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진강.영산강 수계 주요 호소의 식물플랑크톤 크기구조 및 일차생산력

Size-structure and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from Major Lakes in Sumjin and Yeongsan Watershed

한국육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0 no.3, 2007년, pp.419 - 430  

이향화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  신용식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  양성렬 (광주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장남익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김동호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암호, 동복호, 영산호 세 호소의 이화학적 인자, 식물플랑크톤 생체량(Chl ${\alpha}$) 및 일차생산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4년 4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총 8회에 걸쳐 계절별로 실시하였다. 소형식물플랑크톤이 우점(>60%)한 동복호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은 상류에서 2004년 4월에 높았지만 하류에서는 2004년 6월에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주암호에서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이 높았던 2004련 4월에 미소형식물플랑크톤의 기여율이 높았다. 영산호는 8월 (2004, 2005)에 높은 생체량을 보였는데 이 시기 미소형식물플랑크톤의 기여율이 높았다. 일차생산력은 동복호, 영산호, 주암호 순으로 높게 분포되었다. 단순 회귀 분석결과, 동복호에서 젠체식물플랑크톤, 소형식물플랑크톤과 일차생산력은 투명도와 상관성을 보였다. 주암호에서는 하류에서 크기별 식물플랑크톤과 $PO_4^{3-}$가 상관성을 보였고 일차생산력은 수온, TN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영산호 상, 하류에서 식물플랑크톤은 TN/TP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고 일차생산력은 상류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하류에서는 탁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주암호와 동복호는 기타 환경 인자와의 단순회귀분석결과로부터 인과 질소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영산호는 부유물질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고 하류의 높은 일차생산력으로 보아 식물플랑크톤의 내부생산 기여율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를 통한 저감방안 마련도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ochemical factors, phytoplankton biomass (Chl ${\alpha}$) and primary productivity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in the three lakes of Dongbok, Juam, and Yeongsan during April 2004${\sim}$March 2006. Microphytoplankton dominated (>60%) in Dongbok lake, and phytoplankton b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5; Sin and Kim, 2003). 따라서 본 연구는 섬진강 . 영산강 수계의 주요호소인 주암호 동복호 영산호의 크기구조를 고려 한 식 물플랑크톤군집 과 일차생 산력 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및 수질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주암호 동복호 영산호 세 호소의 이화 학적 인자, 식물플랑크톤 생 체 량(Chi a) 및 일차생산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4년 4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총 8회에 걸쳐 계절별로 실시하였다. 소형식물플랑크톤이 우점 (>60%)한 동복호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은 상류에서 2004년 4월에 높았지만 하류에서는 2004년 6월에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섬진강 . 영산강 수계의 주요호소인 주암호 동복호 영산호의 크기구조를 고려 한 식 물플랑크톤군집 과 일차생 산력 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및 수질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범철, 박주현, 허우명, 임병진, 황길순, 최광순, 최종수. 2001. 국내 주요 호수의 육수학적 조사(4): 주암호, 육수지 24: 30-44 

  2. 김용석, 최희락, 윤주헌, 허인애, 장남익. 2003. 주암호 오염물질 거동에 관한 연구,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춘계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p.457-460 

  3. 박종규, 허성회, 정해진. 2001. 진해만의 식물플랑크톤:I. 광 환경에 따른 광합성 특성과 일차 생산력, 한국조류학회지 16: 189-196 

  4. 윤석태, 고영구, 오강호, 문병찬, 김해경. 2003. 영산강 하류권역 하천수의 수질 평가, 환경영향평가 12: 259-270 

  5. 이대행, 조영관, 이정진. 2000. 동복호 퇴적물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수도협회 공동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307-310 

  6. 이상현. 2006. 섬진강.영산강 수계의 영양상태와 제한영양염 평가, 석사학위논문 p.58-69 

  7. 이상현, 신용식, 장남익, 김종민, 김현구, 조영관, 정 진. 2006. 섬진강.영산강 수계 주요 호소의 수질 동향과 영양상태 조사, 육수지 39: 296-309 

  8. 차진명, 신성의, 차규석. 1999. 영산강 수계의 비점오염원에 관한 연구 I-토지이용 및 강우를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 8: 41-49 

  9. Caraco, N.F., J.J. Cole, P.A. Raymond, D.L. Strayer, M.L. Pace, S.E.G. Findlay and D.T. Fisher. 1997. Zebra mussel invasion in a large, turbid river: Phytoplankton reponse to increased grazing. Ecology 78: 588-602 

  10. Chisholm, S.W. 1992. Phytoplankon size. In: Primary productivity and Biogeochemical cycles in the Sea (Fal-kowski, P.G. and A.D. Woodhead eds.). Plenum Press, New York, p. 2133-2237 

  11. Epply, R.W. 1972. Temperature and phytoplankton growth in the sea. Fish Bull. 70: 1063-1085 

  12. Gieskes, W.W.C. and G.W. Kraay. 1986. Floristic and phy-su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shallow and the deep nanoplankton community in the euphotic zone of the open trophical Atlantic revealedby HPLC analysis of pigments. Mar. Biol. 91: 567-676 

  13. Glibert, P.M., C.A. Miller, C. Garside, M.R. Roman and G.B. McManus. 1992. $NH_4^+$ regeneration and grazing: Interdependent processes in size-fractionated $^{15}NH_4^+$ experiments. Mar. Ecol. Prog. Ser. 82: 65-74 

  14. Hein, M., M.F. Pedersen and K. Sand-Jensen. 1995. Size-dependent nitrogen uptake in micro- and macroalgae. Mar. Ecol. Prog. Ser. 118: 247-253 

  15. Hyun, N.K., G.S. Hwang, B.C. Kim and K. Kim. 2001.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at the Eutrophic down Reach of regulated river (the Han River, Korea). Kor. J. Limnol. 34: 267-276 

  16. Iriarte, A. and D.A. Purdie. 1994. Size distribution of chlorophyll a biomass and primary production in a temperate estuary (Southampton water): The contribution of photosynthetic picoplankton. Mar. Ecol. Prog. Ser. 115: 283-297 

  17. Jeon, S.I and K.J. Cho. 2004.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in the shallow and hypertrophic river (Seonakdong River). Kor. J. Limnol. 37: 56-63 

  18. Joint, R. and A.J. Pomory. 1986.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nanoplankton and picoplankton from the surface mixed layer. Marine Biology 92: 465-474 

  19. Kivi, K., S. Kaitala, H. Kuosa, J. Kuparinen, E. Leskinen, R. Lignell, B. Marcussen and T. Tamminen. 1993. Nureient limitation and grazing control of the Baltic plankton community during annual succession. Limnol. Oceanogr. 38: 893-905 

  20. Kirk, J.T.O. 1994. Light and photosynthesis in aquatic ecosystem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Oviatt, C.A., P. Lane, F. French III and P. Donaghay. 1989. Phytoplankton species and abundance in response to eutrophication in costal marine mesocosms. J. Planton Res. 11: 1223-1244 

  22. Parsons, T.R., Y. Maita and C.M. Lalli.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New York, p. 22-25 

  23. Sin, Y., R.L. Wetzel and I.C. Anderson. 1999.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nutrite and phytoplankton dynamics in the York River, Virginia: analysis of long-data. Estuaries 22: 260-275 

  24. Sin, Y., R.L. Wetzel and I.C. Anderson. 2000. Seasonal variations of size fractionated phytoplankton along the salinity gradient in the York River estuary, Virginia (USA). J. Plankton Res. 22: 1945-1960 

  25. Sin, Y.S. and J.M. Kim. 2003. Relative important of bottom -up vs. top-down controls on size-structured phytoplankton dynamics in a freshwater ecosystem: I.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size structured. Kor. J. Limnol. 36: 403-412 

  26. Takahashi, M. and P.K. Bienfang. 1983. Size structure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photosynthesis in subtropical Hawaiian waters. Mar. Biol. 76: 203-211 

  27. Walsh, J.J. 1976. Herbivory as a factor in patterns of nutrient utilization in the sea. Limnol. Oceanogr. 21: 1-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