl trisulfide, di-2-propenyl trisulfide 및 2-vinyl-4H-1,3-dithiin 등으로 나타났다.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diallyl disulfide, methyl-2-propenyl trisulfide 및 di-2-propenyl trisulfide 등은 중국산 마늘보다 한지형 마늘이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향기성분은 열처리시 2-propanone, allyl mercaptan, methyl formic acid, 2-methyl butanal 2-methyl thiophene, methyl pyrazine, 2,2-di-methyl-1,3-dithiane 및 2-propenyl propyl disulfide 등이 새롭게 생성되었으며, allyl methyl sulfide, allyl alcohol 및 allyl sulfide 등의 분자량이 작은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산지별 생마늘의 향기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단양, 남해 및 중국산은 각각 20.07, 34.62 및 9.71%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고, 열처리 후에는 각각 79.90, 93.59 및 77.26%로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iegel G, Walter A, Engel S, Walper A, Michel F. 1999. Pleiotropic effects of garlic. Wien Med Wochenschr 149: 217-224 

  2. Block E. 1992. The organosulfur chemistry of the genus Allium-Implications for the organic chemistry of sulfur. Ang Chem Int Ed 31: 1135-1178 

  3. Kuettner EB, Hilgenfeld R, Weiss MS. 2002. The active principle of garlic at atomic resolution. J Biol Chem 277: 46402-46407 

  4. Artacho R, Serrano MF, Lopez MD. 1995. Determination of organic sulphur compounds in garlic extracts by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Food Chem 53: 91-93 

  5. Jo KS, Kim HK, Ha JH, Park MH, Shin HS. 1990. Flavor compounds and storage stability of essential oil from garlic distill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840-845 

  6. Park CJ, Kim SD, Oh SK. 1993. Study on the flavor of garlic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593-595 

  7. Koo BS, Ahn MS, Lee KY. 1994.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garlic-seasoning oil.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520-525 

  8. Shin JH, Ju JC, Kwen OC, Yang SM, Lee SJ. 2004.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Korean J Food Nitr 17: 237-245 

  9. Shin DB, Seog HM, Kim JH, Lee YC. 1999. Flavor composition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293-300 

  10. Kwon OC, Woo KS, Kim TM, Kim DJ, Hong JT, Jeong HS.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31-336 

  11. Kim YD, Seo JS, Kim KJ, Kim KM, Hur CK, Cho IK. 2005. Component analysis by different heat treatments of garlic (Allium sativum L.). Korean J Food Preserv 12: 161-165 

  12. Woo KS, Lee YR, Yoon HS, Lee JS, Jeong HS. 2007.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volatile compounds in heated garlic (Allium sativum). Food Sci Biotechnol 16: 822-827 

  13. Mau JL, Ko PT, Chyau CC. 2003. Aroma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s from Terminalia catappa leaves.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6: 97-104 

  14. Hwang IG, Woo KS, Kim TM, Kim DJ, Yang MH, Jeong HS. 2006.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juice with heat treatment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42-347 

  15. Nikerson GB, Likens ST. 1996. Gas chromatographic evidence for occurrence of hop oil components in Beer. J Chrom 21: 1-5 

  1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3 

  17. Gu BS, Yang JY, Son HS, Kwon GB, Ji EJ. 2003. Diallyl disulfide enhances daunorubicin-induced apoptosis of HL-60 cells. Korean J Food Nutr 36: 828-833 

  18. Jo KS, Kim HK, Ha JH, Park MH, Shin HS. 1990. Flavor compounds and storage stability of essential oil from garlic distill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840-845 

  19. Bae HJ, Chun HJ. 2003. Change in volatile sulfur compounds of garlic under short-term storage condition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17-23 

  20. Gebhardt R, Beck H. 1996. Differential inhibitory effects of garlic-derived organosulfur compounds on cholesterol biosynthesis in primary rat hepatocyte culture. Lipids 31: 1269-1276 

  21. Lee SH, Woo YH, Kyung KH. 2006. Allyl alcohol found in heated garlic is a potent selective inhibitor of yeasts. J Microbiol Biotechnol 16: 1236-1239 

  22. Haber D, Siess MH, Canivenc-Lavier MC, Le-Bon AM, Suschetet M. 1995. Differential effects of dietary diallyl sulfide and diallyl disulfide on rat intestinal hepatic drug-metabolizing enzymes. J Toxicol Environ Health 44: 423-434 

  23. Fenelli SL, Castro GD, Toranzo EG, Castro JA. 1998. Mechanisms of the preventive properties of some garlic components in the carbon tetrachloride-promoted oxidative stress. Diallyl sulfide; diallyl disulfide; allyl mercaptan and allyl methyl sulfide. Res Commun Mol Pathol Pharmacol 102: 163-1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