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콩 이소플라본 식품 섭취와 월경 전후기 증상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Isoflavones Intake From Soy Foods and Perimenstrual Symptom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7 no.3, 2007년, pp.276 - 285  

김혜원 (관동대학교 간호학과) ,  길진모 (호남대학교 조리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soflavones intake from soy foods and perimenstrual symptoms among women.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cross sectional study. Subjects consisted of 245 women living in Korea, aged 19-49 years. The measurement tools were MDQ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콩 식품섭취를 통한 이소플라본의 장기적인 체내 흡수 효과가 여성의 생식주기와 월경 건강에 영향을 주는 지를 탐색하여 그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고, 월경전후기 증상의 영양교육과 관리, 및 연구에 있어서 이소플라본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여 콩이소플라본 섭취가 가임기 여성의 월경기와 월경후기의 제 증상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으므로 여성건강에 대한 영양관리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가임여성의 콩 이소플라본 식품섭취와 월경 전후기증상 간의 관련성을 탐색, 조사하는 횡단적 서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콩 이소플라본 식품섭취와 월경 전후기 증상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도구는 콩 이소플라본 섭취빈도 조사지(FFQ), Moos의 월경 증상 척도(MDQ)를 이용하여 245명의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 우리나라의 가임기 여성들을 대상으로 이소플라본이 많이 함유된 콩 관련 식품의 평소 섭취수준을 살피고 월경주기에 걸쳐 경험하는 월경 전후기 증상을 조사하여 그들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 이에 우리나라 가임기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콩 식품을 통한 이소플라본 섭취와 월경전후기 증상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월경전후기 증상의 영양교육과 식이상담에서의 콩 이소플라본 식사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추후 식사로부터 섭취해야 할 이소플라본의 권장량 설정에도 유용한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ker, V. L., Leitman, D., & Jaffe, R. B. (2000).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in reproductive medicine and biology. Obstet Gynecol Surv, 55(Suppl), 21-47 

  2. Bussell, G. (1998). Premenstrual syndrome and diet. J Nutr & Environm Med, 8, 65-75 

  3. Cassidy, A., Bigham, S., & Setchell, K. D. R. (1994). Biological effects of a diet of soy protein rich in isoflavones on the menstrual cycle of premenopausal women. Am J Clini Nutr, 60, 330-340 

  4. Hallbreich, U. (2005). Algorithm for treatment of premenstrual syndromes (PMS): expert's recommendations and limitations. Gynecol Endocrinol, 20, 48-56 

  5. Hong, K. J., Park, Y. S., Kim, J. E., & Kim, H. W. (1998). Transcultural differences on perimenstrual discomforts, menstrual attitudes and sex role acceptanc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Nurs, 28(2), 233-243 

  6. Hong, K. J., Kim, H. W., & Ahn, H. Y. (2005). Menstrual discomforts and dietary habits in adolescents. J Korean Acad Child Nurs, 11(3), 330-339 

  7. Hudson, T. (2001). Soy and women's health. Female Patient, 26(12), 26-30 

  8. Hur, M. H. (1985). Study on the premenstrual symptoms and related fa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9. Jefferson, A. (2003). Dietary phytoestrogens - A role in women's health. Nutr Food Sci, 33(1), 16-22 

  10. Kenneth, D. R., Setchell, K. D. R., & Cassidy, A. (1999). Dietary isoflavones: Biological effects and relevance to human health. J Nutr, 129, 758s-767s 

  11. Kim, H. W. (2004a). Pattern of perimenstrual symptoms and related dietary factors to premenstrual syndrome. Korean J Women Health Nurs, 10(2), 162-170 

  12. Kim. H. W. (2004b). Perimenstrual symptoms of Korean women living in the USA: Applicability of the WDHD(Women's daily health diary) on prospect report. J Korean Acad Nurs, 34(8), 1395-1401 

  13. Kim, H. W., Kwon, M. K., Kim, N. S., & Reame, N. E. (2006). Intake of dietary soy isoflavons in relation to perimenstrual symptoms of Korean women living in the USA. Nurs Health Sci, 8, 108-113 

  14. Kim, J. S., & Kwon, C. S. (2001). Estimated dietary isoflavone intake of Korean population based on national nutrition survey. Nutr Res, 21, 947-953 

  15. Lee, S. J. (1989). Evidence for a relative estrogen deficiency in patients with PMS. J Reprod Fertil Abstract Series, 4(35), 20 

  16. Lee, S. K., Lee, M. J., Yoon, S., & Kwon, D. J. (2000). Estimated isoflavone intake from soy products in Korean middles aged women. J Korean Soc Food Sci, 29(5), 948-956 

  17. Lee, S. K. (200I). Study on the impact of isoflavone in hormonal profiles during the menstrual cycle and in the postmenopausal parameters in Korean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8. Lee, S. J., Bae, Y. J., Lee, S. Y., Choi, M. K., Choe, S. H., & Sung, C. J. (2005). The effects of soy isoflavone on sex hormon status and premenstrual syndrome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ition, 38(3), 203-210 

  19. Lu, L. J., Anderson, K. E., Geady, J. J., & Nagayami, M. (1996). Effects of soya consumption for one month on steroid hormones in premenopausal women: Implications foe breast cancer risk reduction.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5, 63-70 

  20. Miller, W. R. (1990). Endocrine treatment for breast cancer. Biological rationale and current progress. J Steroid Biochem, 37, 467-480 

  21. Moos, R. H. (1968). The development of a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Psychosom Med, 30. 853-876 

  22. Mortola, J. F. (1998). Premenstrual syndrome-pathophysiologic considerations. New Eng J Med, 338, 256-257 

  23. Nagata, C., Hirokawa, K., Shimizu, N., & Shimizu, H. (2004). Soy, fat, and other factors in relation to premenstrual symptoms in Japanese women. BJOG: Int J Obstet & Gynecol, 111, 594-599 

  24. Petrakis, N. L., Barnes, S., King, E. B., Lowenstein, J., Wieneke, J., Lee, M. M., Miike, R., Kirk, M., & Coward, L. (1996). Stimulatory influence of soy protein on breast secretion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5,(10), 785-794 

  25. Pitt, C. A. (1988). Premenstrual syndrome: Current assessment and management. Nurs Forum, 4, 127-133 

  26. Wang, M., Seippel, L., Purdy, R. H., & Backstrom, T. (1996).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severity and steroid variation in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Study on serum pregnenolone, pregnenolone sulfate, 5 $\alpha$ -pregnane-3, 20-dione and 3 $\alpha$ -hydroxy-5 $\alpha$ -pregnan-20-one. J Clin Endocrinol Metal, 81(3), 1076-1082 

  27. Watanabe, S., Terashima, K., Sato, Y., Arias, S., & Eboshida, A. (2000). Effects of isoflavone supplement on healthy women. Biofactors, 12, 233-2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