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리 종자의 α-아밀라아제 활성에 미치는 Dimethipin의 영향
Effects of Dimethipin on α-amylase Activity of Barley Seeds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16 no.4, 2007년, pp.409 - 414  

이준상 (충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s of dimethipin on ${\alpha}$-amylase activity of barley seeds were investigated. In the treatments of $1{\mu}M\;and\;10{\mu}M$ dimethipin, the indexes of germination were reduced to 17% and 24 % respectively. After seed germination, dimethipin was added to germinated s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imethipin에 의한 발아 및 생장 억제는 보리 종자 발아와 초기 유식물의 생장을 돕는 신호전달체계를 맡고 있는 지베렐린 (GAG과 a-아밀라아제 활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dimethipin이 a-아밀라아제와 지베렐린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발아의 억제는 생장에 필수적인 기본적인 화학적 대사가 저해된다는 것의 의미한다. 따라서 dimethipin이 보리유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보리 종자의 발아율과 유사하게 dimethipin 처리는 보리유 식물의 생장을 억제되었다.
  • 스트레스 호르몬인 앱시스산은 지베렐린에 의해 합성과 분비의 촉진을 억제시키는것으로 알려졌다⑸ 앱시스산은 전형적인 생장 억제 호르몬이다. 따라서, 호르몬이 아니면서 노화와 관련된 dimethipin이 발아, 생장, a-아밀라아제 활성 및 기타 수용성 단백질 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 인위적인 필요에 따라 발아율의 조절이 필요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실험에서는 dimethipiri이 발아, 생장, a-아밀라아제 활성 및 기타 수용성 단백질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um과 10 uM di-m或hipin 처리는 발아지수를 각각 17%와 24% 감소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Taiz L, Zeiger E, 2003, Plant physiology, Th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 California USA 690pp 

  2. Ames R. B., Blem A. R., Pryzbylek J. M., Walz A. W., Jaction D, 1982, Dirnethipin: A unique plant maturity regulator for rice and sunflower, Proc. Crop Protection Cof., 2, 563-568 

  3. Morgan P. W., 1984, Is ethylene the natural regulator of abscission? In: Ethylene: Biochemical, Physiological and Applied Aspects. Fuchs Y. and E. Chaluitz (ED), Martinus Nijhoff, Hague, 231-140pp 

  4. Zacarius L., Reid M. S., 1990, Role of growth regulators in the scenscence of Arabidopsis thaliana leaves, Physiol. Plant, 80, 549-554 

  5. Burg S. P., Burg E. A, 1965, Relationship between ethylene production in apples, Proc. Natl. Acad. Sci. USA 45, 335-344 

  6. Keng J. P., Metzer J. D., 1984, Modification of -dirnethipin action by light, Plant Growth Regul., 3, 141-156 

  7. Hoagland R. E., 1984, Dimethipin effects on soybean seedings growth and metabolism, Plant Cell Physiol., 25(3), 397-405 

  8. Varner J. E., Chandra G. R., 1964, Hormonal control of enzyme synthesis in barley endosperm, proc. Natl. Acad. Sci. USA, 52, 100-106 

  9. Perata P., Matsukura C., Vernieri P., Yamaguchi J, 1997, Sugar repression of a gibberellindependent signaling pathway in barley embryos, Plant Cell, 9, 2197-2208 

  10. Yokoyama R., Hirose T., Fujii N., Aspuria E. T., Kato A., Uchimiya H., 1994, The rol C promoter of Agrobacterium rhizogenes Ri plasmid is activated by sucrose in transgenic tobacco plants, Mol. Gen. Genet., 244, 15-22 

  11. Jefferson R., Goldsbrough A., Bevan M., 1990,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patatin-1 gene in potato, Plant Mol. Biol., 14, 995-1006 

  12. Loreti E., Alpi A, Perata P., 2000, glucose and disaccharide-sensing mechanisms modulate the expression of a-amylase in Barley embryos, Plant Physiol., 123, 939-948 

  13. Chen M. H., Huang L. F., Li H. M., Chen Y. R., Yu S. M., 2004, Signal peptide-dependent targeting of a rice a-amylase and cargo proteins to plastids and extracellular compartments of plant cells, Plant Physiol., 135, 1367-1377 

  14. Abeles F. B., Morgan P. W., Saltveit M. E., 1992, Ethylene in plant physiology, 2nd ed. Academic Press, Sandiago 

  15. Ritchie S., McCubbin A., Genevieve A., Kao T. H., Gilroy S., 1999, The sensitivity of barley aleurone tissue to gibberellin is heterogeneous and may be spatially determined, ?Plant Physiol., 120, 361-370 

  16. Paleg L. G., Coombe B. G., Buttrose M. S., 1962, Physiological effects of gebberellic acid, Plant Physiol., 37, 798-803 

  17. Jun B. O., Koh S. C., Kwon Y. M., 1983, Canavanine effects on the amylase activity and protein content in barley half seed, Kor. J, Bot., 26, 173-180 

  18. Lowry O. B., Rosebrough N. J., Farr A. L., Randell R. 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s, J, Biol. Chem., 113, 265-275 

  19. Higgins T. J, V., Zwar J, A., Jacobsen]. V., 1976, Gibberellic acid enhances the level of translatable mRNA for a-amylase in barley aleurone layers, Nature, 260, 166-16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