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산만 해역에서 장마기 전후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
Changes in Mesozooplankton Community Around the Rainy Season in Asan Bay,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2 no.4, 2007년, pp.337 - 348  

이두별 (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박철 (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양성렬 (광주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신용식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산만에서 장마기 전 후 수온, 염분, 영양염, chlorophyll ${\alpha}$ 농도와 중형동물플랑크톤 등에 대해 분포의 특성과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해 보았다. 장마기에 담수 유입에 의한 환경 변화는 동물플랑크톤식물플랑크톤(chlorophyll ${\alpha}$) 분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장마기에 유입된 담수로 인해 영양염 농도는 높아졌고 동물플랑크톤 개체수는 크게 감소하였다. 반면, 식물플랑크톤(chlorophyll ${\alpha}$)은 장마기 종료 시점에 생체량이 증가하였다. 이는 방조제로부터 유출수 증가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감소와 영양염 유입의 증가가 나타난 후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이 증가하는 생물학적 과정이 연결되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동물플랑크톤의 분포는 수온 변화에 따라 종별로 다른 양상을 보여 봄철 우점종과 여름철 우점종으로 구분 지을 수 있게 하였다. 이는 수온이 역시 중요한 분포요인이 됨을 보여준다. 그러나 장마로 인한 염분 변화는 전체 동물플랑크톤의 분포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Noctiluca scintillans, Acartia pacifica, Sagitta crassa에게는 수온보다 장마로 인한 염분 변화가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racteristics in distributions of T, S, nutrients, chlorophyll ${\alpha}$ concentrations and meso-zooplankton abundances and the relations among these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with the data collected in Asan Bay around the rainy season from May 24 till August 25, 2006 at about 10 da...

주제어

참고문헌 (36)

  1. 명철수, 유재명, 김웅서, 1994. 아산만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29: 366-375 

  2. 문창호, 박 철, 이승용, 1993. 아산만의 영양염 및 입자성 유기물. 한국 수산학회지, 26: 173-181 

  3. 박 철, 이평강, 1995. 아산만 요각류 Calanus sinicus의 알생산. 한국수산학회지, 28: 105-113 

  4. 서해립, 서호영, 차성식, 1991. 만경 동진강 하구계의 동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염분. 한국해양학회지, 26: 181-192 

  5. 서호영, 서해립, 1993. 광양만의 부유성 요각류 출현량의 계절변동.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0: 118-129 

  6. 신용식, 서호영, 현봉길, 2005. 해수층의 염분 변화가 일차 생산자와 상위소비가의 크기구조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학회지, 10: 113-123 

  7. 윤석현, 최중기, 2003. 경기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8: 243-250 

  8. 이상현, 신용식, 양성렬, 박 철, 2005. 아산만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군집 분포 특성. Ocean and Polar Res., 27: 149-159 

  9. 이창래, 박 철, 양성렬, 신용식, 2006. 아산만 해역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동. 한국해양학회지, 11: 1-10 

  10. 최상덕, 김영식, 한경호, 1998. 광양만의 동물성 플랑크톤 군집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여수대학교 논문집 제13편 2권, 959-971 

  11. 현봉길, 신용식, 박 철, 양성렬, 이영준, 2006. 아산만 식물플랑크톤 크기구조의 시공간적 변동.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4: 7-18 

  12. 황학진, 최중기, 1993. 황해 중동부 해역 동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분포 특성. 환국해양학회지, 28: 24-34 

  13. Anon, 1977. Study on plankton in China Seas. In Anon (ed.), Scientific Reports of Comprehensive Oceanography Expedition in China Sea, Ocean Res. Off. Press Tianjun, 8: 1-159pp (in Chinese) 

  14. Boyer, J.P., R.R. Christian and D.W. Stanley. 1993. Patterns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vity in the Neuse River estuary, North Carolina, USA. Mar. Ecol. Prog. Ser., 97: 287-297 

  15. Choi, K.H. and C. Park, 1993. Seasonal fluctu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Asan Bay, Korea., J. Kor. Fish. Soc., 26: 424-437 

  16. Cloern J.E., A.E. Alpine, B.E. Cole, R.L.J. Wong, J.F. Arthur and M.D. Ball. 1983. River discharge controls phytoplankton dynamics in the northern San Francisco Bay estuary. Estur. Coast. Shelf Sci. 16: 415-429 

  17. Gunter, G., 1961. Some relations of estuarine organisms to salinity. Limnol. Oceanogr., 25: 211-241 

  18. Huang, C. and Y. Qi, 1997. The abundance cycle and influence factors on red tide phenomena of Noctiluca scintillans (Dinophyceae) in Dapeng Bay, the South China Sea. J. Plankton Res., 19: 303-318 

  19. Huang, J. and B. Chen, 1985.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planktonic copepods in the Jiulongjiang estuarine. Taiwan Strait, 4: 79-88 (in Chinese with English abstract) 

  20. Huang, J., Sh. Li. and Y. Chen, 1991. Distribution of pelagic copepods in Luoyuan Bay, Fujian. J. Oceanogr., 10: 46-51 (in Chinese) 

  21. Huang, J., Y. Hong, Ch. Zhu, and X. Chen, 1997.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Nanri Islands sea area of Fujian Province. Donghai Mar. Sci., 15: 46-53 (in Chinese with English abstract) 

  22. Jones, K.K., C. Simenstad, D.L. Higley and D.L. Bottom, 1990. Community structure, distribution and standing stock of benthos, epibentoths, and plankton in the Columbia River Estuary. Prog. Oceanog., 25: 211-241 

  23. Kuroda, K., 1978. The distribution and ecology of Noctiluca scintillans. Osaka Bay. Bull. Jpn. Soc. Fish. Ocenogr., 32: 56-67 (in Japanese) 

  24. Lee, C.R. and C. Park, 2002. Long-term variation of zooplankton composition and abundance in Asan Bay, Korea: in it influence of dyke construction?. The Yellow Sea, 8: 9-18 

  25. Lin, S. and R. Chen, 1997. Distribution of planktonic copepods in Dongshan Bay, Fujian province. Mar. Sci. Bull., 11: 41-46 (in Chinese with English abstract) 

  26. Lin, J., X. Wang and R. Chen, 1997. Distribution of planktonic copepods in Sansha Bay, Fujian. Mar. Sci. Bull., 16: 13-19 (in Chinese with English abstract) 

  27. Malone, T.C., L.H. Crocker, S.E. Pike and B.W. Wendler. 1988. Influences of river flow on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production in a partially stratified estuary. Mar. Ecol. Prog. Ser., 48: 235-249 

  28. Miyaguchi, H., T. Fujiki, T. Kikughi, V.S. Kuwahara and T. Toda, 2006. Relationship between the bloom of Noctiluca scintillan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oastal waters of Sagami Bay, Japan. J. Plankton Res., 28: 313-324 

  29. Morton, B. and R.P. Twentyman, 1971. The occurrence and toxicity of a red tide caused by Noctiluca scintillans (Macartney) Ehrenb., in the coastal waters of Hong Kong. Environ. Res., 4: 544-557 

  30. Park C., 1997. Seasonal distribution, eggs production and feeding by Marine copepod Calanus sinicus in Asan Bay, Korea. J. Oceanol. Soc. Korea., 32: 85-92 

  31. Park C., K. H. Choi and C. H. Moon, 1991.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Asan Bay, Korea with Comments on vertical migration. Bull. Korean Fish. Soc., 24: 472-482 

  32. Park C., P. G. Lee and C. R. Lee, 1998. Seasonal variation on abundance, species occurrence and species diversity of zooplankton in Asan Bay, the Yellow Sea over the last eight years. The Yellow Sea, 4: 40-48 

  33. Parsons, T.R., Y. Maita and C.M. Lalli,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Oxford, 173pp 

  34. Soh, H. Y. and H. G. Jeong, 2003.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genus Acartia (Copepoda: Calanoid)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1: 422-427 

  35. Tada, K., S. Pithakpol and S. Montani, 2004. Seasonal variation in the abundance of Noctiluca scintillans in the Seto Inland Sea, Japan. Plank. Biol. Ecol., 51: 7-14 

  36. Wang, R., T. Zuo and K. Wang, 2003. The Yellow Sea Cold Bottom Water-an oversummering site for Calanus sinicus (Copepoda, Crustacea). J. Plankton Res., 25: 169-1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