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밥류의 종류와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1400년대${\\sim}1900$년대까지)
The Literary Investigation On Types and Cooking Method of Bap (Boiled Rice) During Joseon Dynasty($1400's{\\sim}1900'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2 no.6, 2007년, pp.721 - 741  

복혜자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선시대 (1400년대부터${\sim}$1900년대)까지 고조리서와 고문헌 50권을 위주로 밥류를 분류하여 그 종류와, 사용된 식품재료, 조리방법을 분석 고찰한 결과 전체적인 내용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밥류의 종류 밥의 종류로는 쌀만으로 조리한 밥이 1종, 찹쌀로 조리한 제밥이 1종류, 잡곡류와 견과류 등을 섞어 조리한 목맥반(메밀밥), 소맥반(밀밥), 조밥, 기장밥, 율무밥, 현미밥, 보리밥, 잡곡밥, 팥물밥, 팥밥, 콩밥, 별밥, 밤밥 등이 13종류이었다. 야채류와 꽃, 과일류 등과 약초, 한약재료를 함께 섞어 조리한 밥은 청전반, 오반, 복숭아밥, 검은색밥, 황국감초밥, 연근밥, 옥정밥, 고구마밥, 두부밥, 삼씨밥, 도라지밥, 감자밥, 송이밥, 죽실밥 등 12종류 이었다. 조류, 육류, 어패류, 우유를 재료로 섞어 한그릇용으로 조리한 밥은 황탕, 개장국밥, 장국밥, 굴밥, 김치밥, 추사반, 비빔밥 등 7종류로 분석한 밥의 종류는 총 34종류이었다. 2) 조선시대 밥류의 취급율 변화추이 밥류 취급율은 1500년대 18.5%(17종)으로 가장 높았고, 1600년대 9.7%(11종), 1700년대 6.6%(4종)으로 급격히 감소하다가 1800년대 18.5%(17종), 1900년대 15.4%(16종)으로 다소 증가하였다. 2. 밥류에 사용된 식품재료 밥류에 사용된 식품재료로 잡곡류는 23종류, 견과류는 5종류, 육류는 11종류가 사용되었고 생선류는 6종류, 채소류는 35종류이며 과일류는 2종류로 배와 복숭아를 사용하였다. 밥이기 때문인지 마늘은 사용되지 않았다. 3. 밥류의 조리방법 쌀밥은 물을 먼저 펄펄 끓인 후 쌀을 넣어 조리하였고, 잡곡류는 낱알이 큰 것을 부수거나 물에 침지하였으며, 견과류, 서류, 구근류, 과일 등도 잘게 썰어 사용하였다. 치료식으로 한약재료는 물에 우리거나 삶았고, 육류는 푹삶아 육수에 밥을 하였다. 비빔밥은 되게 밥을 조리하여 나물과 밥을 일부 비빈후에 웃기로 얹었다. (1) 쌀밥은 물을 먼저 끓이다 쌀을 넣고 펄펄 끓여 된밥으로 조리하였다. 육수에 쌀을 넣고 밥을 조리하기도 하였으며, 찰밥은 제사밥으로 시루에 조리하였다. (2) 잡곡밥은 메밀, 보리, 율무 등을 사용하여 물에 곡식알이 큰것(콩)부터 미리 담가 삶거나 잘게 부숴 조리하였다. 팥등은 미리 삶거나 두쪽으로 조개 솥밑바닥에 깔았으며 대추나 밤은 세쪽으로 자른 후 물을 많이 붓고 기타재료를 섞어 밥을 하였다. 3) 국밥등은 말린국화 황국을 우려내 쌀을 넣고 밥을 조리하였으며, 국밥은 고기류와 뼈등을 푹삶아 육수에 밥을 말아 고기와 나물로 웃기를 얹었다. 굴밥등은 밥이 반쯤 익으면 재료를 미리 볶거나 씻어 넣고 조리하였다. 4) 비빔밥은 먼저 쌀로 밥을 되직하게 조리한 후 나물을 미리 밥과 슬쩍 비비다가 밥위에 나물과 웃기, 고명을 얹고 고추가루를 뿌렸다. 5) 남촉잎 등은 삶아 냉각후 쌀로 밥을 조리하였으며, 남촉줄기와 잎은 찧어 즙내 쌀로 밥을 조리하였다. 복숭아 연근 고구마는 잘게 썰어 쌀이 반쯤 익으면 함께 넣고 도라지는 물에 우려 푹 삶았고, 감자, 송이 등은 잘게 썰어 쌀과 함께 밥을 조리하였다. 4. 약선 음식조리방법 약선음식의 재료는 평상시 식생활에 사용되고 있던 식품들의 기능성분과 약이성을 이용하여 만성적인 질병과 급성적인 복통 설사 등에 재료의 전처리를 통해 죽으로 많이 이용하였다. 특히 곡류 등은 갈아 수비하여 이용하였으며, 동물성식품재료를 이용 할 때에는 재료를 만화(중간불)로 오랫동안 끓여 된장이나 향신료 등을 함께 사용해 먹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1. For the types of boiled rice, there were 1 type of bap, 1 type of jebap cooked with glutinous rice, 13 types of boiled rice cooked by mixing grains and nuts such as daemakban, somakban, jobap, cheongryangmiban, jobap, gijangbap, yulmubap, hyeonmibap, boribap and patmulbap as well as patbap, congb...

주제어

참고문헌 (104)

  1. 강인희. 1979a. 한국식생활사. 삼영사. pp28-125 

  2. 강인희. 1979b. 한국식생활사. 삼영사. pp28-125 

  3. 강인희. 1979c. 한국식생활사. 삼영사. pp28-125 

  4. 강인희. 1984. 한국식생활풍속. 삼영사. pp205-213 

  5. 김매순. 1819. 렬양세시기(測陽歲時記) 

  6. 김혜영. 조영. 2007. 식생활과 문화,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7. 경북대학교역. 2003. 안동장씨, 음식디미방,1670 

  8. 농촌진흥청 번역. 1766. 유중림, 중보산림경제 增補山林經濟 

  9. 농촌진흥청 번역. 2003. 가사협,550년, 제민요술 

  10. 농촌진흥청 번역. 2003. 전순의,1450,산가요록(山家要錄) 

  11. 농촌진흥청 번역. 2004. 전순의,1460,식료찬요(食爆幕要) 

  12. 담양 향토 문화연구회 번엮. 1992. 유희춘, 미암일기 嚴日記 1권-5권 

  13. 민족문화추진회 번역. 2003. 허균, 도문대작(展門大嘴)성소부 고 제26권 

  14. 민족문화추진회 번역. 1997. 성현,1500,용재총화,솔출판사 

  15. 방신영. 1917. 만가필비 朝蘇料理製法 

  16. 방신영. 1938. 主編의동무 朝蘇料理製法 

  17. 방신영. 1954. 우리나라 음식만드는법 

  18. 빙허각이씨. 1815. 규합총서(聞開輩書) 

  19. 빙허각이씨. 1815. 술방문 고대규합총서 

  20. 빙허각이씨. 1915. 부인필지(歸A必知) 

  21. 백두현엮. 2003. 현풍 곽씨 언간,태학사 

  22. 샤를바라. 2006. 조선기행,성귀수 옮김,눈빛 

  23. 서유구. 1840. 임원십육지 林園十六志 규장각본 

  24. 손락범 엮. 1800년. 흥부전(興夫傳)문헌사 

  25. 송찬섭,홍순권. 2006. 한국사의 이해,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6. 수원시역주. 2005. 원행을묘정리의궤 園行乙卯整理義軌) 

  27. 안덕균. 2003. (한국본초학도감韓國本草圖鐵),교문사 

  28. 이민수엮. 1990. 오휘문, 쇄미록상하 

  29. 이석호. 1800. 유득공, 경도잡지 京都雜志,동문선문예선신서 

  30. 유영상. 1986a. 조리과학,수학사pp132 

  31. 유영상. 1986b. 조리과학,수학사pp130 

  32. 유영상. 1986c. 조리과학,수학사 pp135-136 

  33. 유영상. 1986d. 조리과학,수학사pp134 

  34. 윤서석. 1974. 한국식품사연구,신광출판사 

  35. 윤숙경편역. 1998. 김수, 수운잡방(需雲雜方),1530,신광출판사. pp93, pp153 

  36. 이석만. 1934. 간편 조선 요리제법 

  37. 이석만. 1935. 신 영양요리법 新榮養料理法 

  38. 이석호. 1991. 조선세시기 朝蘇歲時記 

  39. 이성우. 1998. 한국식경대전(韓國食經大典) 교문사 

  40. 이용기. 1920.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蘇無雙新式料理製法) 

  41. 이민수 엮. 2002. 이제마, 동의수세보원,을유문화사 

  42. 이춘녕. 1989a. 한국 농학사,민음사 

  43. 이춘녕. 1989b. 한국 농학사,민음사 

  44. 이해준,송찬섭,전경목,정연식,정승모. 2006a. 전통사회와 생활문화,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45. 이해준,송찬섭,전경목,정연식,정승모. 2006b. 전통사회와 생활문화,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46. 정연식. 2001. 조선시대의 끼니, 한국사연구회 112호 

  47. 정연식. 1997a. 조선후기 주식에 관한 시론,인문논총 4호,서울여자대학교,322-346p 

  48. 정연식. 1997b. 조선후기 주식에 관한 시론,인문논총 4호,서울여자대학교,322-346p 

  49. 정연식. 1997c. 조선후기 주식에 관한 시론,인문논총 4호,서울여자대학교,322-346p 

  50. 조리과학회. 2003. 조리과학 용어사전,교문사 

  51. 조리과학회. 2003. 조리용어 사전,교문사 

  52. 조영. 김영아. 2006. 조리원리,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53. 조자호. 1938. 조선요리법(朝蘇料理法) 

  54. 찬자미상 증보구황촬요 

  55. 찬자미상. 1700년대. 술 만드는 법 

  56. 찬자미상. 1880. 술빚는법 

  57. 찬자미상. 1854. 시의전서(是議全書) 

  58. 찬자미상. 1660. 신간구황촬요(新刊救훈據要) 

  59. 찬자미상. 1854. 연대규곤요람 

  60. 찬자미상. 1685,요록(燒綠) 

  61. 찬자미상. 1854. 윤씨음식법 

  62. 찬자미상. 1860. 음식방문 

  63. 찬자미상. 1790. 음식보 

  64. 찬자미상. 1890. 이씨음식법 

  65. 찬자미상. 1856. 정일당잡식 

  66. 찬자미상. 1850. 주방(酒方) 

  67. 최준식. 2004. 한국인에게 밥은 무엇인가,휴머니스트 

  68. 최창록. 2003a. 허준, 동의보감(東醫寶鍵),1611(3권),푸른사상 pp93 

  69. 최창록. 2003b. 허준, 동의보감(東醫寶鍵),1611(3권),푸른사상 pp88 

  70. 최창록. 2003c. 허준, 동의보감(東醫寶鍵),1611(3권),푸른사상 pp99 

  71. 최창록. 2003d. 허준, 동의보감(東醫寶鍵),1611(3권),푸른사상 pp87 

  72. 최창록. 2003e. 허준, 동의보감(東醫寶鍵),1611(3권),푸른사상 pp231 

  73. 최창록. 2003f. 허준, 동의보감(東醫寶鍵),1611(3권),푸른사상 pp262 

  74. 한글학회. 1992. 우리말 큰사전, 옛말과 이두, 어문각 

  75. 한용봉. 2006. 사용식물 I (성분과 생리활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76. 한용봉. 2006. 사용식물 II (성분과 생리활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77. 홍만선. 1718. 산림경제 山林經濟 

  78. 홍석모. 1849. 동국세시기 東國歲時記 

  79. Ahn MS. 1992a. The Culture of Bab(Boiled Rice) and Juk(Gruel), KOREAN J. DIETARY CULTURE, 7(2):95-202p 

  80. Ahn MS. 1992b. The Culture of Bab(Boiled Rice) and Juk(Gruel), KOREAN J. DIETARY CULTURE, 7(2):95-202p 

  81. Han BJi. 1996. The Historical Study of Korean Traditional Functional Food, JOURNAL OF THE EAST ASIAN OF DIETARY LIFE, 6(2):235-255p 

  82. Hwang HK. 1986. A Dietary Treatment for Diabetes Mellitus in Chinese Medicine, KOREAN J. DIETARY CULTURE, 1(4):311-320p 

  83. Im YS. 1986. A Study of Foods for Korean Festival Days, KOREAN J. DIETARY CULTURE, 1(4):361-370p 

  84. Kim KA, Jung LH, Jeon ER. 1995a. Effect of Cooking Condition the Eating Quality of Cooked Brown Rice, KOREAN J. SOC. FOOD SCI, 11(5):527-535 

  85. Kim KA, Jung LH, Jeon ER. 1995b. Effect of Cooking Condition the Eating Quality of Cooked Brown Rice, KOREAN J. SOC. FOOD SCI, 11(5):527-535 

  86. Kim KJ. 1985a. A Study on the Staple Food in Korea-the change of physics and chemistry of rice boiling with cereal, KOREAN J. SOC. FOOD SCI. 1(l):40-44p 

  87. Kim KJ. 1985b. A Study on the Staple Food in Korea-the change of physics and chemistry of rice boiling with cereal, KOREAN J. SOC. FOOD SCI. 1(l):40-44p 

  88. Kim GY, Lee CJ and Park HW. 1998.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terature of the Cooking Product of Grain(Rice, Gruel) in Imwonshikyukji, JOURNAL OF THE EAST ASIAN OF DIETARY LIFE, 8(4):360-378p 

  89. Kim SM, Sung WL. 1992.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Famine Relief Food of Chosun-dynasty, East Asia, JOURNAL OF THE EAST ASIAN OF DIETARY LIFE, 2(1):35-55p 

  90. Kim YS, Lee GJ. 2006a. A Survey on the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Degree of the Cooked Rice Mixed with MultiGrain in Seoul Kyeonggi and Kangwon Area, KOREAN J. DIETARY CULTURE, 21(6):661-669p 

  91. Kim YS, Lee GJ. 2006b. A Survey on the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Degree of the Cooked Rice Mixed with MultiGrain in Seoul Kyeonggi and Kangwon Area, KOREAN J. DIETARY CULTURE, 21(6):661-669p 

  92. Kim JD. 2004. A Reserch on the Classification of Constitutional Food based o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CM). Doctorate thesis. Dep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pp54 

  93. Kim TH. 1989. A Study on Korean Dog Meat Cooking(I)-Bibliographical Study, KOREAN J. DIETARY CULTURE, 4(4) 

  94. Kim HS, Kim SH. 1987a. Socio-economic Approach to the Chronic State of Famine and Exploitation of Famine Relief Food in the Later Half of Chosun Period, KOREAN J. DIETARY CULTURE, 2(1):81-92p 

  95. Kim HS, Kim SH. 1987b. Socio-economic Approach to the Chronic State of Famine and Exploitation of Famine Relief Food in the Later Half of Chosun Period, KOREAN J. DIETARY CULTURE, 2(1):81-92p 

  96. Kim HS, Kim SH. 1987c. Socio-economic Approach to the Chronic State of Famine and Exploitation of Famine Relief Food in the Later Half of Chosun Period, KOREAN J. DIETARY CULTURE, 2(l):81-92p 

  97. Lee GJ. 2001. A Study on Traditional Daily Food in Seoul, Comparative Folklore N020:233-250p 

  98. Lee GJ. 2001. A Study on the Traditional Ceremonial Food in Seoul,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Folklore(9):732p 

  99. Lee KS, Sun HC. 1990. A Study on the Actual Utilization Korean Traditional Remedies-About foods used on Geriatric disease, KOREAN J. DIETARY CULTURE, 5(3):331-345p 

  100. Oh HS, Kim JH, and Lee MH. 2003. Isoflavone Contents, Antioxidative and Fibrinolytic Activities of Red Bean and Mung Bea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3):263-270p 

  101. Rhee HE, Chang PK. 1970. Servery study on the quantity cookery of steamed ric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8(1):93-99p 

  102. Soh HS, Lee SP, and Ha YD. 2002a. Total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etaria italica, Panicum miliaceum and Sorghum bicolo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2):123-128p 

  103. Soh HS, Lee SP, and Ha YD. 2002b. Total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etaria italica, Panicum miliaceum and Sorghum bicolo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2):123-128p 

  104. Yoon SJ, Choi EH. 2005. A Survery on the Perception of Housewives in Seoul Area toward Korean Traditional Holiday Foods, KOREAN J. FOOD CULTURE, 20(2):152-1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