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삼과 홍삼농축액 중 유기인계와 유기염소계 농약의 잔류
Residue of Organophosphoru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Fresh Ginseng and Red Ginseng Extract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26 no.4, 2007년, pp.337 - 342  

김정호 (대구한의대학교 소방방재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경북의 풍기와 상주에 있는 인삼재배포장에서 직접 시료를 채취하고, 이를 이용한 홍삼농축액제품을 제조하였다. 수삼과 홍삼농축액 중 유기인계와 유기염소계 농약을 GC-NPD와 GC-ECD로 각각 정량분석 하였으며 GC-MSD로 정성분석을 실시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이 2007년 1월1일부터 시행한 농약잔류허용기준에 따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풍기 수삼에서 유기인계 농약은diazinon을 비롯한pyrimethanil, tolclofos-methyl, metalaxyl, diethofencarb, parathion, cyprodinil, tolylfluanid와 kresoxim-methyl이 모두 불검출 되었다. 그러나 상주 수삼에서는 tolclofos- methyl이 평균 $0.054{\pm}0.008\;mg/kg$ 검출되어 수삼의 농약잔류허용기준 0.3mg/kg의 $18{\pm}2%$ 수준이었다. 풍기와 상주 수삼에서 유기염소계 농약은 BHC, DDT의 이성질체와 aldrin, azoxystrobin, captan, cypermethrin, deltamethrin, dieldrin, difenoconazole, endosulfan-sulfate, endrin, fenhexamid, quintozene,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도 검출 되지 않았다. 한편 풍기와 영주의 인삼으로 제조한 홍삼농축액 중에도 유기인계와 유기염소계 농약은 모두 검출 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obtain the data on the risk assessment of residue levels of organophosphoru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fresh ginseng and red ginseng extract, the residual pesticides in samples are surveyed with GC-NPD and GC-ECD for quantitative analysis and GC-MSD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residual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후 농약잔류허용기 준에 대해서 식품의 약품안전청고시 2004-18호, 2005-62호를 추가 고시하여 인삼 제품(건조제품, 농축액포함)에 대해서 27종의 농약에 대한 기준 및 규격이 설정되었다.1) 여기서는 건삼을 기준(100%)으로 수삼에 25%, 인삼농축액(홍삼농축액 포함)에 200%로 일률적으로 적용하였다. 그러나 인삼재배 농가에는 지나치게 낮은 기준이므로 안정적인 수삼의 생산이 어렵고 상대적으로 인삼 제품(건삼, 홍삼, 인삼농축액 및 홍삼농축액)에는 높은 기준이 적용되어 안전성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 722분에 각각 peak가 나타났다. 23.879분과 24.722분에 나타난 peak 가 불순물인지 tolclofos-methyl 과 parathion의 peak 인지 여부를 GC-MSD로 확인 하였다. Tolclofos-methyl (IUPAC: O-2, 6-dichloro-p-tolyl O, O-dimethyl phosphorothioate) 은 분자식이 C9H1Q2O3PS이며 분자량이 301.
  • 제조하였다. 그리고 수삼과 홍삼농축액 중 유기인계와 유기염소계 농약의 잔류량을 조사하여 2007년 1월 1일부터 시행 된 식품의약품안전청의 농약잔류허용기 준에 따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 하였다. 여기서 농약과 동일한 유지시간을 가지는 peak에 대해서는 GC-MSD로 확인과정을 거쳐서 정성분석을 실시하였다.12, 13) 분석기기로 GC-NPD 및 GC-ECD는 Agilent사의 6890 모델을 사용하였고, GC-MSD는 5973N/DC6890 모델을 사용하였다.
  • 다시 cartridge가 용매에 젖어 있는 상태에서 acetone : n-hexane(2:8, v/v) 용매 10 mL로 용출하여 동일한 시험관에 모았다. 용출액을 40C 항온 수조 중에서 질소를 낮은 유속으로 통과시키면서 용매를 날려 보낸 후 acetone : n-hexane (2:8, v/v) 용매 2 mL에 녹여 이를 GC-NPD와 GC-ECD 분석용액으로 하였다.10, 11)
  • 0 ㎎/㎏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DDT를 포함한 28가지 농약에 대해 수삼, 건삼, 홍삼, 인삼 농축액 및 홍삼 농축액을 각각 다르게 설정하였다.1)
  • 정용된 시료를 각각 1 mL씩 autosampler vial에 나누어 담은 후 GC-NPD와 GC-ECD로 각각 정량분석 하였다. 여기서 농약과 동일한 유지시간을 가지는 peak에 대해서는 GC-MSD로 확인과정을 거쳐서 정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여기서 농약과 동일한 유지시간을 가지는 peak에 대해서는 GC-MSD로 확인과정을 거쳐서 정성분석을 실시하였다.12, 13) 분석기기로 GC-NPD 및 GC-ECD는 Agilent사의 6890 모델을 사용하였고, GC-MSD는 5973N/DC6890 모델을 사용하였다.
  • 80C 에서 5분간 머물다가 10 C /min로 증가시켜 280C에서 30분간 머물도록 하여 총 55분 동안 분석하였다. Columne DB-5 (30 m, L. x 250 ㎛ I. D., 0.25 ㎛ d)를 사용하였다. Column flow는 질소를 2.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북의 풍기와 상주에 있는 인삼재배 포장에서 직접 시료를 채취하고, 이를 이용한 홍삼농축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수삼과 홍삼농축액 중 유기인계와 유기염소계 농약의 잔류량을 조사하여 2007년 1월 1일부터 시행 된 식품의약품안전청의 농약잔류허용기 준에 따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 시험포장은 경상북도 북부지역 인삼의 주생산지인 풍기 와대조 구로 최근 인삼 대체 재배지역으로 확대되고 있는 지역 중에서 상주지역을 선정하였다. 풍기 포장은 논이었던 곳이며 상주포장은 5%의 경사가 있는 과수원이었던 곳으로 4년근 인삼포장을 선택하였다.
  • 인삼의 재배과정에서 수삼 중 잔류 농약을 분석하기 위해 분석시료 채취는 2004년 5월에 실시하였다. 인삼 가공품은 2004년 10월에 인삼을 채취하여 경산에 소재하는 인삼 가공회사에서 홍삼농축액(홍삼정)을 제조하였다.
  • 풍기 포장은 논이었던 곳이며 상주포장은 5%의 경사가 있는 과수원이었던 곳으로 4년근 인삼포장을 선택하였다. 인삼의 재배과정에서 수삼 중 잔류 농약을 분석하기 위해 분석시료 채취는 2004년 5월에 실시하였다. 인삼 가공품은 2004년 10월에 인삼을 채취하여 경산에 소재하는 인삼 가공회사에서 홍삼농축액(홍삼정)을 제조하였다.
  • 상주지역을 선정하였다. 풍기 포장은 논이었던 곳이며 상주포장은 5%의 경사가 있는 과수원이었던 곳으로 4년근 인삼포장을 선택하였다. 인삼의 재배과정에서 수삼 중 잔류 농약을 분석하기 위해 분석시료 채취는 2004년 5월에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 인삼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은 보건복지부 고시 제1995-45 호(1995년)에 의거 인삼(건조품)의 농약잔류 허용기준을 설정하였다. 이후 농약잔류허용기 준에 대해서 식품의 약품안전청고시 2004-18호, 2005-62호를 추가 고시하여 인삼 제품(건조제품, 농축액포함)에 대해서 27종의 농약에 대한 기준 및 규격이 설정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FDA (2007) http://www.kfda.go.kr 

  2. Oh, B.-Y. (2000)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 for food safety and environment protection, Korean J. Pesti. Sci. 4(4), 1-11 

  3. Lee, S.-R, Lee, H.-K. and Hur, J.-H. (1996) Information resources for the establishment of tolerance standards on pesticide residues in soils, Korean J. Environ. Agric. 15(1), 128-144 

  4. Lee, S.-R. (1993) Food contamination and risk assessment, J. Environ. Agric. 12(3), 325-333 

  5. Park, M.-K. and Kim, J.-H. (2005) Multi-analysis of the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ginseng at gyeongbuk, Korea, J. Environ. Sci. 14(2), 193-199 

  6. Lee, S.-H., Kim, H.-S., Kim, Y.-M., Kim, W.-S., Won, Y.-J., Chae, G.-Y., Kim, O.-H., Park, H.-J. and Jeong, S.-W. (2006)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herbal medicines, Korea, J. Environ. Sci. 15(8), 811-817 

  7. Kim, J.-H. (2004) Residues of the organochlorine pesticides and heavy metal in culture environment of ginseng on sangju, J. Environ. Toxicol. 19(2), 183-189 

  8. Sin, Y.-M., Lee, S.-H., Son, Y.-U., Jeong, J.-Y., Jeoung, S.-W., Park, H.-J., Kim, S.-H., Won, Y.-J., Lee, C.-H., Kim, W.-S., Hong, M.-K. and Chae, K.-R. (2006) Development of simultaneous analysis for the multi-residual pesticides in the ginseng extract using gas chromatography, J. Environ. Sci. 15(1), 85-94 

  9. Jeon, J.-S., Kwon, M.-J., O, S.-H., Nam, H.-J., Kim, H.-Y., Go, J.-M. and Kim, Y.-H. (2006) A survey on the pesticide residues on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markets in incheon area from 2003 to 2005, Korean J. Environ. Agric. 25(2), 180-189 

  10. US. FDA (1994) Pesticide Analytical Manual Vol. 1 : Multiresidue Methods, 3rd. ed., R.O.W Science, Inc 

  11. Kim, J.-H. (2007) Heavy metals and pesticides with maturing process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J. Environ. Toxicol. 22(3), 255-261 

  12. AOAC (197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2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3. Araoud, M., Douki, W., Rhim, A., Najjar, M.F. and Gazzah, N. (2007) Multiresidue analysis of pesticides in fruits and vegetable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Environ. Sci. Health Part B 42, 179-187 

  14. Tomlin, C (2002) Pesticide Manual. British Crop Protection Publications 

  15. Seoul (2007) http://sihe.seoul.go.kr 

  16. Park, C.-K. and Ma, Y.-S. (1982)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 in agricultural soil-1981, Korean J. Environ. Agric. 1(1), 1-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