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활 재배지의 토양 특성과 수량
Soil Properties and Plant Yield in the Cultivation Area of Ostericum Koreanum Kit.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5 no.1, 2007년, pp.12 - 16  

허봉구 (봉화고냉지약초시험장) ,  김찬용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손성곤 (밀양여자고등학교) ,  오오진 (가톨릭상지대학)

초록

강활 주재배지인 봉화지역 밭토양의 토양 특성을 조사하고 강활재배지 토양의 특성을 분석하여 토양환경과 적정 이화학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강활의 생육상황과 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봉화지역 밭토양의 토성은 사양토와 양토가 대부분이었고 경사는 $7\sim15%$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15\sim30%$이었다. 2. 토양 배수등급별 토성 분포에 있어서는 사양토와 양토는 배수 양호가 많았으나 양토는 불량등급도 있었다. 양질조사토나 양질사토는 매우 양호 등급이었다. 3. 강활 수량은 양토와 배수등급 약간양호에서 289kg/10a으로 가장 많았는데 식양토와 배수불량등급에서 수량이 가장 적었다. 4. 강활 재배지의 토양유기물, 칼리함량, EC는 배수등급이 불량할수록 적어졌으며 그 외 함량은 배수등급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ultivated soil properties, the growth and yield of Ostericum koreanum Kit. in the Bonghwa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Bonghwa area, soil texture of upland soil were mostly sandy loam and loam. Sloped areas of $7\sim15%$ were plent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강활 주재배지인 봉화지역 밭토양의 토양 특성을 조사하고 강활재배지 토양의 특성을 분석하여 토양환경과 적정 이화학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강활의 생육상황과 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 2000) 재배면적이 적은 약초재배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연구는 강활 주재배지인 봉화지역 토양에 대한 정밀조사로서 밭토양을 특성별로 분류하고 토양특성에 따른 강활재배지 토양의 이화학성과 생육 및 수량을 비교 분석하여 재배농가의 소득증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onghwagun (2005) 45th statistical year book of Bonghwa. Bonghwa. Korea 

  2. Choi J, Son IS, Jung YT, Lee DH, Park M, Choi CL (2000) Soil characteristics and its influences on the yields and quality of red pepper in Yeongyang area, Gyeongbuk province. Kor. J. Soil Sci. Fert. 33(3):145-152 

  3. Hur BK, Kim MS (1995) Economic evaluation of crops grown under different soil improvement methods in newly-reclaim sloped land. Kor. J. Soil Sci. Fert. 28(3):256-260 

  4. Hur BK, Sim YG, Kim YH, Kim SY, Choi KB (2006) Optimum transplanting time of Ostericum koreanum Kit. Korean J. Med. Crop Sci. 14(1):41-44 

  5. Hur SO, Jung KH, Ha SK, Kwak HK, Kim JG (2005) Mathematical description of soil loss by runoff at inclined upland of maize cultivation. Kor. J. Soil Sci. Fert. 38(2):66-71 

  6. Jung KH, Sonn YK, Hong SY, Hur SO, Ha SK (2005) Assessment of national soil loss and potential erosion area using the digital detailed soil maps. Kor. J. Soil Sci. Fert. 38(2):59-65 

  7. Jung PK, Oh SJ, Lee NJ (1997). Management for soil conservation on slope upland : study for soil and nutrients loss on slope land. Research Report of Dep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RDA, Suwon, Korea 

  8. Kim IJ, Kim MJ, Nam SY, Yun T, Kim HS, Jong SK, Hong SS, Hwang BY (2006) Growth charactereristics and available component of Saururus chinensis baill in different soil texture. Korean J. Med. Crop Sci. 14(3):143-147 

  9. Kim SY, Sim YG, Kwon ST, Oh SM (2005) Genetic relationship among Ostericum koreanum Kitagawa collections by RAPD analysis. Kor. J. Med. Crop Sci. 13(3):109-113 

  10. Kwon YS, Kim KK, Kim CM (2000) 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roots of Ostericum koreanum. Kor. J. Pharmacogn. 31(3): 284-287 

  11. Lee JH, Yun IG, Oh MS (2005) The study of Ostericum koreanum Radix & Aralia contientalis Radix in Bang-Yak-Hap-Pyun. J. Oriental Med. Inst. Daejeon Univ. 14(1):167-177 

  12. NIAST (1987) Chemical analysis of soil and plan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1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Studies of cultural practice establishment for safety and quality in Ostericum koreanum (Max) Kit. RDA Res. Rep. Suwon. Korea 

  14. Ryu KS, Yook CS (1968)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root of Angelica Koreana Max.. Kor. J. Pharmacogn. 12:59-64 

  15. Seo JS, Jeong BC, Son SG, Kim KS, Kim DH (1994) Effect of seedling size on bolting and yield of Ostericum koreanum (Max.) KITAGAWA. Korean J. Med. Crop Sci. 2(2):114-120 

  16. Soil survey staff (1951) Soil survey manual. USDA handbook No. 18 

  17. USDA (1985) Key to Soil taxonomy USA 

  18. Yoon WS, Choi BJ, Baek WK, Heo K, Suh YB, Lee JS, Choi HY (2003) Cluster analysis of Korean Gangwhal by RAPD analysis. Kor. J. Herbology 18(4):141-1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