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temisia capillaris THUNB is a perennial herb that belongs to the family Compositae spp and the most common plant among the various herbal folk remedies used in treatment of abdominal pain, hepatitis, chronic liver disease, jaundice and coughing in Korea. In this study, antimicrobial effects of A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균성 식중독의 발생시에 기존의 항균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항균물질을 조사하고자 식중독 원인 세균에 대한 인진쑥 추출물의 시험관내 항균효과를 조사하고 수의임상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James GC, Sherman J. Chemotherapeutic agent in Microbiology, A laboratOl ${\gamma}$ manual chemical agents of control. New York: John Wiley & Sons. 1987: 247-254 

  2. Kang SY, Sung SH, Park JH, Kim YC.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scopoletin, a constituent of Solanum lyratum. Arch Pharm Res 1998; 21: 718-722 

  3. Kim JO, Kim YS, Lee JH, Kim MN, Lee SH, Moon SH, Park GY. Antimutagenic effect of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from Mugwort (Artemisia asictica nakai) leaves. J Kor Soc FoodNutr 1992; 21: 308-313 

  4. Kimura Y, Okuda H, Okuda T, Hatano T, Arichi S, Agata. Studies on the activities of tannins and related compounds from medicinal plants and drugs. Effects of extracts of leaves of Artemisia species and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on lipid metabolic injury in rats fed peroxidized oil. Chern Pharm Butl 1985; 33: 2028-2034 

  5. Kiso Y, Ogasawara S, Hirota K, Watanabe N, Oshima Y, Konno C, Hikino H. Antihepatotoxic principles of Artemisia capillaris buds. Planta Medica 1984; 50: 81-85 

  6. Kolodziej H, Kayser O , Woerdenbag HJ, Pras N. Structure cytotoxicity relationships of a series of natural and semisynthetic simple coumarins as assessed in two human tumor celllines. Z Naturforsch 1997; 52: 3-4 

  7. Komiya T, Sukui MT, Oshio H. Capillarisin, a constituent from Artemisia capillaris herba. Chern Pharm Bull 1975; 23: 1387-1388 

  8. Kudo T, Saga N. Development of a simple method for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in algae using paper discs. Nippon Suisan Gakkaishi 1990; 56: 455 

  9. Mashimo K, Shimizu K, Chihara G. Study on choleretics : Especially choleretic action of ' Inchinko-to'. Saishin-Igaku 1963; 18: 1430-1435 

  10. Moran A, Montero MJ, Martin ML, San Roman L Pharmacological screening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of Artemisia caerulesceηs subsp. Gallica. J Ethnopharmacology 1989; 26: 197-203 

  11. Okuno J, Uchida K, Kaolowaki M, Akahori A. Choleretic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in rats. JPN. J Pharmacol 1981; 31: 835-838 

  12. Piddock LJV. Technique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sensitivity in bacteria. J. Appl. Bacteriol 1990; 68: 307 

  13. Tariq MM, Mossa JS, Alyahya MA, Parmar NS, Ageel AM. Evaluation of Artemisia inculta for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rats. AM J Chin Med 1987; 15: 127-132 

  14. Twaij HA, Badr AA. Hypoglycemic activity of Artemisia herba alba. J Ethnopharmacol 1988; 24: 123-126 

  15. Yamahara J, Kobayashi G, Matsuda H, Katayama T, Fujimura H. Vascular dilatory action of Artemisia capillaris bud extracts and their active constituent. J Ethnopharmacol 1989; 26: 129-136 

  16. 김영숙, 김무남, 김정옥, 이종호. 쑥의 열수추출물과 주요 향기성분이 세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4; 23: 994-1000 

  17. 김옥찬, 장희진. Volatile components Artemisia apiaceae Herba.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1994; 37: 37-42 

  18. 김은주, 이정규, 최종원. 간의 bromobenzene 대사계에 미치는 scoparone의 영향. 한국생약학회지 1992; 23: 81-88 

  19. 김태정 . 한국의 자원 식물IV.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259 

  20. 김현철, 길봉섭, 이영행. 개똥쑥의 천연화합물질에 의한 항 균효과와 성분확인. 한국생태학회지 2001; 24: 137-140 

  21. 남상명, 정차권, 함승시, 오덕환, 강일준, 이상영. 흰쥐의 혈청 및 간지질 저하에 미치는 쑥 에탄올 추출물의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8; 27: 338-343 

  22. 노태홍, 서관석. 수집종 쑥(Artemisia sp.)의 생육특성 및 성분함량.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993; 1: 171-1 77 

  23. 박석규, 박종철. 쑥의 추출물 및 coumaric acid의 항균활성 . 한국생물공학회지 1994; 9: 506-511 

  24. 박종철, 유영법, 이종호, 김남재. 한국산 식용식물의 화학 성분 및 생리활성 (VI)-참죽나무 잎, 미나리, 쑥의 항염증 및 진통효과. 한국영양학회지 1994; 23: 116-119 

  25. 박찬성, 권충정, 최미애, 최경호, 박금순. 동충하초, 쑥 및 솔잎 추출물의 항균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002; 9: 102-108 

  26. 배지현. 인진쑥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 세균의 성장에 미치 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2003; 36: 147-153 

  27. 우원식 . 천연물 화학 연구법 .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28. 유영희, 이성동, 김영홍, 오태호, 송재찬, 박승춘, 여상건, 이근우. 단기간의 인진쑥 투여가 개의 혈액상에 미치는 영 향. 한국임상수의학회지 2003; 20: 115-120 

  29. 육창수. 익탱 식물학 각론 서울: 진명출판사 1975: 293-298 

  30. 이기동, 김정숙, 배재오, 윤형식. 쑥(산쑥)의 물 추출물과 에테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2; 21: 17-22 

  31. 이미경, 최근표, 류이하, 이강윤, 유창연, 이현용. 사철쑥 추출물의 면역세포의 생육증진 및 세포독성. 한국약용직물 학회지 2004; 12: 36-42 

  32. 이상준, 정하열, 이인경, 유익동. 쑥의 에탄올 추출물에 함 유된 flavonoid들의 분리 및 동정과 항산화 효과. 한국식 품과학회지 1999; 31: 815-822 

  33. 이선주. 한국 향토 민속약 규명에 관한 연구(1). 한국생약 학회지 1975; 6: 75-92 

  34. 이성동, 박홍현, 김동원, 방병호. 쑥의 생리활성 물질과 이 용.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00; 13: 490-505 

  35. 이성우. 고려이전의 한국 식생활 연구. 서울: 향문사. 1978: 116 

  36. 이우열, 이성동, 손상익, 장혜숙, 김영홍, 오태호, 엄기동, 장광호, 박승춘, 이근우. 인진쑥이 사염화탄소 투여로 유발 된 개의 간 손상 회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수의학회지 2003; 20: 389-395 

  37. 임상선, 김미혜, 이종호. 쑥 및 영경퀴가 식이성 고지혈증 흰쥐의 간기능, 체지질 및 담즙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1997; 30: 797-802 

  38. 임상선, 이종호. 쑥 및 영정퀴가 식이성 고지혈증 흰쥐의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1997; 30: 12-18 

  39. 임상선, 이종호. 쑥 수용성 추출물의 심혈관 및 혈압에 대한 활성연구. 한국영양학회지 1997; 30: 634-638 

  40. 정재연. 오태영. 이기명. 김도현. 안병옥. 김원배. 김영배. 유병무. 함기백. 김진흥. 조성원. 항산화제 DA-9601 에 의 한 백서 간섬유화 억제 효과. 대한간학회지 2002; 8: 436-444 

  41. 조연희, 장매희. 인진쑥, 황해쑥, 사자발쑥의 정유성분 및 항균 효과.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2001; 13: 313-320 

  42. 한국수의공중보건학 교수협의회. 수의공중보건학 서울: 문운당. 2001: 230-231 , 236-240 

  43. 한덕룡, 김인혜. Artemisia 속 정유 성분에 관한 연구 gas chromatography에 의한 camphor의 분리 및 정 량. 한국생약학회지 1973; 4: 71-74 

  44. 허준. 국택 증보 동의보감. 서울: 남산당. 1976: 75, 156, 362-370, 1197 

  45. 황윤경. 김동청. 황우익. 한용봉. 쑥 추출 성분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한국영양학회지 1998; 31: 799-8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